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jpg

코로나 바이러스 증상을 보이지 않는 이들 가운데서도 실제로는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들이 최대 11배에 이른다는 연구가 있다. 전염병 학자들은 공식 확진자 외 COVID-19 감염자를 찾아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 Business2community 제공

 

무증상 감염자 관련 미 대학 연구팀 조사, 공식 기록보다 11배 수치 확인

전염병 학자들, “많은 검진으로 호주의 미확인 감염자 많지 않을 것” 진단

 

만약 1천 피스의 지그소 퍼즐(jigsaw puzzle)을 구매했는데 정작 그 안에 100개의 퍼즐 조각이 담겨 있다면, 그것만으로는 퍼즐이 완성되었을 때의 모습을 상상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조각이 있어야 전체 그림을 추측하기에 충분하고, 어느 정도 없어도 된다면, 그 수는 얼마일까.

어떤 면에서 이 퍼즐 비유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실제 확산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진단 테스트를 받는 이들의 데이터만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COVID-19에 (본인도 모르는 가운데) 감염되었지만 진단 테스트를 받지 않은 많은 이들이 있다. 이들은 미등록 환자이며, 이는 바이러스가 조용하고 은밀하게 파지는 데 기여한다.

현재 다시금 감염자가 증가한 빅토리아(Victoria) 주의 경우 공식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더 많은 감염자들이 있다면, 그리고 그 수가 매일 공식 집계되는 수의 10배가 된다면, 사람들은 어떻게 반응할까.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이지만 공식 확진자로 등록되지 않은 경우, 그 결과는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이들로 인한 미확인 전파, 나아가 실제 감염자 대비 사망비율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에서이다.

그렇다면 실제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가 얼마나 있는지를 추측할 수는 있는 것일까.

 

미국 연구진 실험,

공식 확인 사례보다 11배 많아

 

미국 인디애나대학교(Indiana University) 건강정책 학자인 니르 메나체미(Nir Menachemi) 교수는 이를 시도한 사람이다.

그의 연구팀은 COVID-19 실제 감염자 및 이의 항체유무 확인을 위해 인디애나 주 거주민들을 무작위로 선정, 진단검사를 실시했다. 이 실험에는 12세 이상 주민 3천 명 이상이 참여, 지난 4월 25일에서 29일 사이에 검사를 받았다.

그 결과 메나체미 교수는 인디애나 주의 실제 감염 건수가 공식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11배가 많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는 엄청난 수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에 크게 놀라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미 공식 확진자 외에 상당수의 미확인 감염자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었다는 메나체미 교수는 “우리가 이 전염병 상황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피라미드의 맨 위에 있는 환자, 사망자, 또는 비교적 증상이 심한 사람들의 수치에서 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나체미 교수 연구팀은 이 조사를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 사망률은 0.58%로, 당국의 추정 범위(0.26%에서 0.65%) 내에 있다고 결론지었다.

 

호주의 ‘퍼즐 조각’, 너무 적다

 

현재 호주는 전 세계에서 최고의 검진을 실시하는 국가 중 하나이다. 전 세계 빈곤, 질병, 기아, 기후변화, 전쟁, 생존위험, 평등 등에 초점을 둔 온라인 매체 ‘Our World in Data’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후 호주의 COVID-19 검진은 인구 1천 명 당 110명이다.

호주보다 많은 테스트 비율을 보인 국가는 아랍 에미리트(1천 명 당 390명), 바레인(360명), 덴마크(200명), 러시아(150명)가 있다.

시드니대학교 전염병 전문가인 아담 캄라트-스콧(Adam Kamradt-Scott) 박사는 “이처럼 높은 검진 비율로 우리는 전국의 COVID-19 사례 대부분을 감지한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호주에서 드러나지 않은 감염자를 찾아내고자 노력하고 있는 NSW대학교 전염병 학자 존 칼도르(John Kaldor) 교수는 호주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보다 큰 그림을 갖고 있다는 데 동의한다.

그는 “우리는 매우 높은 수준의 테스트를 시행하기에 다른 국가들에 비해 드러나지 않은 감염자 수는 아주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칼도르 교수와 그의 연구팀은 항체를 찾기 위해 코로나 바이러스가 아닌 다른 이유로 채취한 혈액 샘플을 분석해 공식 등록되지 않은 COVID-19 감염자를 추정하고 있다.

항체를 위한 혈액검사는 우선 시드니를 중심으로 NSW 주 적십자사 샘플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대상자 테스트는 익명으로 진행, 개인 신원은 밝히지 않으며 나이, 성별, 거주지 우편번호만 공개된다.

칼도르 교수는 “이 조사 결과는 지역사회에서의 감염발생 사례를 보다 잘 관리하고 어떻게 진단 전략을 강화할 것인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라며 “특정 연령대나 지역에 관계없이 얼마나 많이 진단검사를 빠뜨렸는지, 또 어디에서 빠뜨렸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가벼운 증상의 경우 확진 판단 어려워

 

공식 확진자로 등록되지 않은 대부분의 사례는 증상이 없거나 심각하지 않은 경증의 감염자이다. 이제까지의 연구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COVID-19 감염자 비율에 대해 “확정적이지 않지만 18%에서 80%까지 다양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인디애나대학교 메나체미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공식 등록되지 않은 가운데서 연구팀 조사를 통해 감염자로 밝혀진 이들 중 44%가 검사 전 2주 동안 아무런 증상이 없던 이들이었다.

NSW대학교 의학연구소인 ‘커비연구소’(Kirby Institute)의 바이오 보안프로그램 책임자 라이나 매킨타이어(Raina MacIntyre) 교수는 “많은 증거들은 우리에게 ‘COVID-19에 감염된 상태이지만 무증상(asymptomatic) 또는 발현 전단계의 감염(presymptomatic infection)이 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유람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호에 대한 연구 결과를 언급하면서 “탑승자 3분의 2가 무증상 감염으로 나타났다”며 “노인요양 시설 및 다른 감염 발생에 대한 연구 또한 모든 양성 판정자의 50% 이상이 무증상이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 바이러스 초기, 중국 내에서 COVID-19 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한 데는 은밀하게 전파한 이들의 책임이 컸다는 진단이다.

미 컬럼비아대학교 제프리 샤먼(Jeffrey Shaman) 교수는 이 자료를 분석, 코로나 바이러스가 공식 발표된 지난해 12월 30일 이후 올 1월 23일까지 이미 전체 감염자의 86%가 COVID-19 확진자로 등록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감염자이지만 집계되지 않은 이들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공식 확인자의 3분의 2에 할하는 이들을 감염시켰다는 분석이다.

샤먼 교수는 “감염이 확인된 모든 사례에 5에서 10, 심지어 12에서 15를 곱해야 전체 감염자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빅토리아 주의 감염자 상황에 대해서는 “이 승수가 조금은 낮을 것”이라며 “아마도 10분의 1보다는 5분의 1정도로 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커비연구소의 매킨타이어 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이런 ‘침묵의 전파’을 받아들이는 데 주저하고 너무 느리게 대처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현재 빅토리아 주는 증상이 없는 경우 특별한 상황 또는 접촉자 추적을 통해 검사를 요구받지 않는 한 테스트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다만 주 보건당국은 “증상을 보이지 않는 이들이 검사를 받아 음성으로 판명되더라도 여전히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있을 수 있기에 감염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5-1.jpg (File Size:65.4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97 호주 복지수당 수급자 대상 약물 테스트 도입 톱뉴스 17.08.25.
1496 호주 젊은 부부들의 멀어져만 가는 내 집 마련 꿈 톱뉴스 17.08.25.
1495 호주 ‘내 집’ 마련 밀레니얼 세대 40% “심한 모기지 압박감” 톱뉴스 17.08.25.
1494 호주 '男에게 추가 요금 부과하는 호주 카페?! 톱뉴스 17.08.25.
1493 호주 패션브랜드 갭, 호주 시장서 철수 톱뉴스 17.08.25.
1492 호주 ‘부르카 깜짝 쇼’ 폴린 핸슨, 그는 누구인가 톱뉴스 17.08.25.
1491 호주 동성결혼 우편투표 초읽기…호주 국민의 선택은? 톱뉴스 17.08.25.
1490 호주 일과 삶의 균형... 주(week) 15시간 노동은 가능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9 호주 전 세계 가장 ‘살기 좋은 도시’ 멜번? “재평가되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8 호주 시드니 일부 지역, 모기지 상환 부담 ‘상당’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7 호주 Australia's best country and outback festivals(3)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6 호주 NSW 주 상위 10개 포키머신 호텔 수입, 연간 1억2천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5 호주 멜번 ‘대어빈 시티’도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폐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4 호주 스페인 테러 실종 호주 어린이 캐드만, 사망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3 호주 집 앞에서 버스를... ‘주문형’ 대중교통 ‘시범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2 호주 “젊은층의 폭음? 고령층 알코올 남용이 더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1 호주 중국 정부, 자국 기업의 대규모 해외투자에 제동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0 호주 호주 방문 중인 덴마크 프레데릭 왕자, 브리즈번서 ‘굴욕’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79 호주 해외 여행객 증가로 시드니 국제선 이용객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78 호주 주택경매 낙찰률, 6월 이후 2개월 만에 70% 이하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