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W주를 초토화시키고 있는 산불의 불똥이 새해맞이 불꽃놀이 축제로 튀고 있다.

수 만명의 시민들이 “새해 맞이 불꽃놀이 비용을 산불 구호 기금으로 전용하라”는 ‘구호’를 내걸고 불꽃놀이 거부 온라인 청원운동(Change.org)을 펼치고 있다.

즉, 최악의 가뭄으로 막대한 피해 속에 ‘설상가상’ 식으로 최악의 산불까지 겹쳐 전 국민이 시름하고 있는 만큼 호주 전역에서 펼쳐지는 새해 전야 불꽃놀이 행사를 모라토리움(잠정 중단)해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이 확산되고 있는 것.

이들 청원인들은 “불꽃놀이 축제 비용을 산불 구호 기금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함께 펼치고 있다.

해당 온라인 청원 운동은 11월 말 시작돼,  10일 현재 15만 명 이상의 시민들이  참여하는 등 이례적으로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이들 다수는 “전례없는 역대급 산불로 인명 피해는 물론이고, 수많은 동물이 죽고 광활한 삼림이 유실됐으며, 수많은 가옥이 전소된 현실을 잊지 말자”고 호소했다.

뉴사우스웨일즈 주 전역에 걸쳐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는 산불로 인한 연무가 시드니 하늘을 뒤덮고 있으며, 일부 해안가 지역은 산불 재로 검게 물들기도 하면서 식수 오염 우려마저 자아내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온라인 청원 사이트 에는 “2019년은 홍수와 화재로 인해 호주에 비극적인 한 해다. 새해 전야 불꽃놀이에 쓸 돈을 농부, 소방관, 동물 보호론자들을 위해 사용돼야 한다. 호주 야생동물들을 보호하자”라는 글이 올라왔다.

이런 상황 속에 이미 몇몇 지역 카운슬은 불꽃놀이 행사를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 세계적으로 최대규모로 펼쳐지는 시드니 하버의 새해 맞이 불꽃놀이 행사에 지난해의 경우 580만 달러의 비용이 지출됐다.

주관 자치단체인 시드니 카운슬의 클로버 모어 시장은 “불꽃놀이 축제는 전 세계가 지켜보는 글로벌 행사인 만큼 취소할 수 없다”면서 “대신 새해 전야 행사를 가뭄과 산불 피해자들을 돕는 성금 모금을 위해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TOP Digital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97 호주 전력난 고심 SA, 세계 최대 규모 리튬이온 에너지 저장소 가동 톱뉴스 17.12.08.
1896 호주 12월 3일 문자메시지 탄생 25주년…세상의 첫 SMS “메리 X-마스” 톱뉴스 17.12.08.
1895 호주 시드니 조지 스트릿트 새단장 개통 톱뉴스 17.12.08.
1894 호주 2018년 1월 9일부터 남성과 남성, 여성과 여성 결혼식 합법화 톱뉴스 17.12.08.
1893 호주 국세청, 현금거래 집중 사업체 단속 톱뉴스 17.12.08.
1892 호주 동성결혼 법안 상원이어 하원도 통과…동성결혼 ‘합법화’ 톱뉴스 17.12.08.
1891 호주 이중국적 파동 불똥, 이번에는 노동당으로…상원 1명, 하원 4명 ‘곤혹’ 톱뉴스 17.12.08.
1890 호주 극우 선동가 밀로 이아노폴로스 “페미니즘은 반 사회적 남성혐오운동” 톱뉴스 17.12.08.
1889 호주 호주인 71%, “턴불 총리, 잔여임기 마쳐야...”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1888 호주 청년층 일자리 부족... ‘일’ 찾는 것이 젊은이들의 ‘일’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1887 호주 호주 CEO 연봉, 일반 직장인의 78배 이상... 평균 475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1886 호주 ANDC, ‘2017 올해의 단어’로 ‘Kwaussie’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1885 호주 업계 전반의 흑자... 근로자 임금 상승 뒤따를까?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1884 호주 호주 신생 기업들, 글로벌 ‘스마트 도시’ 재탄생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1883 호주 “호주의 남녀 임금격차, 그 책임은 FWC에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1882 호주 지구촌 사람들이 생각하는 과거와 현재의 삶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1881 호주 외국인의 정치인 기부 금지 등 새 정보법안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1880 호주 도심 경전철 주변 주택가격 상승, 주 정부 교통정책 성공 척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1879 호주 부동산 시장 화제- ‘Kingsway’ 주택, 올해 퀸비언 지역 경매 최고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1878 호주 “호주인 가정집 면적이 좁아진다” 톱뉴스 17.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