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에 일어난 모로 민족 해방 전선 (MNLF)의 미스아리 초대 의장 파에 의한 민다나오 지역 잠보앙가 도심 점거 사건에서 1년을 맞는다.
도시의 보건 당국이 최근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13년 9월부터 14년 8월까지 11개월 동안 피난소나 가설 주택에서의 사망자는 155명에 이른다.


이 중 5세 이하의 어린이가 절반인 77명이며,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이 희생되고 있는 실태가 드러났다.
MNLF와 정부군이 시내에서 충돌한 이 사건은 시민 포함 191명의 사망자와 266명의 부상자가 나오는 참사가 되었다.


방화 등으로 주민들은 집에서 쫓겨 사건 직후 학교 등 쉼터 54개소에 12만 2226명이 대피했다.
동시 보건당국에 따르면 8월 14일 현재에도 4개소의 대피소에서 1만 5542명, 7개소의 가설 주택에서 9723명이 여전히 피난 생활을 강요 당하고 있다.


사건 발생 약 1년 동안, 피난소나 가설 주택에서 사망한 155명의 주요 사망 원인은 폐렴이 최다 31 명에 이른다.
이어 사망 원인 불명의 23명, 심근 경색이나 심부전이 16명, 신생아 사망이 14명, 결핵이 6명 등. 폐렴으로 사망한 31명 가운데 5세 이하는 21명이었다.

5세 이하의 어린이는 열이나 홍역에 의한 사망도 확인되고 있다.


동시 보건당국의 로데린 아구부로스 씨는 "이런 병이 퍼진 원인은 급격한 환경의 변화, 적절한 보호소의 부족, 공중위생 시설의 부족으로 인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7월 7일~8월 3일 최근 1개월 만에 10명 (그 중 5세 이하가 4명)이 사망했으며 위생 상태의 개선이 급선무다.
시는 대피소보다 위생 환경이 좋은 가설 주택의 건설을 추진함과 동시에, 대피소 청소 및 질병 모니터링, 의료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활동을 실시 해왔다.


8월 7일에는 새로운 가설 주택이​​ 완성되어 대피소에서 서서히 이전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도 대피소 생활을 하고 있는 1만 5천 명 이상이 학교의 체육관 등에서 생활하고 있다.
가설 주택의 화장실은 공동으로 20 대에 1 의 비율과 같이, 결코 충분한 위생 환경이 갖추어져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13년은 이 사건 외에도 보홀 지진이나 태풍 욜란다 (30호) 등 대참사도 연발하여 현재도 많은 사람들이 피난 생활을 강요당하고 있으며 피해 각지에서 부흥의 지연이나 2차 재해 발생의 우려가 지적되고 있다.


코리아 포스트 필리핀=비사야지방 최진경기자
  • |
  1. 잠보앙기시가지점거.jpg (File Size:104.8KB/Download:4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2 필리핀 세계체육연합회, 평창 올림픽 성공기원 후원 성금 전달 file 마닐라서울 17.11.27.
81 필리핀 필리핀 한인안전을 위한 제21차 한인사건종합대책회의(QJCM)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7.11.27.
80 필리핀 경찰청, 한-필리핀 경찰청장 회담 개최, 교민보호 및 양국 치안협력 발전방안 등 협의 file 마닐라서울 17.11.27.
79 필리핀 하나 된 열정으로 가자! 평창으로 file 마닐라서울 17.12.04.
78 필리핀 제 51회 국제바자재단(IBF) 주최 자선 바자회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7.12.04.
77 필리핀 2017 한인경제인총연합회 연말 총회 file 마닐라서울 17.12.04.
76 필리핀 제4차 한-필리핀 영사국장회의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7.12.11.
75 필리핀 KOICA, 필리핀 퀴리노 주에 한국의 대관령을 만든다 file 마닐라서울 17.12.11.
74 필리핀 교민과 함께하는 필리핀 한인총연합회 file 마닐라서울 17.12.21.
73 필리핀 한인회, 올해의 한인 대상에 Villones 변호사 선정 file 마닐라서울 17.12.21.
72 필리핀 국기원, ‘2017 자랑스러운 태권도인 상’시상식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7.12.21.
71 필리핀 KOWIN, 2017 연말 총회 및 송년의 밤 행사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7.12.26.
70 필리핀 언제나 즐거운, 황금빛 인생. file 마닐라서울 17.12.26.
69 필리핀 코스모 메디컬 창립 24주년 행사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7.12.26.
68 필리핀 주필리핀한국대사에 한동만 재외동포영사 대사 임명 file 마닐라서울 18.01.08.
67 필리핀 필리핀한국국제학교 어울림 한마당 피에스타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8.01.08.
66 필리핀 사가다에서도 한국어 배운다. file 마닐라서울 18.01.08.
65 필리핀 그동안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한인단체 주관, 김재신 대사 환송회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8.01.15.
64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 김재신 대사에 Sikatuna 훈장 수여 file 마닐라서울 18.01.15.
63 필리핀 한동만 대사, 두테르테 대통령에게 신임장 제정 file 마닐라서울 18.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