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글래디스 1).jpg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전 NSW 주 총리가 더 이상 정치에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지난 10월 주 총리직을 사임한 이후 그녀가 연방 의회로 나갈 것이라는 추측이 많았고 모리슨 총리를 비롯해 연방 자유당 주요 인사들 또한 내년도 총선에 그녀를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사진은 와링가(Warringah) 지역구 출마설이 나돌 당시의 방송 보도. 사진 : Sky News 방송 화면 캡쳐.

 

“19년 정치에서 큰 경험했다... 연방의회 대신 민간 부문에서 일할 것” 밝혀

 

독립기구인 반부패위원회(Independent Commission Against Corruption. ICAC)의 조사 대상이 되면서 지난 10월 갑작스럽게 사퇴한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ladys Berejiklian) 전 NSW 주 총리가 자신을 연방의회로 끌어들이려는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의 제안을 끝내 거절하고 민간 부문에서 일할 계획임을 밝혔다.

내년도 연방 총선을 앞두고 모리슨 총리는 지난 선거에서 잘리 스테갈(Zali Steggall) 의원이 전 총리를 역임한 자유당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의원을 밀어낸 시드니 북부 와링가(Warringah) 지역구에 베레지클리안 전 주 총리를 출마시켜 잃어버린 의석을 회복하고자 공개적으로 ‘구애’를 이어왔다.

지난 12월 10일(금), 베레지클라인 전 주 총리는 Nine Network 라디오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정치와는)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내년도 내게 주어지는 좋은 기회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훨씬 덜 공적인 삶이 될 것”(I'm looking forward to a much less public life)이라고 말해 연방 선거에 출마하라는 모리슨 총리의 권유를 사실상 사양했다.

지난 10월 레베지클리안 전 주 총리는 자신이 ICAC의 조사 대상이라는 것이 발표되면서 주 총리직 사임과 함께 의원직을 내놓는 등 ‘당시 이미’ 정계를 떠나기로 했다.

현재 ICAC는 그녀의 전 남자친구인 NSW 서부 내륙 와가와가(Wagga Wagga) 지역구 의원을 지냈던 대릴 매과이어(Daryl Maguire) 의원과의 거래를 조사하고 있다.

지난 10월 주 총리직을 사임하면서 베레지클리안 전 주 총리는 자신에 대한 의혹을 부인하며 “언제나 정식하게 행동했다”고 주장했다.

 

종합(글래디스 2).jpg

베레지클리안 전 주 총리의 연방 의회 진출을 적극 권유했던 모리슨 총리는 베레지클리안 전 주 총리가 정치에 뜻이 없음을 발표하자 그녀를 “소중한 친구”로 묘사하면서 “그녀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모리슨 총리와 함께 자유당 주요 인사들은 그녀에게 와링가 지역구 출마를 공개적으로 독려해 왔다. 심지어 모리슨 총리는 ICAC의 조사에 대해 “(그녀를) 주 총리직에서 사임하도록 한 ‘인민재판’(kangaroo court)”이라는 말까지 사용하며 이례적인 비난을 가하기도 했다. ICAC는 아직 그녀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날(12월 10일), 베레지클리안 전 주총리가 라디오 방송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확고히 한 뒤 모리슨 총리는 그녀를 ‘소중한 친구’(dear friend)로 묘사하면서 “지난 수년간 NSW 주를 위해 봉사한 데 대해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이제 새로운 삶의 장으로 나가기로 결정했고, 나와 제니(Jenny. 모리슨 총리의 부인)는 그녀가 최선을 다하기를 바란다”는 말로 그녀의 결정을 받아들이면서 “베레지클리안 전 주 총리는 많은 여성들에게 영감을 주어 정치에 참여하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글래디스 1).jpg (File Size:73.7KB/Download:14)
  2. 종합(글래디스 2).jpg (File Size:54.4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77 호주 ‘앵무새 죽이기’ 저자 하퍼 리, 8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6 호주 동성애자 탄압... NSW 정부, 38년만에 공식 사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5 호주 “100달러 고액권, 범죄자들의 탈세로 이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4 호주 호주 프리랜서 보도사진가, ‘세계 보도사진 대전’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3 호주 주말 시드니 경매, 일부 지역 낙찰가 폭등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72 호주 “호주인들, 비만 관련해 탄산음료 업계에 불만 제기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71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둔화, “성급한 전망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70 호주 고령자 케어-보건 분야, 향후 새 직업군 창출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9 호주 AFP, 향후 10년 내 경찰 인력 절반 ‘여성’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8 호주 호주 젊은층에서 불법 ‘아이스’ 복용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7 호주 의료 목적의 대마초 재배 법안, 연방의회 통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6 호주 원주민 출신 정치인 린다 버니의 ‘역사 만들기’는 진행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5 호주 다량 유통 50달러 위조지폐, 은행도 속을 만큼 정교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4 호주 전 세계 ‘Powerful Passports’ 순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3 호주 NSW, VIC에 비해 주정차위반 벌금액 3배 비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2 호주 The books that changed 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최대 화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4760 호주 시드니 자산가 늘어, 초호화 저택 수요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4759 호주 NSW 주, 모든 공무원에 탄력근무제 적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4758 호주 시드니 남서부 잉글번서 총기 난사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