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지방 이주 1).jpg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도시 거주자의 지방 지역 이주가 두드러지고 있다.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의 지난 5월 호주 국내 이주 데이터(migration data)에 따르면 2020년 한해, 호주 각 주 도시들은 거의 4만3천 명이 달하는 인구 순손실을 기록했다. 사진은 NSW 주 서부 내륙, ‘호주 컨트리 음악의 수도’로 불리기도 하는 탐워스(Tamworth) 중심가. 사진 : Visit NSW

 

ABS 데이터, 2020년 한해 각 주 도시 인구 4만3천 명 순손실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부동산 시장의 가장 뚜렷한 변화를 꼽는다면, 아마도 독립형 단독주택 수요 급증과 함께 도시 거주자들의 ‘sea change’ 또는 ‘tree change’ 바람일 것이다.

전염병 사태는 도시 거주자들로 하여금 과밀도의 주거단지를 피해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단독주택을 원하게 만들었고, 이에 따른 수요증가는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광역시드니 특정 지역의 경우 독립형 주택가격은 엄청난 오름세를 보였다. 여기에다 자연친화적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면서 해안가 주거지역의 주택가격 상승을 가져왔다.

또 하나의 두드러진 변화는 매일 아침 회사로 출근하지 않고 원격으로 근무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이런 추세가 보다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한다는 취지로 시작된 록다운 상황에서 실험적으로 실시된 재택근무는 효율성을 인정받았고, 이런 근무방식으로 전환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자연히 부동산 시장에도 새로운 흐름을 가져왔고, 도시를 벗어나 보다 한적한 지방 지역으로의 이주가 늘어난 것이다. 이는 또한 그 동안 부동산 시장에서 외면받았던 각 지역 타운의 주택가격 상승을 가져 왔다.

사실, 지난해 세계적 전염병 사태가 시작된 후 호주 부동산 시장 흐름과 관련해 ‘sea or tree change’에 대한 헤드라인은 수없이 많았다. 하지만 이런 추세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구체적인 수치일 것이다.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의 지난 5월 호주 국내 이주 데이터(migration data)에 따르면 2020년 한해, 호주 각 주 도시들은 거의 4만3천 명에 달하는 인구 순손실을 기록했다. 시드니를 비롯해 멜번(Melbourne), 브리즈번(Brisbane) 등 각 주 주도(Capital city) 거주자들이 지방 지역으로 이주한 것이다.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의 선임연구원 니콜라 파월(Nicola Powell) 박사는 “2000년 이후 지방 지역으로의 순유입이 가장 많았던 해인 2019년 1만8,904명보다 두 배 이상이며, 2017년과 2018년 각 2만9,970명 및 2만9,669명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라고 말했다.

 

부동산(지방 이주 2).jpg

서부호주 퍼스(Perth, Western Australia)에서 북동쪽으로 85킬로미터 거리에 자리한 인구 1천400여 명의 작은 타운 투디야(Toodyay). 퍼스와 멀지 않은 지리적 여건으로 이주자들이 늘어나는 타운 중 하나이다. 사진 : Toodyay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그녀는 이 같은 이주에 대해 “전염병 사태”를 꼽으며 “가장 큰 변화는 도시 거주민의 지방 이주”라고 덧붙였다. 파월 박사에 따르면 지난해 급증한 지방 지역으로의 이주는 연말경 다소 둔화됐지만 지난 10년간의 변화를 보면 아주 두드러진 수치이다.

호주지방지역연구소(Regional Australia Institute)의 리즈 리치(Liz Ritchie) CEO는 이 같은 이주 현황이 또 다른 것을 말해준다는 의견을 전했다. 이전까지만 해도 지방 지역의 저렴한 주택가격이 이주의 주요 동인이었으나 이제는 보다 나은 라이프스타일을 찾아 지방의 주거지를 찾는 추세가 강하다는 설명이다. 그녀는 이어 “게다가 이런 경향으로 지방 지역에 거주하던 이들의 대도시로의 이주 또한 크게 줄었다”고 말했다.

리치 CEO에 따르면 2020년도, 호주 전국적으로 지방 지역에 거주하다 대도시로 이주한 이들은 이전 해에 비해 11.5%가 감소했다.

리치 CEO는 “지난 10여 년간의 변화를 보면 지방 타운들은 훨씬 더 변모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다”며 “접객 서비스, 소매, 주택 등 모든 부문에서 도시 거주자를 끌어들일 만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방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일자리 수와 다양성 또한 이주의 한 배경이 되고 있다. 리치 CEO에 따르면 지난 5월에만 호주전역 지방 지역에는 총 6만9,3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졌으며, 전문 분야 및 숙련기술 분야 일자리 창출이 두드러졌다.

리치 CEO는 “10여년 전만해도 지방 지역 일자리 대부분이 비숙련 분야였으나 오늘날 일정한 자격을 요하는 전문 분야 직종이 생겨나고 있다”며 이를 “고용 역학의 변화”라고 묘사했다.

게다가 원격근무가 가능해진 디지털 환경은 대도시에서 먼 거리 거주자들에게도 도시 직업 유지를 가능하게 했다. 파월 박사는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원격 근무가 가능해졌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리치 CEO 또한 전염병 사태는 진정 유연한 고용 조건을 만들었다는 의견이다.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업무 방식이었지만 놀라운 것은, 그 같은 업무 방식이 가능했고 또 잘 관리됐다는 것”이라는 그녀는 “어디에서든 자신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제 더 이상 직장인들이 도심 공간에 있어야 한다는 한계가 없어졌다”고 덧붙였다.

 

부동산(지방 이주 3).jpg

멜번(Melbourne, Victoria) 남서부, 약 70킬로미터 거리의 질롱(Geelong)은 코리오 베이(Corio Bay)에 자리한 인구 27만 명의 도시로, 멜번 거주자들의 이주가 많은 곳 중 하나이다. 사진은 Geelong Cellar Door의 저녁 풍경. 사진 : Geelong Cellar Door

 

이런 점에서 도시와의 접근성이 좋고 디지털 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지방 지역의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파월 박사는 사람들이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따라 이주를 결심하며 생활방식과 고용 옵션이 매력적이라면, 내륙 또는 해안가 타운으로의 이주를 선택하는 데 망설임이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지방지역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지방으로의 이주는 도시 생활의 불만보다는 지방 지역의 매력이 이주를 결심하는 더 큰 동기였다. 직장인 1천 명을 대상으로 한 이 조사는 △자연친화적 환경, △전반적으로 웰빙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이주의 동기이며, 전체 응답자 중 절반은 팬데믹 이전부터 지방으로의 이주를 고려하고 있었다는 답변이었다.

리치 CEO는 “도시에서의 거주가 사람들에게 원하는 삶의 질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은 분명한 듯하다”며 “이들에게 있어 지방 지역은 새로운 돌파구로 여겨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지방 이주 1).jpg (File Size:125.4KB/Download:10)
  2. 부동산(지방 이주 2).jpg (File Size:130.8KB/Download:9)
  3. 부동산(지방 이주 3).jpg (File Size:91.6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17 호주 귀국 예정 자녀 학적서류 준비 안내 톱뉴스 17.07.14.
1316 호주 "호주 워킹홀리데이 고쳐라"…외동딸 잃고 활동가 된 모정 톱뉴스 17.07.14.
1315 호주 조지 펠 추기경 귀국 “나의 결백, 법정에서 반드시 가려질 것” 톱뉴스 17.07.14.
1314 호주 김희철 생일 축하… 시드니 쇼핑센터 전광판에 등장 톱뉴스 17.07.14.
1313 호주 호주인 90% “재정적 안정을 위해 주택 소유는 필수” 톱뉴스 17.07.14.
1312 호주 호주 응급실에서 주목받는 ‘침술’ 톱뉴스 17.07.14.
1311 호주 [2016 인구조사] 호주 외국어 교육 위축 톱뉴스 17.07.14.
1310 호주 대도시 시드니, ‘폭력사건 발생 비율’은 멜번보다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1309 호주 시드니 지역 인종차별 포스터, 유명 방송-정치인 비방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1308 호주 NSW 명문 공립학교 학부모 기부금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1307 호주 한국, 관광산업 빠르게 성장하는 상위 국가 네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1306 호주 센서스 2016- 중간 연령 가장 높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1305 호주 NSW 주 정부, 일부 업소에 ‘Lockout Laws’ 적용 완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1304 호주 디지털 시대, NSW 주 학교는 낡은 컴퓨터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1303 호주 호바트 주택가격 상승률, 전 세계 도시 중 34번째로 ‘껑충’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1302 호주 호주사회 고령화 가속, 치매 환자도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1301 호주 NSW 주 원주민 수감률 빠르게 증가, 대안 시급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1300 호주 XXXX(4 엑스) 맥주회사, 노조 임금 협상 난항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1299 호주 5주 만에 낙찰률 70%대 회복, 구매자 활동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1298 호주 심상치 않은 턴불 총리 지지율…당, 총리 선호도 동반 하락 톱뉴스 17.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