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himedsure, 울란바타르에서 지방으로 전염될 위험은 매우 커.jpg

 

보건부 장관의 보좌관 O.Chimedsuren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반응과 그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보좌관은 "2020년 11월 11일 이후 총 6개의 아이막에서 군집 발생이 발생했으며 울란바타르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인다. 현재, 다르항-올, 어르헝, 고비숨베르, 아르항가이 아이막에서는 발병 건수가 감소했다. 더르너고비 아이막의 자민-우드 솜과 셀렝게 아이막의 수흐바타르 솜이 통제되고 있다. 피해를 본 총 13만 명의 사람들이 PCR 검사를 받았다. 군집 발생의 빠른 확인과 검사로 인해 감염의 확산이 멈춘 것으로 여겨진다. 
울란바타르 감염의 활발한 특성으로 인해 21개의 아이막에 감염될 위험이 크다. 어제 19차 합동감식단은 울란바타르에서 지방으로 전염될 위험이 매우 크다고 결론 내렸다."라고 언급했다. 
그러고 나서 보좌관은 세계 각국이 취하고 있는 조치들을 소개했다. 
세계 각국이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취하고 있는 주요 조치는 검역이다. 예를 들어, 교육기관의 운영 중단 조치, 공공 행사, 여행 취소 조치는 0~100의 등급으로 평가되었다. 2020년 12월 중순에는 소수의 아프리카 국가들이 10~20점의 쿼터를 부과했고, 다른 나라들은 40~100점의 쿼터를 부과했다. 그 결과, 그 발생률은 감소했지만, 새해 동안 정점을 찍었다. (2020년 12월 30일과 31일) 감염과 사망률은 유럽 국가와 미국에서 가장 높다. 
[ikon.mn 2021.01.04.]
몽골한국신문 편집인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75 몽골 2022년 몽골 예산안 초안 제출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1.
1774 몽골 해외 치료비의 5%를 환급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1.
1773 몽골 노인, 몽골 인구의 7% 차지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1.
1772 몽골 지난 하루동안 2,519건의 새로운 COVID-19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18명이 사망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1.
1771 몽골 정부 부패를 위한 도구로 전락한 특별허가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70 몽골 국가안전보장회의 의원들은 사막화와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한 포고령을 발표하기로 합의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69 몽골 일부 공공 서비스를 민간 부문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한 논의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68 몽골 인권을 위한 투쟁은 끝이 없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67 몽골 울란바타르 물가상승률 9.1%의 주요 원인은 유류비 38% 인상에 기인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66 몽골 Ts.Gendentseven, 시민들과 기업들은 이제 온라인으로 세관신고서와 통관서류를 제출할 수 있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65 몽골 각국 대사에 임명장 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64 몽골 2,461명이 코로나바이러스에 신규로 감염되었으며, 19명이 사망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63 몽골 지난 하루 동안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는 1,811명, 사망자는 19명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62 몽골 11월 국제선 특별 항공편 운항 안내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61 몽골 '판도라 페이퍼'의 역외 보고서에는 두 명의 몽골 정치인이 포함되어 있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60 몽골 신용 정보는 현재 e-Mongolia에서 이용할 수 있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59 몽골 1,501명이 COVID-19에 신규 감염되었으며, 14명이 사망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4.
1758 몽골 우르진룬데브 초대 주한 몽골 대사, 몽골 MNB-TV 출연 "한몽 관계의 전략적 동반 관계 격상" 관련 의견 개진 file GWBizNews 21.10.05.
1757 몽골 보건부 S.Enkhbold 장관의 표현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5.
1756 몽골 지속 가능한 발전의 목표 - 첫 번째 고위급 국가 포럼이 시작되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