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송환에 직면한 우크라이나 가정 돕기 청원, 수천명 서명

6년전 뉴질랜드에 장기사업비자로 도착한 한 가정의 영주권 신청이 거부돼 강제 송환에 직면하자, 그들을 돕기 위한 탄원에 하루동안 3,300명이 서명했다. 청원을 오픈한지 이틀째인 2월 2일에는 4천명이 넘는 사람들이 온라인으로 서명했다.

 

 

 f23b0cbba4641f8424c18242c810ed46_1549098

 

ACT당 대표인 데이비드 시모어는 이안 리스 갤러웨이 이민부 장관에게 강제 송환에 직면한 가정에 대해 개입해줄 것을 요청하는 청원서를 작성했다. 이 청원은 2월 1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Click here!! ☞ 청원 페이지 바로가기

 

 

f23b0cbba4641f8424c18242c810ed46_1549099
  

슈체코바(Shchetkova)가족은 6년 전에 대규모 레스토랑을 운영하기 위해 장기 사업비자로 뉴질랜드에 도착했다. 슈체코바씨의 영주권은 원래 구매 신청한 사업이 아닌 다른 사업체를 구입한 이유로 기각되었다.

 

이 가족이 처음 신청한 장기사업비자의 요건은 최소한 50만 달러의 가치가 있어야 하고 수익을 올리며 최소 3명의 정규 직원을 고용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미리 점찍어둔 식당은 그들이 뉴질랜드에 도착하기 전에 팔렸다. 그래서 그들은 70만 달러 상당의 다른 식당을 발견했는데 그것이 현재 운영하고 있는 La Vista 식당이다. 

 

나탈리야 슈체코바는 뉴질랜드 이민성에 변경 사항을 통보하고 비자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세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문의했다. 

 

이민성 직원은 새로운 수치가 필요하지만 새로운 계획은 필요없다고 말했고, 그들은 회계사를 통해 새로운 수치를 제공했다.

 

2주 후 여권에 라벨이 찍혀 나왔고 La Vista 레스토랑으로 작성되었으므로 비자가 승인된 것으로 생각했다고 나탈리야는 말했다.

 

그러나, 이민성은 그들의 새로운 사업이 승인되지 않았으며, 뉴질랜드의 "중요한 가치"로 간주되지 않았다며 영주권 신청을 거부했다. 

 

지역 주민들은 나탈리야가 키위이고, 뉴질랜드인 중의 하나라며 그녀가 계속 뉴질랜드에 머물기를 원하고 있다.

 

지역의 한 주민은 지역에서 모든 사람들이 라 비스타를 알고 있으며, 식당을 운영하는 나탈리야 부부는 지역 커뮤니티의 일원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지역 주민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의 주인이 영주권을 받아 계속 함께 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뉴질랜드에 도착하기 전 슈체코바 가족은 우크라이나에서 세 곳의 레스토랑을 운영했었다. 나탈리야는 우크라이나가 뇌물, 부패, 범죄 발생 국가이며 자신의 가족은 아이들의 더 나은 미래를 기대하고 뉴질랜드에 도착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열심히 일하고 건강하며,열정적인 사람들이라고 자신의 가족을 소개했다.

 

수년동안 가족은 식처음 40석이던 좌석을 70석으로 확장하기 위해 열림히 일했고, 더 많은 직원을 고용했으며, 식당을 더 확장하기 위한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시모어 대표는 이 가족의 영주권 신청이 기술적으로 거부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오클랜드의 세인트 헬리어스에서 유명한 레스토랑인 라 비스타를 소유한 가족을 방문해 슈체코바씨의 부인 나탈리야와 한시간 반 동안 대화를 나누었고, 그들이 실제로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으며, 도와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시모어 대표는 이 가족이 뉴질랜드에서 거주할 가치가 있는 선량한 인물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람들이 뉴질랜드로 이민하고 지역 사회에 참여해 사업을 하고, 사람들을 고용하기 바라는 것이 뉴질랜드인들이 환영하는 이민이라며, 정부가 그걸 막으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모어 대표는 다음주 일요일, 가족을 위한 집회를 할 예정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64 뉴질랜드 뉴질랜드 국기교체 국민투표 1차 결과 - 검정∙하양∙파랑 실버 펀 디자인 최다 득표 file 굿데이뉴질랜.. 15.12.13.
1463 뉴질랜드 오클랜드도 '도시 브랜드' 바꾼다, 50만달러 투자 계획세워 file 굿데이뉴질랜.. 15.12.18.
1462 뉴질랜드 독성물질 포함된 좀약 전량 회수 처분 file 굿데이뉴질랜.. 15.12.18.
1461 뉴질랜드 뉴질랜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 순위 2위에 올라 [1] file 굿데이뉴질랜.. 15.12.30.
1460 뉴질랜드 재외국민 주민등록증 제도 실시, 7월1일부터 국내거소신고증 효력 상실 file 굿데이뉴질랜.. 16.01.10.
1459 뉴질랜드 '옹알스 (ONGALS)' 결성 10주년 기념 첫 공연 뉴질랜드에서 무언 코미디로 언어의 장벽을 넘어 K-코미디 선보여 file 굿데이뉴질랜.. 16.01.13.
1458 뉴질랜드 세계은행, TPPA로 2030년까지 뉴질랜드 수출 규모 10% 성장 예상 굿데이뉴질랜.. 16.01.13.
1457 뉴질랜드 *(사)재외동포언론인협회 제공 고국방문 시 ‘가볼만한 곳’ 정보: ‘꽃과 호수, 신한류 예술의 합창’ 2016고양국제꽃박람회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1456 뉴질랜드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2.25%로 인하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1455 뉴질랜드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항에서 지카 바이러스 매개 모기 유충 발견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1454 뉴질랜드 웰링턴 부동산 시장 활발, RV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돼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1.
1453 뉴질랜드 노동당 “이민자 수 제한하고 소수민족기술 국내 자체 보급해야” 굿데이뉴질랜.. 16.03.17.
1452 뉴질랜드 “아시안에 대한 뉴질랜드인 태도 다소 냉각” 설문조사 굿데이뉴질랜.. 16.03.23.
1451 뉴질랜드 뉴질랜드 웰링턴-포리루아 통합 문제 2017년 주민투표 가능성 굿데이뉴질랜.. 16.03.23.
1450 뉴질랜드 뉴질랜드 국기 안 바뀐다… 56.6%가 기존 국기 지지 file 굿데이뉴질랜.. 16.03.25.
1449 뉴질랜드 오타고 치과대학, 세계 치과대학 중 12위로 선정 file 굿데이뉴질랜.. 16.03.26.
1448 뉴질랜드 헬렌 클락 UN 사무총장 후보로, 존 키 “아낌없는 응원” 굿데이뉴질랜.. 16.04.07.
1447 뉴질랜드 제 20대 총선 재외선거 전체 실제 투표율 3.2%, 뉴질랜드 32% 기록 굿데이뉴질랜.. 16.04.07.
1446 뉴질랜드 뉴질랜드 온라인 투표, 올해 지방선거 때는 안 한다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3.
1445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인도∙필리핀 이민자 40%가 채무자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