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호주 주택가치 1).jpg

호주 전체 주거용 부동산 가치가 올해 말에는 9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부동산 컨설팅 사인 코어로직CoreLogic)에 따르면 8월 현재 전체 주택 가치는 8조8천억 달러에 달한다. 사진은 시드니 노던비치 지역(Northern Beaches region)의 해안가 주택들. 사진 : Whitehouse Real Estate

 

부동산 컨설팅 사 ‘코어로직’ 전망... 주택가격 상승 속도 빨라

 

지난해 초 전염병 사태가 발생된 이후에도 호주 주택시장은 지속적인 호황을 구가했으며 특히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드니를 비롯한 주요 도시 주택가격은 급격한 상승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치솟는 가격과 지속적인 주택건설로 호주 주거용 부동산 전체 가치가 올해 말에는 9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이는 부동산 컨설팅 사인 ‘코어로직’(CoreLogic)이 분석한 것으로, 이 회사의 8월 주택가격 지수에 따르면 현재 호주 전체 주거용 부동산 가치는 8조8천억 달러에 달한다. 이는 호주 연금(Australian superannuation. 3조1천억 달러), 주식시장(2조8천억 달러), 상업용 부동산(9천780억 달러)을 합친 것보다 훨씬 많은 수치이다.

호주 주거용 부동산 가치는 올해 3월, 8조 달러에 이르렀으며, 현재의 지속적인 주택가격 상승을 감안할 때 올해 말까지는 1조 달러가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코어로직의 팀 로리스(Tim Lawless) 선임연구원은 “전체 주거용 부동산 가치가 9조 달러를 돌파하기까지 그리 긴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현재 호주는 주택건설 붐을 맞고 있으며 주택가격 또한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 결과 재고가 많아졌고 가치도 더 높아졌다”는 게 그의 말이다

코어로직에 따르면 가계자산의 절반 이상이 주택에 보유되어 있으며 미지급 주택담보대출(mortgage) 부채는 1조9천억 달러 수준이다.

로리스 연구원은 “가계 지출은 경제 활동의 가장 큰 구성 요소”라면서 “많은 호주인들이 주택시장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의 부동산 시장에 대해 “뜨겁게 달아오르기는 했지만 가격 제약과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봉쇄 조치로 성장률이 둔화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예전과 같은 강한 시장은 아니다”고 평가했다.

호주 주택가격은 지난 5월까지 3개월 사이 7%가 상승했지만 7월까지 3개월간의 성장폭은 5.9%로 다소 낮아졌다.

 

부동산(호주 주택가치 2).jpg

호주 주거용 부동산 가치 상승은 지속적인 주택가격 성장과 건설 붐에 의한 것이다. 사진은 375만 달러의 잠정가격이 책정되어 시장에 매물로 등록된 뉴포트(Newport) 소재 주택. 이 지역(suburb) 주택가격은 지난 12개월 사이 23.3%가 올랐다. 사진 : LJ Hooker

 

비록 약간 둔화된 상승세이지만 호주 전 지역에서 고르게 오른 점을 감안하면 광범위한 부동산 붐이라 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각 도시별로 보면 호바트(Hobart, Tasmania)의 주택가격이 6월 분기를 기준으로 12개월 사이 8.2% 상승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7.7% 높아진 시드니가 뒤를 이었다.

호주 전 지역에서의 광범위한 주택가격 상승은 현재 구매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주택시장에서 아주 낮은 수준의 모기지(mortgage) 이자율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지난 7월 기준으로 판매 시장에 등록된 주택은 전국적으로 지난 5년간의 평균보다 27.1% 낮은 수준이었다. 반면 판매량은 5년간의 평균치에 비해 42.6%가 많았다. 로리스 연구원은 “이는 현재 주택시장이 판매자에게 유리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사상 최저의 기준금리가 지속적으로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며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요인은 수요와 공급간 불균형”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런 요인으로 인한 가격 상승도 조만간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로리스 연구원은 “코로나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봉쇄 조치가 해제되고 여러 규제가 완화되면 주택을 판매하려는 이들이 시장에 나올 것이고, 이로써 가격 상승률은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첫 주택구입자는 높은 가격과 인센티브가 감소함에 따라 호주 전역에서 다소 줄어든 반면 투자자들은 더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코어로직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퀸즐랜드(Queensland) 주를 제외한 각 주 및 테러토리의 투자자 대출은 ‘내집 마련’을 위한 실소유자들에 비해 늘어났다. 퀸즐랜드 주의 투자자 대출은 이전 달에 비해 1.8% 줄었다.

로리스 연구원은 “호주 부동산 시장에 제기되는 경제성 문제를 이해할 수 있다”며 “단순하게 보면, 주택구입을 위한 모기지 보증금을 마련하기까지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것이 바로 금융관리 당국(Australian Prudential Regulation Authority)이 우려하는 부분”이라는 로리스 연구원은 “부동산 시장은 내년도까지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주택가격 경제성 및 주택담보 대출을 위한 신용 조건이 더 엄격해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호주 주택가치 1).jpg (File Size:116.5KB/Download:17)
  2. 부동산(호주 주택가치 2).jpg (File Size:120.7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77 호주 아마추어 사진가가 기록한 호주의 옛 철길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1276 호주 Why do Americans and Brits drive on different sides of the road?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1275 호주 세계 최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가치, 56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1274 호주 2억5천만 달러 투입, ‘피시마켓’ 새 계획안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1273 호주 호주 언론, “이민자 증가를 비난해서는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1272 호주 시드니 경매, 69.5% 집계... 3주 연속 낙찰률 70% 밑돌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1271 호주 NSW budget 2017-18; 첫 주택구입자 세계혜택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1270 호주 NSW budget 2017-18; ‘Winners and Losers’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1269 호주 Six of the best luxury South Australian stays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1268 호주 중국계 교육-정치계 개입, 고위 정치인으로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1267 호주 호주 내 불법 체류자 6만4,600명, 한국인도 2천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1266 호주 비시민권자 자녀, 10세 되어도 시민권 자동 부여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1265 호주 유니세프, “호주 교육 수준 맨 뒤에서 세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1264 호주 결혼 전 최적의 연애 횟수도 컴퓨터로 계산할 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1263 호주 온라인 쇼핑 강세 속 오프라인 소매업 전략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1262 호주 크라운 그룹 ‘워터폴 아파트’, 하루 만에 최다 판매액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1261 호주 겨울 시즌 경매 낙찰률, 2주 연속 70% 이하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1260 호주 미리 보는 NSW 주 새 회계연도 예산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259 호주 “빈부격차 확대, 호주 경제 전반의 걸림돌”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258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100년 전을 들여다보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