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노후자금).jpg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은 인간의 길어진 기대수명으로 인해 은퇴자들이 퇴직 이후의 삶을 위해 비축한 노후자금이 크게 부족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호주를 비롯해 미국 등 대부분 선진국의 은퇴자들은 사망 10년 전 은퇴자금 고갈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사진: Pixabay

 

‘세계경제포럼’... “늘어난 기대수명으로 은퇴자금 크게 부족해진다”

호주, 은퇴 후 자금 vs 기대수명 격차, 남성 9.9년-여성 12.6년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오늘날 은퇴자들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해 ‘살아 있는 동안 저축액이 남아 있어야 한다는 부담감’이라는 것이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의 대답이었다.

시드니모닝헤랄드의 보도에 따르면 WEF는 지난해 6월 ‘은퇴’(Retirement)와 관련한 보고서에서 호주를 비롯해 미국, 유럽, 일본 등 각 국가 은퇴자들의 퇴직금 잔고는 늘어난 기대수명을 감당하지 못할 만큼 증가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은퇴자들은 노후 자금으로 비축한 자금을 아껴 10년 이상 버텨야 한다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이번 보고서의 공동 저자 중 하나인 세계경제포럼 기관투자 책임자인 한 익(Han Yik) 연구원은 “그 격차(저축액과 늘어난 수명)의 규모에 대해 정책입안자, 고용주, 개인의 행동이 필요한 수준”이라고 진단하면서 “더 이상의 정책적 조치가 없는 한 은퇴자들은 적은 자금으로 생활하거나 은퇴를 늦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간단하게 말해 은퇴 이후 지출을 줄이거나 은퇴 전, 더 많은 돈을 비축해 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호주, 영국, 캐나다, 네덜란드 남성의 경우 늘어난 수명과 은퇴 후의 자금 격차는 약 10년 정도라고 분석했다. 이들 국가 여성은 추가로 2-3년의 경제적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

호주 남성의 경우 65세에 은퇴하는 이들은 이후 9.7년간 생활할 수 있는 비용을 갖고 있다. 이는 평균 호주 남성의 기대수명을 감안할 때 9.9년의 격차가 있음을 보여준다. 남성보다 기대수명이 더 긴 여성의 격차는 12.6년에 달한다. 미국 남성의 이 격차는 8.3년, 여성은 10.9년이다.

다만 이 보고서는 은퇴자의 생활비를 은퇴 전 임금의 70%정도로 가정했으며 센터링크(Centrelink), 기타 정부 복지수당은 이 총액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한 익씨는 “미래를 대비해 투자를 할 경우 관리해야 할 리스크는 노후를 대비한 자금보다 더 오래 삶을 이어갈 수 있는 위험”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대수명이 늘어났기 때문에 사람들은 길어진 삶을 지속할 수 있는 충분한 은퇴 자금을 확보해야 한다”는 그는 “장기적인 마인드를 갖고 노후자금 마련을 위한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나마 호주나 미국 등 대부분의 국가 은퇴자들은 노후자금과 기대수명 격차가 남성 15년, 여성 20년에 가까운 일본에 비해서는 나은 편이다.

한 익씨에 따르면 일본 노동자들의 경우 다른 국가에 비해 저축액은 적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이익도 적게 내는 안전 자산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일본 퇴직자들은 은퇴 이후 4.5년을 생활할 수 있을 자금만 확보할 뿐이다. 현재 일본 여성의 출생 시 기대수명은 87.1세로 전 세계에서 가장 길다. 경제협력기구(OECD) 자료에 따르면 일본 남성의 평균 기대수명은 81세이다.

한편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은퇴자의 은퇴자금 격차는 2015년 70조 달러(이하 미화 기준)에서 2050년에는 400조 달러 이상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국가별로는 미국 퇴직자들의 은퇴자금 격차는 137조 달러가 가장 규모가 클 것으로 전망되며 중국(119조 달러), 인도(85조 달러)이 뒤를 이을 것으로 예상됐다.

 

종합(노후자금)2.jpg

사진: Pixabay

 

은퇴자금과 수명 격차

(국가 : Average saving / Life expectancy past saving)

남성

US : 9.7년 / 8.3년

Netherlands : 8.9년 / 9.6년

UK : 8.5년 / 10.3년

Australia : 9.7년 / 9.9년

Canada : 9.3년 / 9.9년

Japan : 4.5년 / 15.1년

 

여성

US : 9.7년 / 10.9년

Netherlands : 8.9년 / 12.2년

UK : 8.5년 / 12.6년

Australia : 9.7년 / 12.6년

Canada : 9.3년 / 12.7년

Japan : 4.5년 / 19.9년

(Source: World Economic Forum Analysis)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노후자금).jpg (File Size:80.6KB/Download:10)
  2. 종합(노후자금)2.jpg (File Size:28.8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97 호주 토요타 VIC 공장 3일부로 폐쇄…90년 역사 대단원 톱뉴스 17.10.06.
1696 호주 특정 도시에 편중된 주택 시장 열기…그 이유는? 톱뉴스 17.10.06.
1695 호주 [2017 세계 주거의 날] 지구촌 16억, “판자촌” 거주 톱뉴스 17.10.06.
1694 호주 ‘북유럽 st’이라면 뭐든지 좋아 톱뉴스 17.10.06.
1693 호주 내 자녀도 호주와 한국 이중국적? 톱뉴스 17.10.06.
1692 호주 이민부 호주 내 난민희망자 추방 조치 가속화 톱뉴스 17.10.06.
1691 호주 호주, 北 위협 맞서 새 프리깃함 9척에 요격체제 갖추기로 톱뉴스 17.10.06.
1690 호주 반환점 지난 동성결혼 우편투표, 찬반 논쟁 “과열” 톱뉴스 17.10.06.
1689 호주 마누스섬 수감 타밀 난민 자살…4년 동안 6번째 사망자 발생 톱뉴스 17.10.06.
1688 호주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세대간 자산 격차 더욱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7 호주 “영국은 제한된 이민비자 고삐 풀어야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6 호주 ‘투자용 아파트 구입’ 권유되는 호주 내 5개 도시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5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유권자 4분의 3 참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4 호주 운송 서비스의 새 패러다임 ‘TAAS’, “향후 6년 이내 삶 전체를 바꿔놓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3 호주 오는 2035년, 호주 내 단일성별 학교 사라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2 호주 NSW 주 일부 유명 해변, 건강상 ‘유해’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1 호주 200만 달러로 제작된 ‘웨스트커넥스’ 광고, 효용성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0 호주 60년 전의 시드니 트램 흔적, 완전히 사라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79 호주 퀸즐랜드 내륙의 한 목장, ‘노익장’ 과시하는 101세 목축업자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78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14개월째 1.5%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