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VS 이탈리아 (Ⅰ) 

 

카톡이나 안부를 먼저 보내주는 사람이 한가하고 할 일이 없어서 그러는 게 아니라 마음 속에 늘 당신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다툰 후에 먼저 사과하는 것은 잘못이 있어 그러는 게 아니라 당신을 아끼기 때문이다. 이기고 지는 것의 그 깊이를 이해하고 있다면 설사 손해본 듯해도 상처를 입을 필요는 없다. 이번에 이긴 사람도 언젠가는 반드시 진다.

 

867cf15f6a016d60d5c7d2a6397d0d0f_1536621
 

프랑스의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우승직후에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이 프랑스 축구팀 유니폼을 입은 모나리자의 사진을 트위터에 올렸다가 이탈리아의 강한 항의를 받았다. 어느 나라보다도 축구에 대한 애정이 큰 이탈리아인들은 가뜩이나 대표팀이 60년만에 예선에서 탈락하자 대회기간 내내 우울해 있던 터였다.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화가인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16세기 초반 피렌체의 상인인 프란체스코 델 지오콘도의 아내 ‘리자 델 지오콘도’를 모델삼아 그린 것으로 알려진 ‘모나리자’는 루브르 박물관의 대표적인 소장품이다. ‘나폴레옹이 훔쳐간 모나리자’를 돌려 달라며 반환 서명운동을 하고 있을뿐더러 이탈리아인이 그린 ‘모나리자’는 당연히 이탈리아의 작품이라고 믿는 그들에게 상당히 감정이 상하는 세라모니였다. 하지만 역사학자들은 다빈치가 1516년 예술활동의 후원을 약속한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1세의 요청으로 프랑스로 이사할 때 가져갔고 다빈치가 죽은 후 그의 제자들이 프랑수아 국왕에게 판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프랑스 내에서의 와인의 위치는 일상 생활과 가장 가까운 문화 유산이나 다름없다. 프랑스 와인이 다른 나라보다 일찍 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무엇보다도 풍부하고 다양한 식생활 문화를 들 수 있다. 추운 북부지방과 따뜻한 남부지방에서 다양한 농산물이 나오고, 북해와 대서양의 한류, 지중해의 난류에서는 다양한 수산물이 나온다. 그리고 여러 민족이 얽혀서 색다른 음식 맛을 옛부터 익히고, 왕족과 귀족의 호화 찬란한 생활과 까다로운 입맛에 맞는 고급 요리가 발달하였다. 이에 맞추어 와인 또한 요리와 함께 식탁을 장식하는데 필수적인 식품이 될 수밖에 없었다.

 

무엇보다도 프랑스 와인이 세계적인 명성을 가지게 된 계기는 1935년 와인에 관한 규정을 만들고 고급와인을 분리시켜 세계적인 와인으로 발돋움시킨데 있다. 이에 비해서 이탈리아는 거의 전 지역에서 와인이 생산되고 있고 생산량 또한 세계에서 가장 많으며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생산국인 데도 불구하고 프랑스 와인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싸게 팔리고 있다. 실제로 이탈리아 와인은 그 역사나 품질 면에서 세계최고의 수준인 데도 의외로 세계시장에서는 뒤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국제사회의 정치적인 여건에도 영향을 받았겠지만 비적극적인 국제 마케팅으로 적절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프랑스산 와인은 향이 진하기로 유명하다. 물론 아닌 경우도 있지만 현재 시장에 판매되는 프랑스산 와인은 주로 고가의 제품으로 대부분이 좋은 향과 맛을 보유하고 있다. 와인들은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카베르네 프랑, 말벡, 소비뇽 블랑, 세밀리옹 등이 주를 이룬다. 프랑스는 와인의 필수 요건인 기후, 강우량, 일조량, 석회질 토양 및 자갈 층, 습도, 온도 등 모든 적당한 자연조건을 갖고 있는 데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종류의 포도 종자를 재배할 수 있어 다른 나라보다 포도주 산업에 유리하다. 그리고 현재는 신세계 와인의 영향을 받아 와인의 풍미가 과거에 비해 한결 부드러워지고 풍부해졌다. 하지만 여전히 과일의 맛은 신세계 와인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프랑스 와인을 구매할 때는 같은 지역이더라도 빈티지(Vintage, 생산년도)가 무척 중요하다. 기후와 전반적인 토질에 의해 와인의 맛이 천양지차이기 때문에 빈티지에 따라 가격도 많은 차이를 보인다. 그래서 프랑스와인은 명성이 높은 반면 가격만 비싸고 제구실을 못하는 와인들이 종종 있어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 

 

칼럼 니스트 피터 황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64 뉴질랜드 뉴질랜드 국기교체 국민투표 1차 결과 - 검정∙하양∙파랑 실버 펀 디자인 최다 득표 file 굿데이뉴질랜.. 15.12.13.
1463 뉴질랜드 오클랜드도 '도시 브랜드' 바꾼다, 50만달러 투자 계획세워 file 굿데이뉴질랜.. 15.12.18.
1462 뉴질랜드 독성물질 포함된 좀약 전량 회수 처분 file 굿데이뉴질랜.. 15.12.18.
1461 뉴질랜드 뉴질랜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 순위 2위에 올라 [1] file 굿데이뉴질랜.. 15.12.30.
1460 뉴질랜드 재외국민 주민등록증 제도 실시, 7월1일부터 국내거소신고증 효력 상실 file 굿데이뉴질랜.. 16.01.10.
1459 뉴질랜드 '옹알스 (ONGALS)' 결성 10주년 기념 첫 공연 뉴질랜드에서 무언 코미디로 언어의 장벽을 넘어 K-코미디 선보여 file 굿데이뉴질랜.. 16.01.13.
1458 뉴질랜드 세계은행, TPPA로 2030년까지 뉴질랜드 수출 규모 10% 성장 예상 굿데이뉴질랜.. 16.01.13.
1457 뉴질랜드 *(사)재외동포언론인협회 제공 고국방문 시 ‘가볼만한 곳’ 정보: ‘꽃과 호수, 신한류 예술의 합창’ 2016고양국제꽃박람회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1456 뉴질랜드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2.25%로 인하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1455 뉴질랜드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항에서 지카 바이러스 매개 모기 유충 발견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1454 뉴질랜드 웰링턴 부동산 시장 활발, RV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돼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1.
1453 뉴질랜드 노동당 “이민자 수 제한하고 소수민족기술 국내 자체 보급해야” 굿데이뉴질랜.. 16.03.17.
1452 뉴질랜드 “아시안에 대한 뉴질랜드인 태도 다소 냉각” 설문조사 굿데이뉴질랜.. 16.03.23.
1451 뉴질랜드 뉴질랜드 웰링턴-포리루아 통합 문제 2017년 주민투표 가능성 굿데이뉴질랜.. 16.03.23.
1450 뉴질랜드 뉴질랜드 국기 안 바뀐다… 56.6%가 기존 국기 지지 file 굿데이뉴질랜.. 16.03.25.
1449 뉴질랜드 오타고 치과대학, 세계 치과대학 중 12위로 선정 file 굿데이뉴질랜.. 16.03.26.
1448 뉴질랜드 헬렌 클락 UN 사무총장 후보로, 존 키 “아낌없는 응원” 굿데이뉴질랜.. 16.04.07.
1447 뉴질랜드 제 20대 총선 재외선거 전체 실제 투표율 3.2%, 뉴질랜드 32% 기록 굿데이뉴질랜.. 16.04.07.
1446 뉴질랜드 뉴질랜드 온라인 투표, 올해 지방선거 때는 안 한다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3.
1445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인도∙필리핀 이민자 40%가 채무자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