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IMF 경고).jpg

기업들이 기후변화 등 환경 문제를 비롯해 사회적 이슈를 외면하는 경우 경영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사진은 기후변화 대처를 촉구하는 시드니 하이스쿨 학생들의 집회. ABC 방송 뉴스 캡쳐.

 

IMF 특별보고서... 사회-환경 문제들, 기업 수익에도 직접적 영향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감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대책을 촉구하는 하이스쿨 학생들의 집회가 전 세계적으로 잇따르는 가운데 IMF가 이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지난주 목요일 (10일, 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은 특별 보고서를 통해 환경 및 사회적 이슈는 이제 전 세계 기업들에게도 핵심 문제이며, 이를 무시하는 기업은 재정 압박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IMF는 이 보고서에서 환경-사회-거버넌스(governance) 요소들을 사업 모델에 적용하는 기업의 경우 투자자, 규제기관 및 경쟁업체와 관련된 리스크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IMF의 이번 보고서는 호주 모리슨(Scott Morrison) 정부의 기업들에 대해 보여주는 시각을 반박하는 것이어서 주목을 끈다. 모리슨 총리는 집권 이후 “호주 거대 기업들이 사회적 문제에 관여한다”고 비난하면서 “생산성, 세금, 노사관계 등 핵심 사안에 집중하라”고 강조해 왔다.

하지만 IMF의 이번 보고서는 사회적 이슈들이 기업의 수익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에 관여하면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것을 경고한 것이다.

 

IMF는 보고서에서 “지구환경-사회-거버넌스 문제는 기업 영업실적, 금융 시스템 안정에 보다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하면서 “(사회적 이슈를 무시한) 기업과 은행의 경영 실패는 아시아 일부 국가 및 글로벌 금융위기에 기여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보고서는 “(소득)불평등 형태의 사회적 위험은 정책 입안자들로 하여금 소비를 위한 과도한 가계대출을 유도하며, 중기적으로 재정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IMF는 지난 1980년대 이후 심해진 가뭄이나 홍수 등 기후 관련 자연재해로 인한 보험손실이 4배 이상 증가한 점을 언급하면서 “이는 기후변화가 비즈니스 모델에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적인 증거”라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와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인해 석탄이나 석유 등이 좌초자산(stranded assets, 평가 절하 또는 부채의 전환으로 어려움을 겪는 자산)이 될 수 있는 위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자산 가격의 경우 아직은 기후변화 위험이나 환경을 고려하는 청정 경제로의 전환을 고려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전제하면서 “하지만 이런 위험들에 대해 기업들의 인식이 지연될 경우, 갑작스러운 자산 가격의 변동이 생길 경우 투자자들이 벼랑으로 내몰릴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IMF의 보고서에 대해 호주 항공 기업인 콴타스(Qantas Airways)의 앨런 조이스(Alan Joyce) 최고경영자는 “고객 및 직원들이 회사의 이념이나 경영 방향에 관심을 가진다는 점에서 기업은 전통적 과제인 수익 창출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에도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를 위한 연구에서 IMF는 환경 및 사회적 문제 관련 경영 사례를 확인했다는 점을 밝혔다. “기업들은 변화하는 투자자 및 소비자 선호도를 파악하여 환경이나 사회적 이슈 또는 거버넌스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으며, 이는 자본비용(costs of capital)을 낮추거나 수익을 개선시킬 수 있는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같은 투자는 보다 의욕적인 노동력, 기업과 이해 관계자 사이의 신뢰 증가, 또는 탄소배출에 따른 꼬리 리스크(tail risk, 거대한 일회성 사건이 자산 가치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풀이했다.

 

한편 IMF는 (이런 사안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 전반에 걸친 위험요소나 규정 준수를 보고하는 기업들의 방식에 여전히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IMF에 따르면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 문제는 오랜 기간 기업들의 사업전략 포트폴리오에 통합되어 왔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기업의 관련 자산은 31조 달러에 이른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IMF 경고).jpg (File Size:64.5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17 호주 시드니-멜번 주택가격, 크게 상승... 한 달 새 1.9% ↑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1.
2016 호주 2014-19년 기간 주택 가격 변동 보고서- 최고 상승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1.
2015 호주 2014-19년 기간 주택 가격 변동 보고서- 가격 안 변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1.
2014 호주 화제의 인물- ‘Off the Grid’의 삶 실천한 실비아 윌슨씨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1.
2013 호주 20달러 새 지폐에도 시작장애인 위한 촉각 기능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1.
2012 호주 ‘코어로직’ 설문... 투자자들, “지금이 부동산 구입 적기”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1.
2011 호주 터키 사태에 곤혹스런 호주 “모두 자제하라” 호소 톱뉴스 19.10.15.
2010 호주 호주 쿠르드 교민사회, 쿠르드 공습 터키 규탄 시위 톱뉴스 19.10.15.
2009 호주 가뭄으로 바닥 드러낸 일부 댐…인근에서는 정부 돈 받고 새 댐 건설 톱뉴스 19.10.15.
2008 호주 “홍콩 시위로 시드니•멜버른 부동산 가격 꿈틀…” 톱뉴스 19.10.15.
2007 호주 NSW 북부 산불 인명피해 발생…방화 의혹에 사회적 공분 급등 톱뉴스 19.10.15.
2006 호주 호주달러화로 튄 미-중 무역 갈등의 불똥 톱뉴스 19.10.15.
200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주택개발 업자들, 재개발 주택에 ‘관심’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2004 호주 호주 주택 거래량 반등했지만 판매 규모는 20년 전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2003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하락세 보이나 지속되지는 않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2002 호주 “도시 거주자 비해 지방 지역민들, 치매에 덜 걸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2001 호주 NSW 정부 ‘Lockout Laws’ 올해 안에 ‘폐기’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 호주 “사회적 이슈 외면하는 기업들, 경영 리스크 감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1999 호주 물가상승 반영 안 된 ‘뉴스타트’ 보조금, 이번에는 인상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1998 호주 Childlessness... ‘조부모’가 되지 못한 세대, 가족의 공허감 느낀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