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jpg

기침이나 재채기에서 나오는 액체 기포들로 인한 전파에 대해서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지만 물체의 표면을 접촉함으로써 감염될 위험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아직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손을 자주 씻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사진 : Unsplash

 

“물체 표면 접촉을 통한 감염 가능성, 명확한 증거 없지만 위험은 있다”

 

공기 중의 바이러스 전파를 통해? 아니면 사람들이 자주 접촉하는 물체의 표면을 통해? 어느 쪽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을까?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생한 지 7개월 이상이 지났음에도 이에 대한 방역 문제는 여전히 큰 숙제로 남아 있다. 전염병 발생 초기, 봉쇄를 통해 어느 정도 감염을 차단했던 다수 국가들에서 새로운 감염 확진 사례가 속출하는 상황이다.

COVID-19 사태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관련 학자들의 연구 또한 계속되며,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새로운 정보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공기 중의 바이러스 전파에 대한 내용 또한 마찬가지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최근 공기 중의 침방울을 통해 감염되는 것과 관련된 조언을 강화했다.

그렇다면 물체의 표면을 통한 전염은 어떨까. 최근 전 세계 일부 국가 또는 지역에서 새로운 감염자가 속출하는 2차 전염사태가 발생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궁금증도 늘어간다. 보건당국 또는 의료진이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은 △물체 표면과의 접촉이 일부 지역의 무더기 감염 원인인가, △감염자 속출 지역에서 나오는 물품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 △냉장-냉동고에서 바이러스는 얼마나 오래 생존할 수 있는가 등으로 압축된다.

이와 관련, 전염병 전문가들은 공기 중의 침방울을 통한 전염과 관련해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 초기에 비해 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지만 표면 접촉을 통한 전파 관련 정보는 크게 달라진 게 없다고 말한다.

 

▲ 코로나 바이러스가 물체의 표면에서 생존하는 시간은= 전염병 학자이자 WHO의 전문가 패널 위원인 NSW대학교 매리-루이스 맥로우스(Mary-Louise McLaws) 교수는 독감, SARS와 마찬가지로 코로나 바이러스 또한 사람들의 기침 또는 말을 하면서 튀어나오는 호흡기 속의 침방울을 통해 직접 전염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WHO는 물체의 표면 접촉을 통한 전파에 대해 ‘덜 일반적인 감염자 확산 모드’로 보고 있다.

지난 3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된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다른 유형의 물체 표면에서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의 연구진들은 실험을 통해 △72시간 후에도 스테인리스 스틸 및 플라스틱 표면에서 살아 있는 바이러스가 탐지되며, △마분지(cardboard) 표면의 바이러스는 24시간 이상 생존하지 못하고, △구리 표면의 바이러스는 4시간 이후 탐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런 한편 바이러스가 있는 음식이나 음료를 섭취함으로써 COVID-19에 감염되었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 물체 표면 접촉을 통해 감염될 위험은=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호흡기 질환에 대해 이미 제시되어 있는 사실을 근거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있는 표면이나 물체를 만진 후 본인의 입, 코 또는 눈을 비비는 경우 감염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다만 CDC는 “그러나 이것이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주요 요인은 아니다”는 의견이다.

캐나다 토론토대학교(University of Toronto) 전염병 예방-통제 전문가인 수지 호타(Susy Hota) 교수는 이번 전염병 사태가 지속되면서 표면을 통한 전파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2-2.jpg

전염병 학자들은 현재까지 물체의 표면을 통해 감염된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그 위험이 결코 ‘0’이 아니며 한 가정 내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을 보면 표면 접촉이 바이러스 전파의 중요한 요인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 사진 : Federal Group

 

호타 교수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초기 연구는 이 바이러스가 최대 6일간 물체의 표면에서 생존 가능하다는 것이었다”며 “하지만 처음 생각했던 것만큼 위험하지는 않은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그녀에 따르면 지금까지의 COVID-19 연구에서 누군가 표면 접촉을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퀸즐랜드대학교(Queensland University) 바이러스 전문가 이안 맥케이(Ian Mackay) 박사는 “공기 중의 침방울을 통해 전염된다는 증거가 늘어나면서 물체 표면에서의 전파 위험이 낮은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면서 “문제는, 종종 누군가 어떻게 하여 감염이 되었는지를 명확하게 말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맥케이 박사를 비롯해 전염병 학자들은 물체의 표면을 통해 감염될 위험이 결코 ‘0’이 아니며 한 가정 내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을 보면 표면 접촉이 바이러스 전파의 중요한 요인일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디킨대학교(Deakin University) 전염병 학자인 캐서린 베넷(Catherine Bennett) 교수는 “사람들이 공유된 환경에서 감염되었을 경우 서로가 똑 같은 표면을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이런 환경에 있는 사람들이 어떤 물체를 만지기 전에 손을 씻는 것은 필수이며, 또한 물리적 거리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게 베넷 교수의 조언이다.

중요한 궁금증은 여전히 남아 있다. ‘물체의 표면에 어느 정도의 바이러스가 있을 때 COVID-19에 실제로 감염이 될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를 대상으로 호흡기 중의 물방울 실험(droplet experiments)을 하기 전에는 알 수 없는 부분이다. 맥케이 박사는 “누군가 이에 대한 기발한 연구를 하기 전까지 100% 확실한 답변은 없다”고 말했다.

사실 이에 대한 직접적인 실험이 없는 상태에서 제시할 수 있는 것은,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복제하지 않은 실험실 기반의 시나리오이다.

과거에는 자원봉사자들이 연구 목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되기도 했다. 하지만 베넷 교수는 “COVID-19에 대해 아직 알려지지 않는 것들을 감안할 때, 이는 윤리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우리는 아직 코로나 바이러스가 앞으로 6개월 또는 10년 내 당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위험을 줄이는 길은= COVID-19 감염자와 같은 물체의 표면을 접촉함으로써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실제적 가능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노출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있다.

맥케이 박사는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는 물체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쓸 필요는 없다며 “해당 물체를 만지게 되는 경우 (본인) 얼굴에 손을 대기 전, 먼저 깨끗이 손을 씻으면 된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걱정이 된다면, 해당 물체를 24시간 또는 48시간 그대로 놓아둘 경우, (거기에 있을지도 모르는 바이러스로 인해) 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진다. 외부에서 받는 소포는 햇볕, 바람, 먼지에 노출되므로 바이러스의 생존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베넷 교수는 “우편물이나 식료품 등에 손을 대야 하는 것에 대해 너무 신경 쓰지 말고 문의 손잡이, 리프트의 버튼 등 많은 이들의 손이 닿는 표면을 주의하라”며 “손을 자주 씻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2-1.jpg (File Size:44.9KB/Download:18)
  2. 2-2.jpg (File Size:110.4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97 호주 복지수당 수급자 대상 약물 테스트 도입 톱뉴스 17.08.25.
1496 호주 젊은 부부들의 멀어져만 가는 내 집 마련 꿈 톱뉴스 17.08.25.
1495 호주 ‘내 집’ 마련 밀레니얼 세대 40% “심한 모기지 압박감” 톱뉴스 17.08.25.
1494 호주 '男에게 추가 요금 부과하는 호주 카페?! 톱뉴스 17.08.25.
1493 호주 패션브랜드 갭, 호주 시장서 철수 톱뉴스 17.08.25.
1492 호주 ‘부르카 깜짝 쇼’ 폴린 핸슨, 그는 누구인가 톱뉴스 17.08.25.
1491 호주 동성결혼 우편투표 초읽기…호주 국민의 선택은? 톱뉴스 17.08.25.
1490 호주 일과 삶의 균형... 주(week) 15시간 노동은 가능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9 호주 전 세계 가장 ‘살기 좋은 도시’ 멜번? “재평가되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8 호주 시드니 일부 지역, 모기지 상환 부담 ‘상당’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7 호주 Australia's best country and outback festivals(3)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6 호주 NSW 주 상위 10개 포키머신 호텔 수입, 연간 1억2천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5 호주 멜번 ‘대어빈 시티’도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폐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4 호주 스페인 테러 실종 호주 어린이 캐드만, 사망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3 호주 집 앞에서 버스를... ‘주문형’ 대중교통 ‘시범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2 호주 “젊은층의 폭음? 고령층 알코올 남용이 더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1 호주 중국 정부, 자국 기업의 대규모 해외투자에 제동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80 호주 호주 방문 중인 덴마크 프레데릭 왕자, 브리즈번서 ‘굴욕’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79 호주 해외 여행객 증가로 시드니 국제선 이용객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478 호주 주택경매 낙찰률, 6월 이후 2개월 만에 70% 이하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