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브레이크뉴스=윤보미 객원기자>

 

▲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악성이메일이 유포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사진은 악성 이메일이 우회 아이피를 사용하고 있다는 black cyber 설명. BLACK CYBER YOUTUBE 캡처  © 호주브레이크뉴스


바이러스에 세계 각국이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가운데 악성 이메일까지 일상을 위협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정보로 위장해 악성코드를 퍼뜨리는 메일이 발견됐다. 국내 기업을 상대로 정보 탈취를 노린 것으로 풀이되는데 첨부 파일을 실행하면 악성코드에 감염돼 주의가 필요하다.

 

9일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에 따르면 지난 6일 ‘Coronavirus Update : China Operations’라는 제목의 메일이 탐지됐다.

 

이 메일은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된 중국 내 상황과 기업 대응 등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면서 ‘생산 일정이 재개되는 일정은 첨부 파일을 확인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만에 실제로 존재하는 한 제조업체의 이름을 발신자로 써놓고 주소와 전화번호, 홈페이지까지 기재했지만 실상은 첨부 파일에 악성코드를 품은 피싱 메일이다.

 

‘Factory Contacts and Office Resumption.zip’라는 이름의 첨부파일을 내려받고 압축을 풀어 나오는 파일을 실행하면 사용자 PC에 악성코드가 감염된다.

 

이 악성코드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면서 감염된 PC의 키보드 입력을 가로채는 키로깅, 컴퓨터를 마음대로 움직이는 원격제어 등 백도어(뒷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메일은 인터넷에 공개된 국내 기업 메일 주소 등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유포되고 있다.

 

보안 전문가들은 의심스러운 메일은 열어보지 말고, 백신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당부했다. 문종현 이스트시큐리티 ESRC센터장은 “사회적 관심사로 사용자를 현혹해 첨부파일을 열어보게 만드는 형태”라며 “해외 기업과 거래하는 국내 기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메일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악용한 스미싱 스팸 문자나 보이스피싱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경찰청과 방송통신위원회·금융감독원은 가짜뉴스를 중대한 범죄행위로 규정하고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엄정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까지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접수된 스팸 신고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안내·공지를 사칭해 다른 사이트로 유입시키는 스팸신고 건수는 260여건으로 집계됐다. 해당 스팸 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주소(URL)는 자산관리 등 홍보 사이트로 연결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news2020@aubreaknews.com

 

 

 

 

  • |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17 호주 호주 유엔인권이사국 진출… “북한인권 유린 실태 부각시킬 것” 톱뉴스 17.10.19.
3516 호주 Ch9 ‘투데이’ 진행자 리사 윌킨슨 ‘하차’…Ch10 ‘더 프로젝트’로 톱뉴스 17.10.19.
3515 호주 메디케어 정보 접속 규정 강화 움직임 톱뉴스 17.10.19.
3514 호주 퍼스 출발 ‘에어 아시아’ 급강하 소동 속 회항…승객들 공포, 분노 톱뉴스 17.10.19.
3513 호주 <연방정부> 청정 에너지 정책, ‘에너지 안정 대책’으로 대체 톱뉴스 17.10.19.
3512 호주 사커루즈 사령탑 포스테코글루 감독 ‘중국 행…?’ 톱뉴스 17.10.19.
3511 호주 호주 부동산, 지상 최고의 투자 톱뉴스 17.10.19.
3510 호주 2017 민영 라디오 시상식 ‘싹쓸이’ 2GB 청취율도 석권 톱뉴스 17.10.22.
350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9월 이후 둔화세, 다소 회복...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8 호주 채스우드 투신소동 남성, 전 여자친구 살해 혐의 기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7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되면, 동성커플 웨딩 장소 제공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6 호주 호주의 ‘국민차’ 브랜드, ‘홀든 자동차’ 생산 막 내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5 호주 이성과의 관계를 넘어 ‘자유와 독립’을 선택하는 여성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4 호주 시드니의 미래... 무인자동차-말하는 쓰레기통-자기부상열차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3 호주 NSW 주 정부, 광역시드니 ‘3개 도심’ 개발안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2 호주 “연방 경찰, 대테러 집중... 마약밀매 단속에는 소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1 호주 ‘센서스 2016’- 각 도시 및 지역별 인구 이동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0 호주 ‘센서스 2016’- 직종 변화... ‘뷰티’ 부문 일자리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499 호주 NSW-VIC 주의회 ‘안락사’ 허용 법안 검토 본궤도 톱뉴스 17.10.30.
3498 호주 호주-한국, 외교 국방 2+2 13일 서울에서 개최 톱뉴스 17.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