1945년 8월 소련군이 당시 동맹군이었던 미군의 참여 없이 한반도 전체를 일본으로부터 해방했음을 증명하는 새로운 기록영화가 러시아에서 공개됐다.
불력 설 전날인 지난 2월 24일 모스크바 다큐멘터리영화센터에서 '평양-서울. 그리고...'("Пхеньян - Сеул. И далее...")라는 제목의 기록영화가 첫 상영됐다. 이 영화를 기획한 유명 언론인 세르게이 브릴료프는 한반도 해방에 관한 혁신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세르게이 브릴료프와 함께 이 다큐의 공동 진행자인 고려인 마리나 김은 "우리가 증명하려는 것은 소련군이 북한뿐 아니라 남한도 해방했다는 사실이다. 그후 미군이 스탈린과 합의에 따라 남쪽에 상륙해 총 한발 쏘지 않고 남한을 점령했다"라고 말한다.
다큐 속에는 소련군을 해방군으로 맞이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희귀한 영상과 사진들이 나온다. 1945년 8월 8일 여러 형무소를 개방하고 수천 명의 정치범을 석방한 것도 소련군이었다. 꼬박 한 달이 지난 9월 8일에야 무관심 속에 미군이 인천에 상륙했다.
1945년 당시 사건을 직접 목격한 증인들은 이제 거의 남지 않았다. 하지만 다큐 제작자들은 당시 사건의 한복판에 있었던 사람들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유리 텐(정)은 1945년 소련군 해병대 소속으로 한반도 해방을 위한 상륙 작전에 참가했다. 다큐 제작 당시 그는 임종을 앞둔 상태였지만, 역사적 진실을 복원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를 놓치고 싶어하지 않았다. 그는 힘겹게 입술을 움직이며 말했다. "청진 형무소를 해방시키라는 명령을 받았다. 나는 형무소 문을 열고 수감자들에게 내가 조선사람이며 문이 열렸다고 말했다. 모두 눈물을 흘렸다. 그들은 나를 안고 울었다. 나는 모두 자유의 몸이니 밖으로 나가라고 말했다." 그의 미약한 목소리에는 70년이 지났음에도 그때의 자긍심과 기쁨이 느껴졌다.
한국을 비롯해 여러 나라에서 정론으로 인정되는 역사를 부정하는 이 특별한 다큐멘터리는 어떻게 탄생한 것일까?
"나는 잠자리에 들기 전에 꽤 독특한 책을 집어드는 편이다. 소-일전쟁에서 제1극동전선을 지휘했던 키릴 메레츠코프 원수의 회고록 같은 책이 그것이다. 그 책 446쪽에서 소련군이 해방 작전을 수행하던 중 남한의 수도 서울에 다다랐다는 수수께끼 같은 문장을 읽었다. 하지만 그 이상의 부연설명은 없었다. 직접 조사를 하고 이 주제로 영화를 만들겠다는 결심이 선 것이 그 때다."
다큐에는 희귀한 문서자료들과 함께 한반도 해방전투에 참가했던 장교들의 인터뷰가 소개된다. 이들은 1945년 8월 소련군이 서울에 도달했지만, 일본군의 완전 패주가 확인되자 미국과 합의한 대로 38선으로 복귀해 그곳에서 미군을 기다렸다고 밝혔다.
물론 이런 견해는 한국에서 지지를 받지 못한다. 다큐 제작진이 한국 학계와 전문가들로부터 들을 수 있었던 논평은 몇 건 되지 않았고, 그 모두가 소련군의 남한 해방 참여를 반박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그럴수록 다큐 제작진의 대담한 대안적 시각이 더 흥미로운 것도 사실이다.
(Russia포커스)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