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세 번째 사망자).jpg

매콰리 파크(Macquarie Park)에 자리한 ‘Dorothy Henderson Lodge’(사진). 지난 2일(월), 이 양로원에서 지내던 95세 여성이 코로나 바이러스로 사망한 데 이어 지난 토요일(7일)에는 82세 남성이 같은 질병으로 사망했다, 이로써 COVID-19로 인한 호주의 사망 사례는 3건으로 늘었다. 사진 : Baptist Care

 

시드니 북부 양로원서 COVID-19 관련 사망자, 연이어 발생

양성 판정 받았던 95세 여성 이어 82세 남성도...호주의 세 번째 사망자 기록

 

시드니 북부 소재 한 양로원에서 95세 여성이 사망한 데 이어 82세 남성이 또 다시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로 목숨을 잃으면서 이번 바이러스로 인한 호주의 세 번째 사망자가 됐다.

NSW 보건부는 3월 8일(일), 매콰리 파크(Macquarie Park) 소재 ‘Dorothy Henderson Lodge’ 양로원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 반응을 보였던 82세 남성이 전날 밤(7일) 사망했다고 밝혔다. 앞서 2일(월)에는 같은 양로원에 거주해 오던 95세 여성이 바이러스 관련 사망자로 확인된 바 있다.

Dorothy Henderson Lodge에 거주하던 이들 모두 간호 직원과 접촉한 뒤 바이러스 감염 테스트에서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호흡기 문제를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NSW 보건부 최고 의료책임자인 케리 찬트(Kerry Chant) 박사는 이번 사망 발생을 발표하면서 가족에게 깊은 애도를 표했으며, Dorothy Henderson Lodge를 운영하는 ‘BaptistCare’도 “큰 슬픔을 느낀다”고 밝혔다.

‘BaptistCare’의 로즈 로우(Ross Low) 최고경영자는 “많은 이들이 상상할 수 있듯 가족은 물론 우리 모두에게 상당히 힘든 시간”이라며 “NSW 보건당국의 조언에 따라 우리는 Dorothy Henderson Lodge에 거주하는 모든 이들과 가족, 직원들을 돌보고자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로우 CEO는 “최근 감염 사례가 확인된 이후 새로운 감염은 없으며, 전염병 통제 절차에 대한 일일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NSW 주 감염 확진자,

11일(수) 아침 현재 64건

 

NSW 주 보건부는 11일(수) 아침, 미디어 브리핑에서 현재까지 주내 1만221명이 감염 여부 테스트를 받고 이 중 9천152명이 음성 판정을 받았으며, 확진자는 64명이 나왔다고 발표했다. 주내에서 현재 감염 여부 판정 대기 중인 사람은 1천4명이다.이다.

보건부에 따르면, 이달 초 의료진 감염이 확인됐던 라이드 병원(Ryde Hospital)에서 이날(8일) 아침 또 다른 30대 여성의료인이 COVID-19 양성반응을 보였다. 이 의료인은 Dorothy Henderson Lodge에서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간호 직원과 접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5일(목)에는, 지난 2월 24일 Dorothy Henderson Lodge를 방문했던 매콰리대학교 캠퍼스, 뱅시아 롯지(Banksia Cottage)의 17명 어린이들에 대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여부 테스트가 실시됐으며 같은 날, 인근 이스트우드(Eastwood) 소재 에핑 보이스 하이스쿨(Epping Boys High School)에 재학 중인 11학년 학생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로 확인되면서 전체 학생 및 60여 명의 직원 모두에게 14일간의 자가 격리(self isolate) 지시를 받았다. 이 학교는 6일(금)부터 휴교에 들어갔으며, NSW 교육부는 철저한 방역작업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7일(토)에는 이탈리아를 방문했다가 최근 돌아온 60대 남성이 코라나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또 다른 40대 남성은 이미 감염된 이들과 접촉함으로써 양성 진단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오전 11시 현재 호주의 COVID-18 확진자는 총 112명이며, 여기에는 2명의 호주 군인이 포함되어 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세 번째 사망자).jpg (File Size:60.3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17 호주 호주 퀸즈랜드주,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국제선 항공편 역학 조사 중˝ 호주브레이크.. 20.03.09.
1716 호주 호주, “화장지 전쟁 끝이 안보인다!”… 거친 몸싸움에 경찰까지 수시 출동 호주브레이크.. 20.03.09.
1715 호주 호주, 12년 만에 증시 7% 넘게 폭락…금융위기 이후 '최대 낙폭' 호주브레이크.. 20.03.09.
1714 호주 호주, ‘8조원’ 재정 부양책 내놓는다! 가계 ‘현금 지급 추진’에 재무부 난색… 호주브레이크.. 20.03.09.
1713 호주 “휴지 걱정 마세요!”…세계 각국 ‘화장지’ 대란에 묘책 호주브레이크.. 20.03.10.
1712 호주 호주, '페이스북' 법정에 섰다! ˝비허가 노출로부터 정보 보호조치 묵과˝… 호주브레이크.. 20.03.11.
1711 호주 호주, F1 개막전 예정대로 치른다! ˝무관중 경기는 어림없다!˝ 호주브레이크.. 20.03.11.
1710 호주 호주, 코로나 확진자 116명 3명 사망…뉴사우스웨일스 61명으로 증가 호주브레이크.. 20.03.11.
170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웨스트라이드 소재 주택, 9개월 만에 41만5천 달러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1708 호주 “대산호초 사멸을 방지하고 기후 변화 해결을 위해 노력하라”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1707 호주 호주 정부 관광청, 영국 여행자 대상 ‘관광 캠페인’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1706 호주 “환자를 위험에 빠뜨린다” vs “환자에게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1705 호주 도로교통 안전의 ‘잃어버린 10년’... ‘예방가능’ 사고 사망자, 최소 500명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1704 호주 뉴스 제공 ‘AAP’ 사, 85년 만에 서비스 중단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1703 호주 COVID-19로 산업시설 중단된 중국, ‘대기오염’ 크게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1702 호주 Coronavirus pandemic- ‘화장지 대량 구매행동’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1701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증상이 있는 것 같다’고 생각된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1700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이번 바이러스는 언제까지 지속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 호주 시드니 북부 양로원서 COVID-19 관련 사망자, 연이어 발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1698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전문가들, 독감백신 접종 권유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