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사진#1373(산불스모그).jpg

시드니 대기 오염 상태가 심각해짐에 따라 거리에 마스크를 착용한 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금주 월요일(9일) 캠시 거리 신호등에 서 있는 마스크 착용 행인들. 사진: <한국신문>

 

시드니 파란 하늘 사라졌다... 산불 스모그 심각

대기 오염 위험 수위, 곳곳에서 마스크 착용 주민들 늘어나

 

현재 NSW 주 120여 곳에서 한 달 이상 계속되고 있는 역대 최악의 산불 사태로 인한 스모그 현상이 심화되면서 시드니의 대기 오염 상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또한 산불 지역 중 50여 곳은 여전히 통제가 되지 못해 애쓰고 있는 상황이다.

NSW주 환경청의 발표에 따르면 이미 지난주(5일) 시드니의 대기 오염은 실시간 대기질 지수(AQI)가 '건강에 매우 해로운 수준'(미국 기준)으로 규정된 206을 기록했는데, 이는 공기질이 매우 나쁜 중국 상하이가 같은 시간 기록한 160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AQI 미국 기준에 따르면 '좋음'(0∼50), '보통'(51∼100), '노약자 건강에 나쁨'(101∼150), '일반인 건강에 나쁨'(151∼200), '매우 건강에 나쁨'(201∼300), '위험'(301∼500) 등 6단계가 있다 - 편집자 주]

호주 기준은 AQI가 200을 넘으면 '위험 수위'로 보는데, 지난주부터 AQI가 이미 위험 수준을 넘어섰으며 금주 들어 점점 더 나빠져 2622까지 치솟은 지역도 있었다. 지난해 산불 시즌에는 시드니 지역 AQI가 200을 넘은 날만 넘은 날은 단 하루뿐이었고, 그 전 시즌에는 이런 날이 아예 없었다. 금주 12일(목) 오전 현재 기상청의 예보에 따르면 다음 주에는 더욱 기온이 높아지고 건조한 날씨가 계속될 전망이어서 시드니 대기 오염 수준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시드니 대기 오염 상태가 심각해짐에 따라 거리에 마스크를 착용한 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공기질에 민감한 노약자들뿐만 아니라 젊은 사람들도 마스크를 착용하고 다니는 모습이 시내와 각 동네 주요 거리에 늘어나고 있다. 보건 당국에서는 시민들에게 (특히 노인, 어린이, 환자는) 외출을 가능한 삼가고 실내에 머물며 창문과 문을 닫아 외부 공기를 잘 차단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한편 올해 NSW 뿐만 아니라 퀸즐랜드 및 남부 호주 등 호주 전역에서 대규모의 산불 사태가 예년 보다 이르게 발생한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하며 연방 정부의 환경 정책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주전(2일)에는 최근 산불 화재로 집이 불에 타버린 한 여성이 캔베라 연방국회의사당 앞에서 타버린 집의 잔해와 잿더미를 쏟아버리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정부의 기후 정책에 대한 불만과 항의의 표시였던 것이다. 스콧 모리슨 총리는 연방 정부의 기후 대책이 산불 사태를 키웠다는 주장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종합(산불스모그)2.jpg

한 달 이상 계속되고 있는 역대 최악의 NSW 산불 사태로 인한 스모그 현상이 심화되면서 시드니의 대기 오염 상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사진은 지난 주말 산불 스모그에 뒤덮인 시드니 하늘 모습.

 

보건당국 권고사항 (출처: 서울대학교 건강칼럼)

•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에는 호흡기나 심혈관 질환자, 아이와 노인, 임산부는 외출을 자제해야 한다. 흡입되는 미세먼지는 활동의 강도와 기간에 비례하기 때문에 건강한 성인은 과격한 실외 활동을 최소화 것이 좋다.

• 대개 도로변이 미세먼지 농도가 더 높기 때문에 도로변에서 운동하지 않도록 한다.

• 실외 활동 시에 황사마스크를 착용하고, 불가피한 외출 후에는 코와 손을 잘 씻는 것이 좋다.

• 창문을 열어 두면 외부에서 유입된 미세먼지로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창문을 닫아야 한다. 에어필터나 공기청정기가 도움이 될 수 있다.

• 실내에서 흡연을 하거나 촛불을 켜는 것은 미세먼지 농도를 높이는 것이므로 피해야 한다.

 

이기태 기자 / francislee@koreanherald.com.au

 

  • |
  1. 표지사진#1373(산불스모그).jpg (File Size:81.2KB/Download:27)
  2. 종합(산불스모그)2.jpg (File Size:19.2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6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5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4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3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2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1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0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5269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8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7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6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5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4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3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2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1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0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9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8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