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취 운전 차량 역주행 인도 돌진, 3남매 및 사촌 참변

1일 일몰 경 시드니 오틀랜즈 골프장 인접 주택가 도로에서 만취 운전자의 4륜 구동형 차량이 역주행 끝에 인도로 돌진하면서 어린 3남매와 사촌 등 4명의 어린이의 목숨을 앗아가는 참극이 발생했다.

비명횡사한 3남매와 사촌은 사고 당시 유모의 보호 하에 인도 위에서 자전거를 타고 아이스크림을 사기 위해 인근 숍으로 가다 참변을 당했다.

숨진 3남매의 다른 형제도 사고로 중태에 빠졌으나 회복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발생 직후 범인은 웃통을 벗은 상태에서 경찰에 체포돼 4건의 과실치사, 음주운전 등 총 20가지 죄목으로 구속 기소됐다.  

범인은 29살의 건축업 종사자 사무엘 윌리엄 데이비슨으로 밝혀졌다.

사고 당시 데이비슨의 혈중알코올농도는 기준치의 3배인 0.150%의 만취상태였으며, 사고가 발생한 오틀랜즈의 베팅턴 로드에서 역주행을 하다 4륜 구동형 차량이 인도를 덮친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주민은 “가해자가 인근 메인 도로의 신호도 무시하고 빨간불에 질주했다”는 증언도 내놨다.

경찰관 출신인 그의 부친은 사건 발생 직후 “피해자 가족들에게 사죄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참사 다음날 아침 비가 내리는 가운데 오틀랜즈 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사고 현장에 조화 다발을 헌화하기 시작했고, 애도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사진= 톱 뉴스 최윤희 기자.  사고 현장에 쌓인 조화 다발.  훼손된 오틀랜즈 골프장 펜스가 사고 당시의 순간을 떠올린다.  

<사진=톱 뉴스 최윤희 기자.  사고 현장에 놓인 조화 다발과 추모 물품들>

또한 3일 방과후 시간에 즈음해서는 숨진 아들 안토니(13)군과 여동생 안젤리나(12)와 시에나(8)가 재학중이던 킹스 스쿨과 타라 앵글리칸 스쿨의 급우들이 대거 애도하며 눈물을 흘리는 모습이 목격됐다.

같은 날 저녁 7시 30분에는  수백명의 지역 주민들과 피해 어린이 친인척이 모인 가운데 추모 예배가 거행됐다.

 

<사진= 톱 뉴스 최윤희 기자. 3일 오후 7시 30분에 거행된 추모 예배에는 지역 주민들과 피해자 친인척 등 수백명이 모였다.  NSW주 노동당의 조디 맥케이 당수의 참석도 목격됐다.>

 

피해자 자녀의 부모 압달라 씨 부부는 레바논 계 기독교인들이다.

부모는 “망연자실할 뿐이다”면서도 “마음으로 가해자를 용서하겠다. 아들 딸들이 더 좋은 세상에서 영면할 수 있도록 기도해 달라"고 말해 참석자들을 오열케 했다.

 

@TOP Digital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37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찬성’ 61.6%... ‘압도적’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36 호주 ‘베넬롱’ 선거구 보궐선거에 케닐리 전 NSW 주 총리 도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35 호주 시드니 문화예술 공간 대규모 보수공사... 각 단체들 ‘이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34 호주 호주 ‘사커루’, 지역-대륙간 PO 끝에 러시아 행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33 호주 ‘Cash-poor’ 백만장자들의 소비 경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32 호주 시드니 도심 ‘마틴 플레이스’, ‘실리콘 플레이스’로 변모?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31 호주 호주 저명 학자, “중국 정부로부터 침묵 강요당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30 호주 호주 비즈니스 여건, “지난 20년 이래 ‘최상’의 상황...”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29 호주 호주, 중국의 ‘해외 부동산 투자 국가’ 부동의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28 호주 전 세계 100대 ‘스마트 도시’에 호주 4개 도시 랭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27 호주 ‘Sydney Modern’ 새 프로젝트, 최종 디자인 나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26 호주 NSW 주 정부, 지역사회 언어학교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2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거래 둔화 속 낙찰 가격 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1824 호주 “사람답게 살고자 탈북을 결심했고, 현재 자유를 만끽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1823 호주 시드니 일자리 ‘붐’... “교통 및 주택 가격에 압박 가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1822 호주 이네웨스트 일부 구간, 향후 5년간 교통 혼잡 감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1821 호주 호주 여행 작가의 Tips and advice on travel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1820 호주 가정폭력 문제 심각... 자살여성 5명 중 1명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1819 호주 호주인들이 가장 자주 위험에 처하는 해외 여행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1818 호주 “NSW 학교들, ‘핵심 생활기술’ 교육에는 뒤처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