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MU 변이 1).jpg

2020년 12월 콜롬비아에서 처음 발견된 'Mu' 변이 바이러스가 세계보건기구(WHO)의 '관심 변이 바이러스'(Variant of interest) 목록에 올랐다. 사진 : Unsplash

 

“아직 ‘우려’될 만한 변종 아니지만 지속적인 연구 필요하다” 강조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세계적 전염병 사태를 가져온 우한 균주에 이어 현재까지 10여 종의 변이 바이러스가 나온 상태이다. 이 가운데 인도와 영국, 특히 올해 들어 멜번(Melbourne) 및 시드니 지역에 감염자 파동을 불러온 ‘델타’(Delta) 변이 바이러스는 높은 전파력과 함께 다른 바이러스와 달리 젊은층에게도 치명적이라는 점에서 큰 우려를 주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주목하는 또 하나의 변이 바이러스가 있다. 바로 ‘Mu’ 바이러스이다.

올해 초 콜롬비아에서 처음 확인된 ‘Mu’는 현재 남미와 유럽 일부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나마 다행스런 것은, ‘델타’ 변이처럼 오래 유지되지 않으며, 전문가들은 현재까지의 상황을 볼 때 호주에서는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이다.

과학자들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사례 중 극히 일부에 불과하지만 예방접종이나 과거 감염에 의해 축적된 면역 보호기능을 통과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는지 여부를 연구하고 있다.

다음은 SARS-CoV-2의 ‘Mu’ 변이에 대해 현재까지 알려진 내용이다.

 

▲ ‘Mu’ 변이 바이러스는= 변이 ‘B.1.621’로 알려진 ‘Mu’ 바이러스는 올 1월 콜롬비아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WHO가 ‘관심’ 대상 5개의 변이 목록 중 하나로 올려 놓은 바이러스이다.

WHO가 주시하는 바이러스는 특별히 모니터링 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으로, 다만 SARS-CoV-2에서 진화된 ‘델타’나 ‘알파’(Alpha) 변이에 비해 더 큰 잠재적 문제로는 여겨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Mu’ 변이는 지난 6월 ‘람다’(Lambda)가 이 목록에 추가된 이후 나온 첫 ‘관심’ 변이 바이러스이다.

WHO가 내놓은 가장 최근의 역학 보고서에 따르면 ‘Mu’는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할 ‘면역 회피의 잠재적 특성을 나타내는 돌연변이 집합’이 있기에 ‘관심 대상’ 변이 바이러스 목록에 기재됐다.

 

종합(MU 변이 2).jpg

전염병 전문가인 퀸즐랜드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 폴 그리핀(Paul Griffin. 사진) 박사. 이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지만 그리핀 박사는 아직 'Mu' 변이가 면역 회피 변이라는 증거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사진 : Healthpages wiki

 

전염병 전문가인 퀸즐랜드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 폴 그리핀(Paul Griffin) 박사는 “보건 전문가들은 사스-2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돌연변이를 통해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들을 더 쉽게 감염시킬 수 있는 ‘면역 도피 변이’를 지속적으로 찾고 있다”고 말했다. “이 스파이크 단백질이 크게 변하면 현재 우리가 접종받는 백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어 그리핀 박사는 “우리는 그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아직 보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WHO는 ‘Mu’ 변이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지만 그리핀 박사는 “이것이 면역 회피 변이로 적합하다는 증거는 아직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WHO에 따르면 전 세계 COVID-19 감염에서 ‘Mu’ 변이 바이러스 유병률은 첫 발견 이후 감소한 가운데 콜롬비아(39%)와 에콰도르(13%)에서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현재 ‘Mu’ 변이 감염자는 전 세계 COVID-19 감염의 0.1% 미만을 차지하지만 ‘B.1.621’의 발병은 미국과 유럽 일부 지역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

 

종합(MU 변이 3).jpg

SARS-CoV-2의 변이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변한다는 것을 예상해야 한다. 그리핀 박사는 “바이러스가 더 많이 확산될수록 돌연변이를 일으킬 기회가 더 많아진다”며 “바이러스의 돌연변이를 제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감염을 막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 : Pixabay / Tumisu

 

▲ ‘Mu’ 변이가 백신에 대해 의미하는 것은= WHO의 역학 보고서 예비 데이터에 따르면 ‘Mu’는 항체에 더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그리핀 박사는 “이러한 실험들은 인간의 면역력이 현실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러한 중립적 연구는 매우 유용하다”는 그는 “연구를 수행하기가 쉽고 빠르며 또한 전체가 아니라 일부의 결론을 보여준다는 점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리핀 박사는 “우리는 이를 임상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며 “그리하여 실제 상황에서는 백신이 그 효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특성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WHO에서 모니터링 하는 변이들은= ‘Mu’는 WHO가 ‘관심’ 변이에 올린 다섯 번째 바이러스이며 이보다 심각한 4개의 ‘우려’ 변이 바이러스들이 있다. 이들 9개의 변이들은 그리스 알파벳 문자로 명명된다.

WHO의 ‘관심’ 변이는 △에타(Eta. 2020년 12월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발생), △아이오타(Iota. 2020년 11월 미국에서 처음 발생), △카파(Kappa. 2020년 10월 인도에서 처음 발생), △람다(Lambda. 2020년 12월 페루에서 처음 발생, △무(Mu. 2021년 콜롬비아에서 처음 발생) 변이 바이러스이다.

이와 함께 현 팬데믹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우려’ 변종 목록에는 △알파(Alpha. 2020년 9월 영국에서 처음 발생), △베타(Beta. 2020년 5월 남아프리카에서 처음 발생), △감마(Gamma. 2020년 11월 브라질에서 처음 발생), 그리고 △델타(Delta. 2020년 10월 인도에서 처음 발생)가 기재되어 있다.

현재까지 많은 변이들이 나타난 것처럼 SARS-CoV-2의 변이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변한다는 것을 예상해야 한다. 바이러스가 더 많이 확산될수록 돌연변이를 일으킬 기회가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그리핀 박사는 바이러스의 돌연변이를 제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감염을 막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신을 접종받는 이들이 많을수록 바이러스가 기생할 수 있는 숙주는 더 민감해지고, 이런 진화를 겪으며 면역을 얻게 된다”는 설명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MU 변이 1).jpg (File Size:72.5KB/Download:10)
  2. 종합(MU 변이 2).jpg (File Size:98.3KB/Download:15)
  3. 종합(MU 변이 3).jpg (File Size:66.1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97 호주 겨울 밤, 시드니오페라하우스에서 즐겨요! 톱뉴스 17.07.10.
1296 호주 자유당 상원의원, 당론 무시 ‘동성결혼 허용개별 법안’ 상정 움직임 톱뉴스 17.07.10.
1295 호주 조이스 연방부총리 “대북 군사 대응도 검토해야” 톱뉴스 17.07.10.
1294 호주 호주 유아용 조제분유서 유해물질 검출 톱뉴스 17.07.10.
1293 호주 G20 정상회의 공동성명, 북한 관련 내용 배제 톱뉴스 17.07.10.
1292 호주 턴불 총리 “호주, 미사일 방어 체계 구축할 것”…사드는 “부적합” 톱뉴스 17.07.10.
1291 호주 호주인 가계자산, 최고 수준... ‘잘못된 부의 분배’ 경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1290 호주 노동조합, 계약직 고용자의 ‘정규직 전환’ 법안 요청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1289 호주 ‘Best cities to visit in 2017’... 시드니, 두 번째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1288 호주 여행지 비용... 전 세계 가장 저렴한 비치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1287 호주 ‘명문학군 쏠림’에 NSW 지역간 빈부격차도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1286 호주 “광역시드니서 65만 달러 미만 주택 구입은 가능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1285 호주 메디케어 개인정보 유출, 불법 사이트서 거래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1284 호주 ‘NAPLAN’ 학력평가 출제기관, 사기업에 이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1283 호주 NSW 대법원장, “명예훼손 보상금 너무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1282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1281 호주 ‘인지세 혜택 확대’, 시드니 부동산 시장 반영은 ‘아직’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1280 호주 Census 2016- 고령화 가속, 민족적 다양성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1279 호주 Census 2016- 시드니 지역별 라이프스타일 차이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1278 호주 Census 2016- 퇴색되어가는 ‘Great Australian Dream’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