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연료의 생산을 통제할 수 없어.jpg

 

지난해 가짜 연료의 생산 파문은 전국을 휩쓸었다. 공정경쟁소비자원은 19개 주유소의 휘발유 시료 22건과 경유 연료 시료 10건을 분석한 결과 몽골의 기준에 맞지 않는다고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이 때문에 몽골 판매기준 옥탄가에 이르지 못하는 가짜 연료가 대량으로 나올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몽골 세관은 실험실 검사를 토대로 연료의 수입을 허용하고 있지만, 저 옥탄 연료의 수입과 추가 석유제품의 판매를 통제하지는 않는다. 
기본적으로 몽골 표준 MNS0217: 2017에는 "휘발유 수입업자와 판매업자는 휘발유에 옥탄 첨가물과 기타 품질의 연료를 첨가해서는 안 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몽골 정부가 수입하는 연료가 어떤 옥탄가의 연료를 얼마나 수입하는지, 판매량은 얼마나 되는지 통제할 수 없다는 말은 거짓이 아니다. 몽골은 2027년까지 유로-5 표준 연료 소비량을 80%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늘날 차량이용자들은 주로 유로-2 연료를 사용한다. 관계자들은 유로-5 연료가 널리 사용될 경우 가짜 연료 시장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한다. 
세관의 에너지 및 계측검사국 A.Byambadorj 국장은 "대량의 중간 연료제품이나 통관용 석유제품이 추가되어 가짜 연료를 생산하고 있다는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라고 말했다. 
- 연료 수입업체, 제조사 검사 중 여러 검사실 검사에서 시료가 요구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시중에 유통되는 연료의 물리적, 화학적 매개 변수가 초과하였고 연료 내 포함된 황의 수치가 기준을 초과하였다. 대기오염은 시중에 판매되는 연료에 포함된 황의 영향을 받는다. 연료를 생산하는 허가받은 업체들 때문에 연료 품질이 기준에 맞지 않는다. 이 업체들은 검증된 기술이 없이 자체 기술로 연료를 제조하고 있다. 
승인된 기술은 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몽골에는 이러한 기술을 점검할 수 있는 전문기관이 없다. 연료 제조를 위한 원료는 경유용 등유와 나프타 등 부산물이다. 순수 등유는 최근 몇 년간 디젤 연료 생산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등유는 소비세 없이 수입되기 때문에 석유제품에 대한 소비세 도입과 순수 등유를 사용하는 시업에 대한 일정 할당제가 마련되면 대량의 등유 수입을 간소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news.mn 2020.09.11.]
몽골한국신문 편집인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15 몽골 가축에서 전염성이 높은 구제역이 발생해 고비-알타이 아이막에서 격리조치가 내려져 file 몽골한국신문 21.10.20.
2614 몽골 가축만 늘리지 말고 우리 목동들이 함께 조직하고 일해야 할 때 file 몽골한국신문 20.12.01.
2613 몽골 가축 통계 결과 내일 보도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12.30.
2612 몽골 가축 통계 1차 집계 결과 7천만 마리 육박 file 몽골한국신문 20.01.06.
2611 몽골 가축 중 98.6%가 새끼를 낳은 상태 file 몽골한국신문 19.05.09.
2610 몽골 가축 수의 감소원인은 기후변화와 목초지 감소가 영향 file 몽골한국신문 19.01.22.
2609 몽골 가축 세금 제도를 U.Khurelksukh 정부가 재개할지 주목 file 몽골한국신문 19.03.14.
2608 몽골 가축 도난 범죄 관련 처벌 강화 file 몽골한국신문 19.11.05.
» 몽골 가짜 연료의 생산을 통제할 수 없어 file 몽골한국신문 20.09.14.
2606 몽골 가짜 언론, 포장된 자유 file 몽골한국신문 22.05.04.
2605 몽골 가짜 번호 141072에 자녀의 주민등록번호를 등록하면 안 되어 file 몽골한국신문 20.09.07.
2604 몽골 가짜 뉴스를 가려내는 Factcheck.mn 웹사이트 개발 file 몽골한국신문 20.01.06.
2603 몽골 가즈프롬은 몽골에 특별한 회사를 설립할 것 file 몽골한국신문 20.07.17.
2602 몽골 가죽산업 단지의 기반시설과 건설은 60%가 완료되어 file 몽골한국신문 20.09.18.
2601 몽골 가죽 가공 기술 혁신 시범 연구소 신설 file 몽골한국신문 20.02.13.
2600 몽골 가족법 국회 상정 논의 file 몽골한국신문 20.01.30.
2599 몽골 가족 보건소 의사는 일반 이름으로 약을 처방하는 것에 대해 경고 file 몽골한국신문 21.02.04.
2598 몽골 가정폭력으로 인한 피해 file 몽골한국신문 19.01.22.
2597 몽골 가정폭력 관련 접수는 60% 늘고 치유자는 12% 늘어 file 몽골한국신문 20.12.09.
2596 몽골 가정폭력 관련 신고 접수 57.2% 증가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0.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