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OVID rule 변경).jpg

NSW 주 정부가 공공보건명령 완화 계획을 변경함에 따라 COVID-19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이들은 현재의 제한 규정을 12월 15일까지(또는 접종률 95% 도달 시점까지) 더 오래 적용받게 됐다. 사진은 야외 공원에서 저녁 시간을 즐기는 시민들.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타인 가정 방문 가능인원 제한 폐기-접객업소 고객 밀도 규정 2제곱미터로

COVID-19 안전을 위한 관행 준수 '필수', 증상 확인시 즉각 검사 받아야

 

NSW 주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정부가 COVID-19 제한 규정 완화 로드맵 계획을 변경했다. 이제 예방접종을 완료한 이들은 보다 일찍 더 많은 자유를 얻게 됐다. 애초 세 단계 완화 로드맵에서 마지막 단계인 12월 1일부터 부여되는 완화 규정이 11월 8일(월)부터 가능해진 것이다.

 

반면 현재까지 백신접종을 기피해 온 이들이 여러 부문에서의 ‘제한 완화’를 누리기까지는 더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 변경 내용은= 백신접종을 완료한 이들은 11월 8일(월)부터 보다 폭넓은 완화 규정을 적용받는다. 누군가의 가정을 방문하는 경우 인원 제한이 없어지고 1천 명 미만의 야외모임에 따른 규정도 폐기된다. 나이트클럽에서는 댄스 플로어에서 춤을 즐길 수 있으며 실내 수영장은 수영강습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

 

각 접객업소 및 소매점의 밀도 규정, 즉 고객 1명당 4제곱미터 공간 규정이 2제곱미터로 줄어들며 영화관, 경기장 등 고정된 좌석이 있는 엔터테인먼트 시설은 100% 고객 수용이 허용된다. 다만 테마파크, 동물원 등은 2제곱미터의 밀도 제한이 적용된다.

 

▲ 변경되지 않은 부문은= 체육관 및 댄스교실의 한 차례 강습 인원은 20명 제한 규정에 변함이 없다. 또 슈퍼마켓 등에서의 안면 마스크 착용 의무는 12월 15일까지 지속된다.

 

▲ 백신을 접종받지 않은 이들은= 본래 계획에서는 오는 12월 1일부터 모든 이들에게 동일한 완화 조치가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백신 기피자들은 NSW 주의 16세 인구 95%가 완전 접종을 완료할 때까지 또는 12월 15일(두 가지 가운데 더 이른 시점에서)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 시점에 이를 때까지 계속 폐쇄 상태에서 지내야 한다.

 

백신기피자들은 슈퍼마켓 등 필수 사업체에 입장할 수 있지만 접객업소나 체육관, 비필수 소매점은 이용이 불가능하다. 다만 유일하게 가능한 것은 예배장소 참석이다.

 

▲ ‘완화 로드맵’ 변경 이유는= 도미닉 페로테트 주 총리는 예상보다 빠른 백신접종률 및 추가접종(booster shots) 시행으로 애초 계획보다 이른 시간에 더 많은 부문에서 제한 완화가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주 총리는 COVID-19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이들에 대한 규정 완화 시기를 연기하면서 이들의 백신접종을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주 총리는 “우리 주의 접종 비율을 최대 95%까지 올릴 수 있기를 희망한다”며 “이는 호주 내에서 뿐 아니라 전 세계 국가들 가운데서도 가장 앞선 접종률”이라고 말했다.

 

주 보건부 최고 의료책임자인 케리 찬트(Kerry Chant) 박사는 “제한 완화 로드맵 변경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COVID-19 안전 관행을 준수하는 것”임을 강조했다.

 

찬트 박사는 “백신을 접종받았다 해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감염여부 검사를 받아야 한다”며 “이런 작은 조치들이 지역사회에서의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실질적으로 대책”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OVID rule 변경).jpg (File Size:126.0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17 호주 크라운 그룹 ‘워터폴 아파트’ 론칭 기념 행사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21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5월 들어 최다 매물, 낙찰률 76.9%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215 호주 ‘페어팩스-입소스’ 여론조사... 노동당, 여전히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214 호주 유로비전 2017... 포르투갈, 대회 첫 우승자 배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213 호주 직장, 쇼핑센터 등 이동시간 가장 짧은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212 호주 지난해 호주인 금융사기 피해 금액 3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211 호주 시드니 교통 혼잡, 업무용 차량 대기시간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210 호주 시드니 중간 주택 가격보다 저렴한 영국의 미니 성곽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209 호주 “아동비만, 수술로 해결해야”... 호주 외과의사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208 호주 5천만 달러 ‘파워볼’ 복권 단독 당첨자 나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207 호주 NSW 주 정부, 경찰-간호사 대상 주택정책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206 호주 연방 예산안 발표 후 주말 경매 낙찰률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205 호주 Federal Budget 2017: The winners and losers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204 호주 Federal Budget 2017: 각 부문별 핵심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203 호주 Federal Budget 2017- 기본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202 호주 호주 대중가수의 유로비전 출전 세 번째, 올해 성적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201 호주 Four of the most spectacular resort-style homes for sale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200 호주 호주 여성 5명 중 1명, ‘Sexual selfie’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199 호주 노동당 정책 광고, ‘백인 호주인 고용 우선’?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198 호주 턴불, 해외 테러리스트 자녀 귀국시 ‘철저한 감시’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