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_2.jpg

호주 럭비 왕중왕전으로 불리는 ‘스테이트 오브 오리진’의 2019 시즌 개막식에서 일부 선수들이 호주국가(Advance Australia Fair) 제창을 거부하면서 사회 일각에서 호주 국가 가사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파문은 2019 스테이트 오리진 개막전 식전 행사에서 NSW 대표 ‘블루즈’ 소속의 원주민 계 선수인 코디 워커와 동료 원주민 선수 조쉬 아도-카 및 윌 챔버스가 국가 제창을 거부하면서 촉발됐다.

이들 세 원주민 선수의 호주국가 거부 움직임에는 이번 스테이트 오브 오리진 개막전에 출전한 양측의 선수 34명 가운데 11명의 선수가 동참했다.

 

NSW 선발 팀 ‘블루즈’에서는 패인 하스, 라트렐 미첼 등이 그리고 QLD 선발팀 ‘머룬즈’에서는 조쉬 파팔리, 데인 가게이, 딜런 나파, 캘린 퐁아 등이 국가 제창을 거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선수 대부분은 호주 출생이 아닌 뉴질랜드와 남태평양 도서국가 출신들이다.

호주국가 제창 거부를 선도한 원주민 선수들은 “호주국가 ‘Advance Australia Fair’가 우리 원주민들을 대표하지 않는다.  바꿔야 한다”면서 이같은 주장을 제기했다.

 

이들은 “우리는 분명 모두 호주인이다.  하지만 이 땅의 첫 주민들은 원주민이다”라고 강조했다.

이들 원주민 선수들의 호주국가 제창 거부 움직임에 원주민 럭비 선수 출신의 복서 앤소니 먼딘과 미국의 흑인운동가 스파이크 리 감독도 공개적으로 지지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호주 국가 가사 내용 중 “…For we are young and free…” 소절은 ‘고쳐야 한다’는 여론이 일각에서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즉, 호주 땅에서 이미 6만여 년에 걸쳐 원주민들이 거주해왔던 만큼 이 소절은 원주민에 대해 지나치게 무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지적인 것.

자유당 소속의 크레이그 켈리 의원(휴스, 시드니 남부지역)도 “국가 가사는 암석에 새긴 것은 아니다.  반감이 높은 ‘we are young and free…’ 소절을 바꿔야 한다는 일부의 주장에 공감한다”고 말했다.

노동당 중진 타나 플리버세크 의원도 “문제의 소절을 고쳐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원주민 출신의 래퍼로 당일 경기 개막 공연을 펼친 브릭스(Briggs)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노던 테러토리 교도소 내의 소년범 전원이 원주민 어린이다. 우리 원주민의 수감률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다. 어떻게 호주 국가를 통해 우리를 자유롭다(free)고 명시할 수 있느냐”고 반분했다.   

한편 이날 스테이트 오브 오리진1차전 경기에서 퀸슬랜드 선발 ‘머룬즈’는 NSW주 선발 ‘블루즈’를 18-14로 누르고 서전을 장식했다.

 

2차전은 오는 23일 서부호주 퍼스 옵투스 스타디움에서, 그리고 최종 3차전은 오는 7월 10일 시드니 ANZ 스타디움에서 거행된다.

지난해 NSW주 선발 ‘블루즈’는 2승1패로 우승한 바 있다.

 

사진(AAP Image/Glenn Hunt)= 2019 스테이트 오브 오리진 개막전 사전 행사에서 호주국가를 부르고 있는 선수들과 입을 다물고 있는 선수들.

개막전에 앞서 국가 제창 거부를 ‘선언’한 NSW 대표 ‘블루즈’ 소속의 원주민 계 선수인 코디 워커와 동료 원주민 선수 조쉬 아도-카와 더불어 국가 제창 거부에 합류한 패인 하스, 라트렐 미첼이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TOP Digital

  • |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알바니스 총리, 차기 호주 총독에 법조인 겸 사업가 사만타 모스틴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6 호주 NSW 운전자 대상, 도로 통행료 환급신청 접수 시작... 클레임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5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 계획에서 가계 재정부담 완화 방안 제시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4 호주 유닛을 구입하고 투자 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주요 도시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3 호주 새로 적용된 학생비자 입안자, ‘노동당 정부의 대학 단속’으로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2 호주 심각한 주택부족 상황 불구, 시드니 지역 ‘빈 집’ 2만 가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1 호주 시드니 전역 유명 사립학교 학부모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0 호주 ‘Hambledon Cottage’ 200년 주년... 파라마타 시, 관련 기념행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9 호주 ‘주택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어려움, ‘baby boomers의 고령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8 호주 파라마타 시, ‘Arthur Phillip Park’ 재개장 기해 야외 영화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7 호주 계속된 생활비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 저축액 1천 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6 호주 Express. Empower. Get Loud!... CB City, ‘청년주간’ 행사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5 호주 팬데믹 이후 호주 인구 ‘급증’ 속, 가장 큰 영향 받는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4 호주 투자 부문의 최고 ‘인플루언서’, “고령화 위기 대비하려면 호주 본받아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3 호주 주택을 구입할 때 침실 하나를 추가하려면 얼마의 급여가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2 호주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적 확산 추세 따라 해당 비자 제공 국가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1 호주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대학원 과정은 ‘건강’ 및 관련 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0 호주 늘어나는 신용카드 사기... 지난해 호주인 손실, 22억 달러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9 호주 월별 CPI 지표, 3개월 연속 3.4% 기록... “하향 추세 판단, 아직 이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8 호주 주택시장, ‘인상적 성장세’ 지속... 1년 사이 중간가격 6만3,000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