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W 주정부가 산불 비상 사태를 선포하고 산불 확산 저지선 구축과 피해 대책 마련에 팔 걷고 나섰다.  

현재 NSW 주 서북부 내륙 지역과 북부 해안가 삼림 지역 등 60여곳에서 산불이 진행 중이며, 진압 및 산불확산 저지선 구축 을 위해 1300명의 소방대원이 사투를 벌이고 있다.

하지만 강한 열풍을 동반한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산불 저지선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번지고 있는 산불의 절반 이상이 통제되지 않고 있으며 산불 위험 지역의 학교들은 대부분 임시 휴교 조치가 내려졌다.

특히  12일에는 날씨로 인해 산불 사태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자 주정부는 블루마운틴, 그레이터 헌터, 그리고 시드니 광역권을 대상으로 ‘화재 재앙 경보’를 발효했다 .

이는 새로운 화재 위험 등급 도입 10년 만에 처음으로 내려진 조치다.

지난주 금요일 ‘점화’된 호주 동부 지역의 산불은 일요일 오후 들어 정점을 향해 치닫으면서 인명피해까지 발생시키는 등 겉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인명 피해도 발생해 현재 최소 3명이 숨지고, 7명이 실종됐으며 6천여 명 이상의 주민이 대피한 상태다.

주택도 이미 150채가 전소됐다. 산불진압에 동원된 소방관도 30여명이 다쳤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현재 삼림 1만2450 헥타아르의 삼림이 불에 탔다.

이처럼 산불로 인한 사회적 우려가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는 연방정치권과 사회 일각에서는 산불과 기후변화의  연계성 문제를 놓고 설전을 벌이고 있다.

녹색당의 아담 밴트 의원이 “이번 산불 사태의 근본 원인은 기후변화 정책을 게을리 한 연방정부의  책임이다”라고 기후변화 논쟁의 군불때기에 나서자 마이클 매코맥 연방부총리는 “도시형 녹색주의자들은 잠에서 깨라”로 일갈했다.

그는 “산불의 원인을 기후변화로 돌리려는 도시형 환경운동가들의 주장은 어불성설이다”라고 추가 공격을 가했다.

하지만 일부 환경학자는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아이러니 하게 이 산불이 탄광 지역을 초토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울릉공 대학의 산불전문학자 로스 배르스톡 교수는 “해마다 산불이 악화되고 있는데, 가장 쉬운 예로 기후변화로 우리의 삼림이 말라 비틀어지면서 산불에 더욱 열악해졌다”고 말했다.

한편 산불 피해 지역을 돌아보고 있는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와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 주총리를 향해 일부 환경운동가들은 “기후변화는 현실이다.  당장 대책을 마련하라”고 소리치며 시위를 벌였다.

사진(AAP Image/Peter Rae) 산불 비상 사태를 선포한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 주총리가 NSW  농촌소방청 상황실을 방문해 산불 상황 등에 대해 보고받고 있다.  

©TOP Digital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57 호주 호주 방문 중 참변 당한 한국인 가족 톱뉴스 17.12.25.
1956 호주 멜버른 차량 인도 돌진범 사이드 누리 살인미수죄로 기소 톱뉴스 17.12.25.
1955 호주 ‘故 종현’ 애도 물결 호주까지… 톱뉴스 17.12.25.
1954 호주 UN 안보리 새 대북제재 결의…비숍 외무장관, “매우 적절한 조치” 톱뉴스 17.12.25.
1953 호주 톱 독자 선정 2017년 10대 뉴스 톱뉴스 17.12.25.
1952 호주 2018년 새해, “시드니 불꽃놀이”로 맞이해요 톱뉴스 17.12.22.
1951 호주 즐기면서 카운트다운 톱뉴스 17.12.22.
1950 호주 불꽃놀이, 최적의 장소는? 톱뉴스 17.12.22.
1949 호주 동성결혼의 합법화는 왜 역사적인 사건일까? 톱뉴스 17.12.21.
1948 호주 “법정 임금 현실적인가….? 깊어지는 호주 사업체의 고민 톱뉴스 17.12.21.
1947 호주 연방정부 신임 각료 취임선서 톱뉴스 17.12.21.
1946 호주 포스테코글루, “J리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사령탑 맡는다” 톱뉴스 17.12.21.
1945 호주 새 이민자 복지 수당 문호 축소…대기 기간 1년 연장 톱뉴스 17.12.21.
1944 호주 한인 최 모 씨를 북한 경제 스파이로 유도한 시드니의 친북인사는…? 톱뉴스 17.12.21.
1943 호주 연방경찰, 시드니 한인 최 모(59) 씨, 북한 경제 간첩 혐의로 체포 톱뉴스 17.12.21.
1942 호주 “베넬롱 전투” 승자는 자유당 존 알렉산더 톱뉴스 17.12.21.
1941 호주 베넬롱 보궐선거 D-0…최후의 승자는? 톱뉴스 17.12.21.
1940 호주 ‘베넬롱 선거구’ 보궐선거, 자유당 존 알렉산더 승리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
1939 호주 북한 미사일 부품 등 수출 도운 한국계 호주인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
1938 호주 올 여름 휴가 시즌을 기해 방문할 만한 최고의 해변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