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싱가포르 사례).jpg

NSW 주의 감염자 발생이 높은 수치를 이어가자 당국은 COVID-19 예방접종률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전 국민 접종 비율 80%를 넘어선 싱가포르는 현재의 제한 규정을 더욱 완화한다는 방침이어서 눈길을 끈다. 사진은 80% 접종률 달성을 알리는 싱가포르 보건부 옹 예 쿵 장관. 사진 : Facebook / Ong Ye Kung

 

전 국민 접종 비율 80% 넘어선 싱가포르, ‘제한 완화’ 발표할 듯

 

NSW 주의 바이러스 감염자 수치가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보건 당국은 COVID-19 예방접종 비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보다 엄격한 제한 규정을 내놓고 있지만 장기간의 봉쇄로 인한 경제적 타격을 감안할 때, 현 상황을 헤쳐나가는 가장 빠른 방안으로 폭넓은 예방접종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지난 26일(목) NSW 주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총리는 두 차례의 예방접종을 마친 이들에게 보다 많은 자유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한 ‘COVID-19 디지털 증명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전에도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는 “현재 NSW 주는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길로 가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 ‘공존’은 당국이 목표로 하는 접종 비율을 넘어서여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렇다면 다른 국가의 사례는 어떨까.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에서 COVID-19 예방접종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싱가포르이다.

지난 29일(일) 싱가포르 옹 예 쿵(Ong Ye Kung) 보건부 장관은 자신의 페이스북(Facebook)을 통해 싱가포르 인구 570만 명 중 80%가 COVID-19 예방접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인구의 80%가 2회의 완전한 요법을 받은 또 다른 이정표를 만들었다”며 “이는 싱가포르가 COVID-19에 대한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한 걸음 더 나아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호주와 마찬가지로 방역의 핵심을 ‘감염자 제로’(zero transmission) 모델에 맞추었던 싱가포르는 ‘COVID-19와 함께 살아가기’를 포함하는 출구 전략을 계획해 왔다. 그동안 싱가포르는 화이자(Pfizer)와 모더나(Moderna) 백신에 의존했다.

지난 7월 싱가포르 보건부는 교외 지역의 60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모바일 예방접종 캠페인을 발표했다.

옹 장관에 따르면 자택이 머물러 있는 4천300명 이상이 보건부의 ‘가정 백신접종팀’에게 예방접종을 받았다. “캠페인 전개 후 매일 700건 이상의 가정방문 접종 요청을 받았다”는 게 그의 말이다.

옹 장관은 “접종 요청 수요에 대응하고자 보건부는 200명 이상의 자원봉사 의사 및 간호가, 싱가포르 국군의 도움으로 11개의 ‘가정 백신접종팀’을 33개로 늘릴 수 있었다”면서 “그 결과 접종 대기시간을 8주에서 4주로 절반이나 줄였다”고 덧붙였다.

옹 장관은 이어 “가정 백신접종은 9월 말까지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80% 접종률을 넘어섬에 따라 감염 차단을 위한 제한을 더욱 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싱가포르 당국의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싱가포르에서는 총 6만7,300건 이상의 감염 사례가 발생했으며 지난 8월 29일까지 사망자는 55명이었다. 아울러 이날 하루 감염 확진 사례는 133건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싱가포르 사례).jpg (File Size:46.7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617 호주 호주에서 최고 수익을 거두는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4616 호주 Top 10 city-based adventure activities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4615 호주 캘러브리안 마피아와 ‘친구 먹은’ 연방 의원들...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4614 호주 도심 지역 대부분 주택들, 잠정가격 이상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13 호주 호주 광산재벌, 강대국에 ‘노동착취’ 근절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12 호주 직장서 ‘커피 마셨다’ 이유로 해고... “부당하다” 결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11 호주 ‘스타트업 비즈니스’, 비용 높아지고 경쟁도 ‘치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10 호주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최저 임금 2.4% 인상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9 호주 NSW 주 정부의 카운슬 강제 합병, 첫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8 호주 “호주의 미래가 위험하다”... 호주 교사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7 호주 ‘메리톤’ 사 트리거보프 대표, 호주 ‘최고 부자’ 등극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6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5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추진 정책에 시민들 격렬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4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signs...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3 호주 안젤로 치레카스, 시장 상징하는 ‘로브’ 벗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4602 호주 시드니 지역 폭풍우 불구, 경매 현장 구매자들 ‘북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4601 호주 부동산 구매시 인지세 관련 비용 25% 추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4600 호주 NSW 주 정부, ‘세수’ 유지 위해 도박문제 ‘쉬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4599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범죄 처리 원활치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459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