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지방 이벤트 1).jpg

NSW 주 정부의 코로나 바이러스 제한 규정 완화 계획에 따라 ‘호주 부시맨 캠프 드래프트-로데오 협회’(Australian Bushmen's, Campdraft and Rodeo Association. ACBRA)는 백신접종률이 높은 NSW 주에서 올해 남은 기간, 캠프 드래프트 및 로데오 경기를 진행할 계획을 밝혔다. 사진 : ABC 방송 화면 캡쳐

 

‘제한 완화’ 로드맵 따라… ACBRA 계획에 각 지역 클럽, 대회 준비

 

NSW 주 정부가 현재의 공공보건 명령 완화를 위한 3단계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이 일정에 따라 NSW 지방 지역의 최대 이벤트 중 하나인 ‘캠프 드래프트 및 로데오’ 경기가 11월부터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들어 거의 대회가 개최되지 못했지만 주 정부의 제한 완화 계획에 따라 ‘호주 부시맨 캠프 드래프트-로데오 협회’(Australian Bushmen's, Campdraft and Rodeo Association. ACBRA)는 COVID-19 예방접종 비율이 80%에 도달하는 11월(예상)부터 각 지역별로 대회 개최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내륙의 목장 지대에서 펼쳐지는 ‘캠프 그래프트’(Campdraft)는 말을 타고 여러 마리의 가축을 몰아 가축 우리에 들어가도록 하는 것을 뜻하며 ‘로데오’(Rodeo) 경기는 소나 말 등에 타고 오래 버티는 시합으로 호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애호가들이 즐기는 이벤트이다.

ABCRA의 크레이그 영(Craig Young) 회장은 “COVID-19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아직 많은 조치가 필요하지만 대회 관계자들이나 각 지역 클럽들에게는 좋은 소식이 될 것”이라며 “우리는 정부의 방역 방침을 따르며, 대회 재개 계획 중 일부는 아직 불투명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영 회장은 “대략적으로 10월 말에 시작, 11월과 12월 연이어 이벤트를 진행하는 것으로 각 지역 대회 위원회와 연락을 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BCRA은 매년 호주 전역에서 500개 이상의 캠프 드래프트 및 로데오 경기를 진행하고 있다.

 

종합(지방 이벤트 2).jpg

사진은 NSW의 대표적 양 목장지대인 central-western plains의 쿠남불(Coonamble)에서 펼쳐지는 '쿠남불 로데오'의 한 장면. 사진 : NSW 주 관광청(Visit NSW)

   

선수들 경기 포인트,

내년 7월까지 연장

 

ABCRA은 올해 각 지역 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이 얻은 포인트를 내년 7월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이 점수는 전국대회 출전을 보장하는 것으로, 바이러스 상황으로 인해 대회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기에 내년도 전국대회 결승 진출 여부에 감안하겠다는 것이다.

영 회장은 “지금부터 내년 7월 31일까지 전국 결승대회와 연말 챔피언십 어워드를 위해 최소 12개월의 포인트 자격 기간이 보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지방 지역,

캠프 드래프트 대회 준비

 

ABCRA의 이 같은 방침에 따라 NSW 주 북서부 내륙, 뉴잉글랜드 지역(New England region)의 ‘바라바 포니 클럽’(the Barraba Pony Club)은 지역 대회 개최를 준비하고 있다.

동 클럽은 먼저 오는 11월 6일과 7일(토-일요일) ‘봄 시즌 기금마련 드래프트 대회’를 연다는 계획이다. 이 클럽의 재러드 하나포드(Jarrod Hannaford) 회장은 “우리 지역사회 전체는 물론 기수들이 바라던 것이었다”며 “올해 그 어떤 이벤트도 마련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청소년 기수들이 조랑말 안장에 다시 앉을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지방 이벤트 1).jpg (File Size:88.9KB/Download:20)
  2. 종합(지방 이벤트 2).jpg (File Size:106.7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697 호주 시드니대학교, “학과 통폐합하고 연구비 늘리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4696 호주 시드니 도심 인근 개발로 ‘인구 500만’ 빠르게 접근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4695 호주 파나마 ‘모색 폰세타’ 연루 호주인 1천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4694 호주 턴불 정부 지지도, 집권 이후 노동당에 첫 역전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4693 호주 Going, going, gone... ‘Lockout Laws’ 이후 문 닫은 10개의 iconic bar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4692 호주 UTS, 탈북 새터민 학생들에게 장학금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4691 호주 서리힐 2침실 테라스 주택, 낙찰가 18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4690 호주 ‘인종차별’ 혐의 니콜 보일, 교도소 행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4689 호주 호주인들, 비자금 모아 의류 구입-도박-유흥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4688 호주 “스마트폰, 사용자를 관음증 환자로 만들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4687 호주 호주 중앙은행, 5달러 새 지폐 디자인 공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4686 호주 아시안 ‘출장 여행자’들이 호주서 주로 구입하는 물품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4685 호주 시드니 교외지역, 개인 무기고에 총기 수백 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4684 호주 호주인들, “은퇴하기에는 모아둔 자금 너무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4683 호주 지난해 NSW 주의 출산율 높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4682 호주 시드니 지역 각 학교, 늘어난 학생 감당 어려워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4681 호주 시드니 서부 지역 교통혼잡, 일자리 확대로 풀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4680 호주 도심 낡은 주택, 잠정가보다 23만 달러 이상에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4679 호주 “부동산 경기 둔화? ‘노던 비치’ 지역은 예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4678 호주 젊은 여성들, ‘탄력적 근무조건’보다 ‘높은 연봉’ 원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