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규모의 피자 배달 체인 도미노 피자에 대한 공정근로위원회의 조사가 전방위로 펼쳐지고 있다.

지난해 도미노 피자 체인점의 임금착취 및 해외 근로자 대상 비자 사기 사례를 적발한 공정근로 옴부즈맨실은 최근 “다수의 근로자들에 대한 적정임금을 지급하라”는 경고서한을 발송했다.

공정근로옴부즈맨 실은 최근 도미노 피자에 대한 내부 감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 대상이었던 23개 체인점 가운데 단 4곳에서만 적정 임금이 지급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냈다.

옴부즈맨실은 도미노 피자가 시간외 근로수당이나 배달수당, 휴가수당 등을 지급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옴부즈맨실은 특히 도미노 피자에 고용된 종업원의 72%가 25세 미만이며, 절반 가량이 호주 임시 체류비자 소지자들인 것으로 파악했다.

도미노 피자는 이미 지난해에도 공정근로위원회의 감사 지적에 따라 저임금과 퇴직연금 등 수백만달러의 추징금을 납부한 바 있다.

도미노 피자의 임금착취와 비자사기 문제는 시드니 모닝 헤럴드의 폭로로 촉발됐다.

지난해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특집 탐사 보도를 통해 “퀸슬랜드 주의 한 (도미노 피자) 가맹점주가 해당 가게에서 해외 근로자에게 고용주 초청의 대가로 15만 달러를 요구하는 내용의 전화 통화 녹취를 확보했다”고 보도했다.

이 통화에서 해당 가맹점주는 다른 근로자에게도 비자 스폰서의 대가로 금품을 받은 사실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공정근로 옴부즈맨실은 임금 착취 문제와 관련해 도미노 피자 가맹점 여러 곳에 대해 조사를 벌여왔다.

옴부즈맨실 대변인은 “최근 수개월 동안에 걸쳐 호주 전역에 산재한 도미노 피자 가맹점 여러 곳에 대해 조사를 벌여왔다”고 확인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17년 최고의 연봉을 받은 국내 대기업 CEO가 도미노 피자의 돈 메이 대표이사로 밝혀져 논란을 촉발시키기도 했다.

돈 메이 대표이사가 지난해 받은 연봉은 무려 3,680만 달러로 웨스트필드와 맥쿼리 그룹 CEO의 연봉을 앞질렀다.

http://topdigital.com.au/node/6449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37 호주 이마트, 호주 와인 '피터르만 바로산 쉬라즈' 한국 시판 톱뉴스 18.10.05.
2636 호주 NSW 포커 클럽, 고객에 무료 술에 급전 서비스...역대급 벌금 톱뉴스 18.10.11.
2635 호주 논란의 오페라하우스 지붕 광고 9일 저녁 8시 강행 톱뉴스 18.10.11.
2634 호주 남녀평등은 이상…남녀격차는 현실? 톱뉴스 18.10.11.
2633 호주 보디빌더 황철순, ‘멜버른 피트니스 쇼’ 초청돼 톱뉴스 18.10.11.
263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시드니 시티-동부 지역 경매시장, 강세 이어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2631 호주 시드니 경전철 공사, 또 연장... 2020년 5월 이후에야 가능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2630 호주 ‘Daylight saving’, 건강에 악영향 미칠 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2629 호주 연금수령자 외 호주인 외식 지출 비용, 거의 유사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2628 호주 NSW 주 정부, ‘부자 외국인’ 유치 위한 ‘SIV 비자’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2627 호주 Things to do in Bowral, Southern Highlands(1)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2626 호주 여성>남성 불균형 속, 일부 지역 여성 비율 크게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2625 호주 RBA, 50달러 새 지폐 디자인에 시각장애인 요청 반영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2624 호주 젊은이들 사이에서 ‘높은 순도의 엑스터시’ 사용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2623 호주 NSW 주, ‘사이버 폭력’ 범죄자 대상 처벌 크게 강화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2622 호주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 “이민자 수용 ‘절반’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2621 호주 신규 유입 이민자, 최대 5년 지방 지역 거주 ‘강제화’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2620 호주 부동산 화제- 시드니 일부 지역의 높은 주택 가격, “일회성이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2619 호주 크라운 그룹, 워털루 지역에 또 하나의 주거지 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2618 호주 모리슨 총리, 계절노동자 대상 취업비자 ‘유효’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