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알렉스 강의 몽골 뉴스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러시아 여성 학자 나탈리아 김의 저서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 몽골 상륙
 
본 저서는 러시아의 주요 대학과 연구소, 도서관 등에 소장 도서로 이미 비치됐고 학술 서적 전문 서점을 중심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icon_mail.gif 기사입력 2016/01/30 [16:08]
 
 
【UB(Mongolia)=Break News GW】
러시아 여성 학자인 나탈리아 니콜라예브나 김(Наталья Николаевна Ким=Natalia Nikolaevna Kim) 러시아 고등 경제 대학교(HSE=Higher School of Economics in Russia=Высшая Школа Экономики в России=Вшэ) 교수가 최근 저술한,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라는 책이 대한민국 학자들의 주목을 끌고 있는 가운데, 본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라는 제목의 러시아어 원서가, 1월 25일 월요일, 몽골인문대학교(UHM=University of the Humanities in Mongolia=Университет Гуманитарных Наук в Монголии)에 상륙했다.

 
201601302109904.jpg
▲러시아 여성 학자인 나탈리아 김 러시아 고등 경제 대학 교수가 몽골인문대학교(UHM)에 기증한 본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라는 책은 모두 2권으로서, 한 권은, 몽골인문대학교(UHM) 한국학과에, 다른 한 권은 러시아학과에 비치됐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러시아의 여성 학자가 8.15 광복 후 대한민국의 정치 사회를 조명한 저서를 발간한 것은 사상 최초이다.
 
2016013030597712.jpg
▲러시아 여성 학자인 나탈리아 니콜라예브나 김(Наталья Николаевна Ким=Natalia Nikolaevna Kim) 러시아 고등 경제 대학교(HSE=Higher Schoo of Economics in Russia=Высшая Школа Экономики в России=Вшэ) 교수가 자신의 저서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라는 책을 들고 포즈를 취했다. (사진=모스크바 프레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김 교수의 이름이, 얼핏 발음으로만 들으면, 러시아 시인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부인이었던 나탈리야 니콜라예브나 곤차로바(Наталия Николаевна Гончарова)와 초반부가 같은 듯하나, 푸시킨 부인의 러시아어 낱말 철자는 ‘Наталия(=Nataliya)’이고, 김 교수의 러시아어 낱말 철자는 ‘Наталья(=Natalia)’로 서로 분명히 다르다. 따라서, 본 기자는, 대한민국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Наталья Николаевна Ким(=Natalia Nikolaevna Kim) 교수 이름의 한글 표기를 ‘나탈리아 니콜라예브나 김’으로 표기한다.

그동안 옛소련 지역에서 북한 정권의 성립이나 발전 과정에 관한 저서는 적지 않게 출간된 바 있긴 하나, 본 저서는, 러시아 학자가 대한민국의 근세 역사를 본격 조명해 최초로 책을 펴냈다는 데 의미심장함을 둘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나탈리아 김 교수는 현재, 러시아의 명문 고등경제대학에 재직하며, 러시아에서 미개척 분야로 남아 있는 한반도 분단사를 연구 중인 러시아의 여성 학자이다.

 
2016013038023013.jpg
▲러시아 여성 학자 나탈리아 김의 저서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 몽골 상륙. 강외산 몽골인문대학교(UHM) 교수(본지 몽골 특파원 겸 KBS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가 나탈리아 김의 모교인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를 배경으로 굳건히 섰다. (사진=뉴스 위클리 플로리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아울러, 재외동포언론인협회(OKJA) 정책위원장인 김원일 모스크바 프레스 대표(러시아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정치학 박사)의 부인이기도 하다.
 
2016013005449385.jpg
▲김원일-나탈리아 김 내외가 학술 대회 현장에서 자리를 같이 했다. (사진=뉴욕 뉴스로).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러시아 여성 학자 나탈리아 김의 저서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의 몽골 상륙은, 제1회 2016 재외동포언론인협회 유럽 대회 참석 차 지난 1월 3일 러시아 모스크바 방문에 나섰던, 강외산 몽골인문대학교(UHM) 교수(본지 몽골 특파원 겸 KBS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가, 나탈리아 김 교수의 남편인 재외동포언론인협회(OKJA) 정책위원장 김원일 모스크바 프레스 대표(러시아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정치학 박사)로부터 본 저서를 기증받음으로써 이뤄졌다.

본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에는 8.15 광복 후인 1945년부터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의 기간에 한반도 남쪽에서 있었던 사회 정치적 투쟁들과 분단 과정에 대해서 연구한 내용이 담겨 있다.

러시아 여성 학자인 나탈리아 김 러시아 고등 경제 대학 교수가 몽골인문대학교(UHM)에 기증한 본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라는 책은 모두 2권으로서, 일단 한 권은, 몽골인문대학교(UHM) 한국학과에 비치됐다.

 
2016013021268259.jpg
▲러시아 여성 학자 나탈리아 김의 저서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 몽골 상륙. 러시아 여성 학자인 나탈리아 김 러시아 고등 경제 대학 교수의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라는 책이 몽골인문대학교(UHM) 한국학과에 비치됐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2016013021424716.jpg
▲러시아 여성 학자 나탈리아 김의 저서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 몽골 상륙.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라는 책은, 한국학과 사무실에 이미 비치된 김구, 여운형 등 역대 한민족 정치 지도자들과 박정희, 김대중, 이명박 등의 전임 대통령들, 박태준 전 국무총리, 박근혜 현직 대한민국 대통령 등 유명 인사들 관련 저서들이 빼곡히 꽂혀 있는 칸에 자리를 잡았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아울러, 나머지 한 권은 몽골인문대학교 러시아학과 데. 체예에레그젠 (Д. Цэеэрэгзэн=D. Tseeeregzen) 교수를 통해 러시아학과에 전달됐다.
 
2016013020576490.jpg
▲러시아 여성 학자 나탈리아 김의 저서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 몽골 상륙. 강외산 몽골인문대학교(UHM) 교수(본지 몽골 특파원 겸 KBS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가 몽골인문대학교 러시아학과 데. 체예에레그젠 (Д. Цэеэрэгзэн=D. Tseeeregzen) 교수를 통해 러시아학과에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 한 권을 전달했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참고로, 체예에레그젠 교수는, 러시아의 푸시킨 국립 러시아 언어 대학교 대학원(Graduate School, Pushkin State Russian Language Institute in Moscow= Аспирантура,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А. С. Пушкина в Москве)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정통 러시아 통(通)이다.

한편, 나탈리아 김 교수의 남편인 재외동포언론인협회(OKJA) 정책위원장 김원일 모스크바 프레스 대표(러시아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정치학 박사)는, 강외산 몽골인문대학교(UHM) 교수(본지 몽골 특파원 겸 KBS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에게 본 저서를 기증한 뒤, 이렇게 말했다.

 
2016013034473419.jpg
▲제1회 2016 재외동포언론인협회 유럽 대회 참석 차 러시아 모스크바 방문에 나선,강외산 몽골인문대학교(UHM) 교수(오른쪽에서 두 번째, 본지 몽골 특파원 겸 KBS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가, 김원일 모스크바 프레스 대표(맨왼쪽,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정치학 박사)와 자리를 같이 했다.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김원일 대표, 남정호 독일 주재 영국 유로 저널 고문, 박종권 러시아 겨레일보 대표, 강외산 교수, 변성로 러시아 우리신문 대표.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외람됩니다만, 러시아 학자들이 저술한 대한민국 관련 책이나 논문들을 볼 때마다, 그동안 제가 늘 불편하게 생각했던 것은, 자료나 출판물을 인용할 때 대한민국의 자료나 학자의 연구 업적이 아니라 러시아, 미국, 중국, 일본 등 주변 국가들의 자료와 학자들을 주로 인용한다는 점이었습니다. 물론 한국어라는 언어적 어려움이 큰 근본 원인으로 작용하지만, 대한민국의 연구 능력을 가볍게 간주하는 잘못된 관습도 적지 않습니다. 저는, 러시아 학자들을 만날 때마다, '만일 대한민국 국민이 러시아를 연구할 때 러시아 국민들의 시각과 분석 대신 미국, 영국, 중국 등의 러시아 시각을 반영한다면 제대로 된 러시아의 모습이 그려지겠는가? 이와 마찬가지로, 대한민국을 연구할 경우에도, 우선적으로 대한민국 학자들의 자료들을 중요하게 참조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본 기자는, 지난해 5월 26일 화요일,  50여명의 몽골 주요 인사들이 자리를 같이 한 가운데, 오전 11시에 출범식을 갖고 공식 활동 개시에 들어간, 몽골 주요 인사들이 주축이 된, 「한반도 통일 지지 몽골 포럼 」(MFKU=Mongolian Forum for Korean Unification)에서, 이 책의 대여를 요청해 올 경우, 즉각 대여할 예정이다.

한편, '1945년∼1948년 남한 정치사'는 러시아의 주요 대학과 연구소, 도서관 등에 소장 도서로 이미 비치됐고 학술 서적 전문 서점을 중심으로 판매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alex1210@epost.go.kr
Copyright ⓒBreak News GW,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k1_left_t.gif   k1_right_t.gif
 
2012060402216889.jpg
Citius, Altius, Fortius (Faster, Higher, Stronger) <편집자주> 국제 회의 동시 통역사인 알렉스 강 기자는 한-몽골 수교 초창기에 몽골에 입국했으며, 현재 몽골인문대학교(UHM) 한국학과 교수로서 몽골 현지 대학 강단에서 한-몽골 관계 증진의 주역이 될 몽골 꿈나무들을 길러내는 한편, KBS 라디오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으로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지구촌에 몽골 현지 소식을 전하고 있기도 합니다.
 
k1_left_bt.gif   k1_right_bt.gif
 
 
 
 
 
imgt_sns.gif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기사입력: 2016/01/30 [16:08] 최종편집: ⓒ 2018breaknews.com

 

  • |
  1. 201601302109904.jpg (File Size:94.4KB/Download:5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055 몽골 외무부 장관, 프랑스 방문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54 몽골 D.Enkhbat 국무 장관, 제 5 차 녹색 산업 컨퍼런스 참석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53 몽골 몽골 대표단, 제네바 회의 참석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52 몽골 유라시아 의회 의장 회의에 참석하는 몽골 대표단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51 몽골 노동 조합 연맹은 가솔린 가격 상승에 대한 긴급 조치를 요구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50 몽골 후렐수흐 총리 UAE 대사와 면담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49 몽골 독일, 2018-2019 년 개발 협력 사업에 5 천 4 백 5 십만 유로 지원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48 몽골 수확을 위한 긴급 조치 몽골한국신문 18.10.17.
8047 몽골 수도권 2040 일반 개발 계획 공모 발표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46 몽골 몽골 게르 수출 제품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45 몽골 몽골에서 친환경 전기버스 운영 시작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44 몽골 총리, 인구 정착을위한 일반 프로젝트에 관한 의회보고 몽골한국신문 18.10.17.
8043 몽골 대통령은 정부 기관의 당국과 아동 보호 문제를 논의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42 몽골 2019-2020 학년도에 완전 디지털화 된 교육 시스템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41 몽골 새로운 국제 공항에 APP 시스템 도입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8040 몽골 제. 롬보(J. Lombo) 전 북한 주재 몽골 대사, 북한-몽골 관계 70년 제목의 저서 출간 file GWBizNews 18.10.21.
8039 몽골 대통령이 국가안보위원회 소집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38 몽골 원유 정유소 공장 인프라 구축 40% 완료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37 몽골 몽골과 북한 수교 70주년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
8036 몽골 장애인 아시안 게임서 메달 5개 획득 file 몽골한국신문 18.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