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브레이크뉴스=유하림 기자>

 

▲ 22일 호주 스콧 모리슨 총리가 “23일 정오부터, 펍, 레스토랑, 카페, 카지노, 스포츠 경기장과 영화관 등 호주 전역의 다중 밀집 장소에 대해 폐쇄 조치를 시행한다”라고 사실상의 셧다운을 선언했다.ABC NEWS 캡처     ©호주브레이크뉴스

 

호주 코로나 19 사태가 정부와 전무가 집단의 갈등 양상으로 번지고 있는 모양새다. 확진자 증가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3단계 완전 폐쇄 조치’가 나올지 주목되는 상황이다.

 

호주에서 전문가들로 구성된 코로나 19 패널의 한 교수는 “호주 정부가 더 강력한 폐쇄 조치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국가의 사망자 명단이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같은 경고를 하고 있는 전문가 집단 패널은 한 명이 아니다.

 

뉴사우스웨일스대학(UNSW)의 바이오시큐리티 프로그램 라이나 매킨타이어(Raina MacIntyre) 교수는 경고를 하는 전문가 집단 패널 중 한 사람이다. 라이나 교수는 “정부가 전문가들의 조언을 듣고 있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그녀는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패널의 대다수가 이 문제에 적극적으로 찬성했다"고 말했다.

 

이어 "또 다른 대안은 사태가 걷잡을 수 없게 되고 건강체계가 감염되기 시작할 때까지 기다리는 겁니다”라며 "그렇다면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에서 우리가 보아온 그런 모든 조치를 시도해보십시오. 그러나 그때쯤 되면 전염병이 너무 커서 성공할 확률은 낮고 그로부터 회복할 시간은 훨씬 길어진다”며 정부의 권고 무시를 비꼬았다.

 

또 그녀는 “우리가 지금 강경하게 접근하지 않는다면 장기적으로 볼 때 더 큰 경제적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감염을 통제하지 않으면 경제적 손실이 훨씬 더 커지고 회복 시간도 훨씬 길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매킨타이어 교수의 말에 의하면 “단계별 셧다운 방식으로 사망자가 더 늘어날 수 있다”라며 "우리는 더 많은 사례와 잠재적으로 더 많은 사망자를 보게 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매킨타이어 교수는 “사망자 수를 안정시키기에는 아직 늦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만, 70~80%의 사람들이 접촉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같은 권고는 호주 8개 대학의 학계 위원회에 의해 모였고 지난 23일 그렉 헌트 보건부 장관에게 서한을 통해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학계가 제출한 권고안에는 ‘더 강력한 신체적인 거리 두기, 학교 폐쇄 등이 포함됐다.

 

▲ 지난 24일 호주 모리슨 총리가 호주 전역에 '2단계 봉쇄' 조치를 발표했다. 이번 조치 25일 자정 부터 시행되는데 채 시자도 전에 3단계 논의가 진행 될 예정에 있어 호주 경제에 대한 큰 우려를 낳고 있다. ABC NEWS LIVE     ©호주브레이크뉴스

 

한편 25일 기자회견에서 스콧 모리슨 총리는 ‘전면적 폐쇄’는 권고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위원회가 촉구한 대로 정부가 왜 전면적인 폐쇄를 시작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권고되지 않았다”고 재차 말했다. 정부가 전면 폐쇄에 대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두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현재 26일 9시(현지 시간) 기준 호주 전역에서 2676명의 코로나 19 확진자가 나왔다. 주별로는 NSW 1219명, VIC 520명, QLD 443명, WA 205명, SA 197명, ACT 44명, TAS 42명, NT 6명이 확인됐다.

 

교민들도 외출 시 기본적인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외출을 당분간 자제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 되는 시점이다.

 

news2020@aubreaknews.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57 호주 동성결혼 반대 토니 애벗 전 총리 “내우외환” 톱뉴스 17.09.29.
1656 호주 [9.23 NZ 총선] 국민당 역대 최고 득표율(46%)로 58석 확보…과반의석 3석 부족 톱뉴스 17.09.29.
1655 호주 [9.23 NZ 총선] 자신다 신드롬’ 노동당 “정권 탈환하나?” 톱뉴스 17.09.29.
1654 호주 로켓맨 통치 북한 완전파괴 트럼프 발언에 호주 정치권 ‘긴장’ 톱뉴스 17.09.29.
1653 호주 “호주가 ‘균등’에 뒤처져서는 안된다”…빌 쇼튼 동성결혼 지지 재차 호소 톱뉴스 17.09.29.
1652 호주 동성결혼 반대단체 ‘탄압’과 ‘박해’ 우려 제기 톱뉴스 17.09.28.
1651 호주 파이필드 통신장관 “미디어 개혁법은 시대적 요구” 톱뉴스 17.09.28.
1650 호주 대도시-지방학교 학생들, 학업성적 격차 더욱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1649 호주 Want a job? 보건-전문직 서비스 부문 일자리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1648 호주 백인 우월주의자들, 동성결혼 반대-인종 혐오 표방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1647 호주 브리즈번 대법원, 고(故) 반은지씨 살해범 심리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1646 호주 “1년에 음주량 1리터 줄이면 간암 발병률 15%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1645 호주 Spring Season... Best Things To Do in Leura Village, Blue Mountains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1644 호주 동성결혼 우편조사, 찬-반 진영간 폭력 양상 발생...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1643 호주 “높은 가계부채 감안, 기준금리 인상에 신중 기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1642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안전’ 관련 설문조사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1641 호주 9월 넷째 주 경매, 낙찰률 및 매물 등록주택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1640 호주 연방정부, 초등학교 1학년 대상 기초학력테스트 도입 검토 톱뉴스 17.09.26.
1639 호주 [9.23 NZ 총선] 한국계 멜리사 리 당선확정…4선 성공 톱뉴스 17.09.26.
1638 호주 호주 4대 은행, 타 은행 ATM 인출 수수료 전격 폐지 톱뉴스 17.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