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입국 규정 변경 1).jpg

오미크론(Omicron) 변이 바이러스로 NSW와 빅토리아(Victoria) 주가 해외에서의 입국자를 대상으로 일시적으로 적용했던 3일간의 검역 의무를 해제했다. 다만 입국자는 도착 후 24시간 이내 COVID-19 PCR 검사를 받아 ‘음성’임을 확인해야 한다. 사진 : Pixabay / Skitterphoto

 

12월 21일부터 ‘72시간 격리’ 해제, ‘COVID-19 PCR 검사’는 계속 시행

 

NSW 및 빅토리아(Victoria) 주가 COVID-19 예방접종을 완료한 해외에서의 입국자에게 적용했던 72시간 격리 요구를 해제했다.

이 같은 변경 사항은 12월 21일(화)부터 적용됐으며, 다만 시드니와 멜번(Melbourne)으로 입국하는 해외여행자는 도착 후 24시간 이내에 COVID-19 PCR 검사를 받아야 하며, ‘음성’임이 확인될 때까지 격리 상태로 있어야 한다.

COVID-19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여행자 대상의 규정은 동일하게 유지돼 18세 이상 입국자는 도착 후 14일간 호텔 격리 과정이 요구된다.

NSW와 빅토리아 주는 이제 COVID-19와 관련해 국경을 통제하는 데 있어 일관된 규정을 적용하고 있다. 다만 NSW 주 규정에 따르면 해외여행자는 NSW 주 도착 후 6일째 후속 PCR 검사를 받아야 하며 빅토리아 주는 도착 5일에서 7일 사이에 이 검사를 받독록 하고 있다.

NSW와 빅토리아 주는 3주 전, 오미크론(Omicron) 변이 바이러스와 관련하여 국경 관련 규정을 일시 변경, 모든 입국자에게 잠정적으로 72시간의 격리를 적용한 바 있다.

양 주 총리는 이 같은 내용을 공동 발표하면서 “일시적으로 규제했던 국경 제한의 해제는 높은 예방접종률의 결과이며, 항공사와 여행자의 입국 절차 합리화 조치”라고 말했다.

도미넥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NSW 주 총리는 “이번 결정은 입국 절차를 간소화하고 호주의 양 대도시가 일관된 접근을 갖추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빅토리아 주 제임스 멀리노(James Merlino) 부총리는 “VIC 주민의 92%가 두 차례의 백신접종을 완료했기에 이번 크리스마스 시즌에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하고 더 많은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며 “우리는 지속적으로 오미크론 변이를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입국 규정 변경 1).jpg (File Size:93.3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37 호주 서부 호주 세계 최대 공룡 발자국, 상세 내용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36 호주 호주 경찰, 시가 1억 달러 상당 불법마약 압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35 호주 캐슬크래그 소재 주택, 잠정가서 8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34 호주 “호주 학교들, 교실 당 학생수 더 늘려야...”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33 호주 호주 최고 부자 라인하트 자산, 1년 사이 80억 달러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32 호주 호주 원주민 대륙정착 역사, DNA 분석 통해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31 호주 녹색당, “인지세 폐지하고 토지세 확대로 보완”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30 호주 연립 보수파 지역구, ‘동성결혼 합법화’ 지지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29 호주 대중들의 감정 상태 모니터, ‘정신질환 대처’ 가능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28 호주 NSW 주, 2011년 이래 원주민 투옥률 35%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27 호주 Childfree... 무자녀 여성 비율, 갈수록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26 호주 정차 운전석서 휴대전화로 사진 촬영, “불법인 줄 몰랐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25 호주 알렉산드리아 테라스하우스, 10년 사이 가격 3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24 호주 빛의 축제 ‘비비드’, 시드니 도심서 바랑가루까지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123 호주 Australian Wellbeing Index 2016- 삶의 질, 전반적 향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122 호주 시드니-멜번 거주자, 서부호주-QLD 지역에 감사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121 호주 “호주 젊은 여성 잠재인력, 가장 활용 안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120 호주 호주 학생들, 수학-과학실력 하향 조짐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119 호주 안정적 노후생활 비용... 시드니, 100만 달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118 호주 어린이 독서 도우미견(犬) ‘Story Dogs’ 인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