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위험동물).jpg

2008년에서 2017년 사이, 호주인의 목숨을 앗아간 가장 큰 위험 동물은 말이나 소 등 가축으로 승마 도중 낙마하거나 소몰이 과정에서 피해를 입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사진은 호주에서 서식하는 바다 악어. 이 동물에 의한 피해자는 지난 10년 사이 17명이었다.

 

낙마 등 운송용 가축으로 인한 사망, 77명으로 가장 많아

 

지구상에 약 3,500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기는 말라리아(malaria), 상피병(filaria),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 황열(yellow fever), 뎅기열(dengue) 등의 질병을 옮기는 곤충으로, 옛날부터 위생해충으로 여겨져 왔다. 특히 뇌염은 살충제를 많이 쓰는 최근까지도 그 피해가 계속되고 있는데, 이 모기로 인해(질병 매개) 목숨을 잃는 수는 전 세계적으로 매년 70만 명에 이른다.

맹독을 가진 뱀 또한 인간을 사망으로 내모는 위험 동물 상위 리스트를 차지해 전 세계에서 뱀에 물려 목숨을 잃는 이들은 연간 11만 명으로 추산된다.

연말이자 여름휴가 시즌이 되면 호주 보건 당국에서는 휴가지에서의 위험 예방을 위한 안내를 전달하곤 한다.

그렇다면 지난 10년 사이 호주인들의 생명을 앗아간 가장 위험한 동물은 무엇일까?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자료에 따르면 목숨을 잃은 가장 큰 피해 사례는 다소 황당하게도 직접적인 공격에 의한 것이 아니라 운송 수단으로 이용하는 가축에 의해서였다. 승마 또는 소몰이 등을 하다 변을 당하는 것으로, 2008년에서 2017년 사이 호주인 사망자는 무려 77명에 달했다.

다음으로 많은 동물은 ‘포유류’로 사망자 수는 60명이다. 이는 ‘포유’ 동물들을 지칭하는 포괄적 개념이어서 구체적으로 위험 동물이 어떤 종인지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일부 명시된 항목을 보면, 독을 가진 벌들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맹독 동물보다 많다. 여기에는 hornet(호박벌), wasp(말벌), 심지어 꿀벌(bee)에 물려 사망한 사례가 27건에 달한다.

호주 해변에 출몰하는 상어 공격은 종종 호주 미디어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어를 비롯해 기타 해양 생물의 공격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은 26명이었으며 맹독을 가진 뱀(호주에는 전 세계 10대 맹독을 가진 뱀 가운데 5종 이상이 서식한다)에 물려 사망한 이들은 23명(도마뱀 포함)이었다.

‘포유류’인 맹견 위험도 높아 22명이 생명을 잃었으며 악어에게 목숨을 잃은 이들이 17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외 독성이 없는 곤충의 공격으로 사망에 이른 사례는 8명이었으며 독성을 가진 거미 등 절지동물에 의한 사망 4명, 쥐(rat)로 인한 사망 및 지정되지 않는 동물이나 식물(독성을 지닌)로 인한 피해자가 각 1명이었다.

 

▲ 지난 10년 사이 동물에 의한 호주인 사망자 수

(2008-2017년. 명)

-Horses, cows, animal transport : 77

-Mammals(other) : 60

-Hornets, wasps, bees : 27

-Sharks(& other marine animals) : 26

-Snakes(& lizards) : 23

-Dogs : 22

-Crocodiles : 17

-Non-venomous insect stings : 8

-Contact with unspecified, venomous arthropod : 4

-Rats : 1

-Contact with unspecified, venomous animal or plant : 1

Source: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위험동물).jpg (File Size:81.3KB/Download:3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6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5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4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3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2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1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0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5269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8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7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6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5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4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3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2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1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0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9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8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