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여름시즌 1).jpg

호주연구원(Australia Institute)이 1999년에서 2018년 사이의 호주 기상청(Bureau of Meteorology. BOM) 자료를 기반으로, 1950년에서 1969년 사이 기상 기록을 비교, 분석할 결과 호주 각 지역 도시의 여름 기간이 이전에 비해 크게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맨리 비치(Manly Beach)에서 서핑을 준비하는 방문자들. 사진 : NSW 관광청

 

‘Australia Institute’, 기상청 데이터 분석... 평균 31일 늘어

 

호주의 여름 시즌이 훨씬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각 주 도시의 늘어난 여름 기간은 평균 31일이다.

이는 호주연구원(Australia Institute)이 호주 기상청(Bureau of Meteorology. BOM) 데이터를 분석한 것으로, 연구원들은 1999년에서 2018년 사이의 기상자료를 기반으로, 이를 1950년에서 1969년 사이 기상 기록과 비교했다.

그 결과 호주 각 지역 도시(각 주 주도)는 여름이 길어졌고 겨울은 짧아졌다. 각 도시의 길어진 여름 기간은 평균 31일이었으며, 겨울은 50년대 및 60년대와 비교해 3주가 짧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보다 넓은 범위의 각 지역(region)별로 보면 NSW 중서부 포트 매콰리(Port Macquarie)의 경우 이 같은 경향이 두드러졌다.

‘Australia Institute’ 보고서는 포트 매콰리의 여름은 무려 48일이 길어졌으며 지난해 하반기 심각한 산불이 발생했던 이 도시 인근은 공식 여름 시즌(12월-2월) 전에 산불이 시작된 가운데, 길어진 여름 시즌 내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번 분석에서 2명의 연구원은 호주 비 열대(non-tropical) 지역 70개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원은 ‘Out of Season’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가 호주 계절 양상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고 결론지었다.

‘Australia Institute’의 기후 및 에너지 부문 리치 머지안(Richie Merzian) 연구원은 “보통 12월 초의 기온이 보다 일찍 기록되고 있다”면서 “만약 여름이 점점 길어진다고 느낀다면, 실제 그러하기 때문이며 특히 나이가 많은 이들이라면(호주에서 오래 거주한 사람이라면) 더욱 그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머지안 연구원은 이어 “여름 평균 기온이 일찍 기록되고 늦게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호주의 여름은 지난 5년 사이에만 겨울 기간에 비해 두 배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Australia Institute’는 공공정책을 연구하는 독립 연구기관이다.

 

종합(여름시즌 2).jpg

이번 분석에서 NSW 주 중북부 포트 매콰리(Port Macquarie)는 여름 기간이 가장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산불 전문가들은 여름 시즌이 길어지면서 산불 또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했다. 사진은 2019년 7월 처음 발화돼 무려 7개월 이어진 포트 매콰리 인근의 산불. 사진 : 인스타그램 / Laura Begbie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시드니의 경우 50, 60년대와 비교해 여름은 28일 늘어났고 겨울은 15일 짧아졌다. 여름 기온이 일찍 시작된 도시는 캔버라(Canberra)로, 지난 5년 사이 캔버라의 여름은 35일이 늘어났고 겨울은 같은 일수만큼 짧아졌다. 또 멜번(Melbourne)의 여름은 38일이 늘어난 반면 겨울은 19일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를 얻어내기 위해 연구원들은 50, 60년대 여름 평균 기온이 얼마였는지를 조사한 다음 지난 20년 동안 같은 기온에 도달한 날짜를 확인했다.

이번 조사 결과 길어진 여름 기간이 산불과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진단이다. 여름이 가장 길어진 포트 매콰리 인근, 린필드 파크 로드(Lindfield Park Road)의 산불은 2019년 7월에 처음 발화되어 7개월이나 이어졌다.

‘Australia Institute’의 이번 보고서와 관련, NSW 지역소방청(NSW Rural Fire Service) ‘미드 코스트 소방대’(Mid Coast District Officer)의 스튜어트 롭(Stuart Robb) 책임자는 “기온이 상승할수록 산불 시즌 또한 길어질 것”이라고 우려하면서“이로 인해 여름 시즌을 앞두고 각 지역 토지소유자, 관련 기관은 위험감소 작업을 해야 하는 추가 압박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여름시즌 1).jpg (File Size:142.1KB/Download:26)
  2. 종합(여름시즌 2).jpg (File Size:86.5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37 호주 K‘POP’ the Concourse!, 채스우드서 야외공연으로 호주한국신문 14.04.17.
5236 호주 “일상의 스트레스, 통기타로 날려버려요~~” 호주한국신문 14.04.17.
5235 호주 애보트 수상, 시드니 제2공항 부지로 ‘뱃저리스 크릭’ 결정 호주한국신문 14.04.17.
5234 호주 조 호키 장관, ‘노인연금 수령 70세로 상향’ 검토 호주한국신문 14.04.17.
5233 호주 벨뷰 힐(Bellevue Hill), 전국 최고 주택투자 지역으로 꼽혀 호주한국신문 14.04.17.
5232 호주 호주인들 공화제 지지 비율 42%로 낮아져... 역대 최저 호주한국신문 14.04.17.
5231 호주 호주 자동차 제조업 붕괴로 20만 개 일자리 사라져 호주한국신문 14.04.17.
5230 호주 NSW 주 오파렐 수상, 고가 와인 수뢰 시인하고 사임 호주한국신문 14.04.17.
5229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키로 호주한국신문 14.04.17.
5228 호주 애보트 수상 인기도 하락, 녹색당 지지도 급상승 호주한국신문 14.04.17.
5227 호주 청정 호주? 일부 해변들, 불법 폐기물 투기로 ‘몸살’ 호주한국신문 14.04.17.
5226 호주 경전철 연장으로 마로브라 부동산 가격 ‘들썩’ 호주한국신문 14.04.24.
5225 호주 시드니 시티, 대대적인 아파트 건설 붐 호주한국신문 14.04.24.
5224 호주 한국 방문 호주 교장들, “뷰티풀, 멋있어요” 호주한국신문 14.04.24.
5223 호주 “그날 이후-금기가 시작되었고... 깨졌다” 호주한국신문 14.04.24.
5222 호주 갈리폴리 상륙 99주년 ‘안작 데이’ 호주한국신문 14.04.24.
5221 호주 호주판 ‘늙은 군인의 노래’, ‘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 호주한국신문 14.04.24.
5220 호주 부동산 분석가들, 시드니 부동산 ‘안정기’ 분석 호주한국신문 14.04.24.
5219 호주 배어드 신임 주 수상, 차기 선거 겨냥한 개각 단행 호주한국신문 14.04.24.
5218 호주 중국, 호주 주요 대학에서 스파이 활동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