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글래디스 1).jpg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전 NSW 주 총리가 더 이상 정치에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지난 10월 주 총리직을 사임한 이후 그녀가 연방 의회로 나갈 것이라는 추측이 많았고 모리슨 총리를 비롯해 연방 자유당 주요 인사들 또한 내년도 총선에 그녀를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사진은 와링가(Warringah) 지역구 출마설이 나돌 당시의 방송 보도. 사진 : Sky News 방송 화면 캡쳐.

 

“19년 정치에서 큰 경험했다... 연방의회 대신 민간 부문에서 일할 것” 밝혀

 

독립기구인 반부패위원회(Independent Commission Against Corruption. ICAC)의 조사 대상이 되면서 지난 10월 갑작스럽게 사퇴한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ladys Berejiklian) 전 NSW 주 총리가 자신을 연방의회로 끌어들이려는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의 제안을 끝내 거절하고 민간 부문에서 일할 계획임을 밝혔다.

내년도 연방 총선을 앞두고 모리슨 총리는 지난 선거에서 잘리 스테갈(Zali Steggall) 의원이 전 총리를 역임한 자유당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의원을 밀어낸 시드니 북부 와링가(Warringah) 지역구에 베레지클리안 전 주 총리를 출마시켜 잃어버린 의석을 회복하고자 공개적으로 ‘구애’를 이어왔다.

지난 12월 10일(금), 베레지클라인 전 주 총리는 Nine Network 라디오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정치와는)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내년도 내게 주어지는 좋은 기회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훨씬 덜 공적인 삶이 될 것”(I'm looking forward to a much less public life)이라고 말해 연방 선거에 출마하라는 모리슨 총리의 권유를 사실상 사양했다.

지난 10월 레베지클리안 전 주 총리는 자신이 ICAC의 조사 대상이라는 것이 발표되면서 주 총리직 사임과 함께 의원직을 내놓는 등 ‘당시 이미’ 정계를 떠나기로 했다.

현재 ICAC는 그녀의 전 남자친구인 NSW 서부 내륙 와가와가(Wagga Wagga) 지역구 의원을 지냈던 대릴 매과이어(Daryl Maguire) 의원과의 거래를 조사하고 있다.

지난 10월 주 총리직을 사임하면서 베레지클리안 전 주 총리는 자신에 대한 의혹을 부인하며 “언제나 정식하게 행동했다”고 주장했다.

 

종합(글래디스 2).jpg

베레지클리안 전 주 총리의 연방 의회 진출을 적극 권유했던 모리슨 총리는 베레지클리안 전 주 총리가 정치에 뜻이 없음을 발표하자 그녀를 “소중한 친구”로 묘사하면서 “그녀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모리슨 총리와 함께 자유당 주요 인사들은 그녀에게 와링가 지역구 출마를 공개적으로 독려해 왔다. 심지어 모리슨 총리는 ICAC의 조사에 대해 “(그녀를) 주 총리직에서 사임하도록 한 ‘인민재판’(kangaroo court)”이라는 말까지 사용하며 이례적인 비난을 가하기도 했다. ICAC는 아직 그녀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날(12월 10일), 베레지클리안 전 주총리가 라디오 방송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확고히 한 뒤 모리슨 총리는 그녀를 ‘소중한 친구’(dear friend)로 묘사하면서 “지난 수년간 NSW 주를 위해 봉사한 데 대해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이제 새로운 삶의 장으로 나가기로 결정했고, 나와 제니(Jenny. 모리슨 총리의 부인)는 그녀가 최선을 다하기를 바란다”는 말로 그녀의 결정을 받아들이면서 “베레지클리안 전 주 총리는 많은 여성들에게 영감을 주어 정치에 참여하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글래디스 1).jpg (File Size:73.7KB/Download:14)
  2. 종합(글래디스 2).jpg (File Size:54.4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5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매물 1,152채, 시드니 경매 기록 갱신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1156 호주 말 경주를 허락할 수 없다고? 그래도 ‘파티’는 계속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155 호주 시드니 인구 500만 명 돌파... 16년 만에 100만 명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154 호주 홈부시 베이-실버워터 인구밀도, 뉴욕과 맞먹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153 호주 공유시장 경제 70% 급성장... 기존 사업모델 위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152 호주 인도네시아 발리, ‘지구촌 최고 여행지’ 꼽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151 호주 시드니 도심 교차로에 보행자 위한 ‘노상 신호등’ 도입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150 호주 NSW 주 범죄발생 비율, 40년 만에 사상 최저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149 호주 고령의 직장인들, 젊은층 비해 직장 내 업무 만족도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148 호주 호주 부동산 화제- 헌터스 힐 저택, 주 1만 달러 임대 매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147 호주 “집안의 아이들 안전 위해 가구는 고정시켜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146 호주 라이카트 소재 오랜 주택, 잠정가서 21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145 호주 Armidale, Bellingen... NSW’s most beautiful towns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44 호주 ‘페어팩스-입소스’ 3월 여론조사, ‘양당선호’서 노동당 크게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43 호주 시드니, NSW 주 전역서 구직 경쟁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42 호주 시드니-멜번 거주자, 높은 생활비 각오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41 호주 법원, 카운슬 합병 관련해 ‘쿠링가이 카운슬’ 손 들어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40 호주 ‘Powerful Passport’... 호주-한국, 무비자 입국 170개 국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39 호주 시드니 주택별 소방 서비스 비용, 연 $471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38 호주 “무슬림은 질병, 예방접종 필요”... 폴린 핸슨, 또 막말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