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택시장 1).jpg

시드니와 멜번 주택 시장 회복세를 보여주는 징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진단이다. 최근 ‘도메인’(Domain) 집계 결과 시드니와 멜번의 ‘하이엔드’(high end) 주택 가격은 각 1.8%, 2% 상승했다. 사진은 경매가 끝난 멜번 동부의 한 주택.

 

올 2분기 시드니-멜번 ‘High-End’ 주택 가격 소폭 상승 집계

 

2017년 하반기 들어 하향세로 접어들었던 호주 부동산 시장이 시드니 및 멜번을 시작으로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의 시장조사 담당자인 엘리자 오웬(Eliza Owen) 연구원은 금주 월요일(26일)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시드니와 멜번 주택 시장의 분위기가 반전됐다”고 말했다.

‘도메인’ 집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두 도시의 하이엔드(high-end) 주택 가격은 멜번 2%, 시드니는 1.8% 상승세를 보였다.

오웬 연구원은 “시드니와 멜번의 고가 주택 시장 상승세가 가장 먼저 나타난다는 것은 잘 알려진 것”이라며 “호주 전역을 아우르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부동산 시장은 하이엔드 주택이 시장 성장을 주도해 왔다는 점에서 이는 향후 회복세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오웬 연구원은 “이 같은 회복 조짐이 호주 전체 부동산 시장에서 나타난 것이라고 속단하기는 이르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퍼스(Perth, WA)와 다윈(Darwin, NT)의 주택 가격은 여전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광산업 관련 경제 지표가 회복된다 해도 곧바로 부동산 시장이 상승세로 전환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종합(주택시장 2).jpg

‘도메인’ 사의 주택조사 책임자인 엘리자 오웬(Eliza Owen) 연구원(사진). 그녀는 두 도시의 가격 상승이 호주 전체 부동산 시장 회복을 가져온다고 속단할 수는 없다고 말한다.

 

그런 한편 부동산 컨설팅 사인 ‘코어로직’(CoreLogic) 집계를 보면 올 2분기 시드니 주택 가격은 0.1%, 멜번은 0.2%가 상승했다.

멜번 동부에 거주하는 로린다와 데이빗 스미스(Lorinda and David Smith)씨는 최근 거주하던 주택을 100만 달러 조금 넘은 가격에 판매했다.

경매를 통해 주택을 매매한 그는 “입찰 가격이 낮은 수준에서 시작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기대했던 가격을 넘긴 낙찰가를 기록했다. 정말 놀랍다”고 말했다.

실제로 올 하반기 시드니와 멜번의 주말 경매 낙찰률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낙찰 가격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오웬 연구원은 현재 호주의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감안할 때 부동산 시장이 적극 반등되기까지는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가계소득 또한 제자리 수에 머물고 있다는 것은 부동산 시장 회복세를 더디게 할 수도 있음을 뜻한다”는 게 그녀의 설명이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주택시장 1).jpg (File Size:74.4KB/Download:21)
  2. 종합(주택시장 2).jpg (File Size:44.3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97 호주 비만, 폭음 등으로 젊은 층 심장질환자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6 호주 “길거리 스마트폰 문자 사용, 사고위험 높다” 경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5 호주 도심 및 유흥지구 대상 강화된 음주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4 호주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카운셀러들, ‘업무 과다’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3 호주 호주의 검은 심장 ‘The Block’ 철거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2 호주 NSW 주 예산안, 취약 계층을 위해 10억 달러 사용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1 호주 달링스퀘어(Darling Square) 1차 분양, 하루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26.
5090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9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8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7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6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5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4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3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2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1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0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5079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5078 호주 이집트 법원, 호주인 기자 등에 징역 7년형 선고 호주한국신문 1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