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학생유치 방안 1).jpg

국제학생 및 백패커 유치를 위한 방안으로 연방정부는 향후 8주(유학생)에서 12주 이내(워킹홀리데이 메이커) 호주로 입국하는 이들에게 비자 수수료를 환불해 주겠다고 제안했다. 이로써 정부는 시급한 노동력 부족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이를 발표하는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유학생 유치 및 인력부족 해소 취지... 향후 8~12주 이내 입국자 대상

 

팬데믹 이후 각 산업분야에서 인력부족을 호소하는 가운데 연방정부가 국제학생 및 워킹홀리데이 메이커를 다시 불러들이기 위한 방안으로 향후 몇 달 안에 호주로 입국하는 이들에게 비자 수수료를 면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월 19일(수) 호주 언론들에 따르면 약 600달러에 달하는 비자 수수료 환불은 향후 8주 이내 입국하는 유학생, 향후 12주 이내 호주로 들어오는 워킹홀리데이 메이커를 대상으로 한다.

정부는 이 리베이트 계획에 따른 총 예상 비용이 5,5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이 조치로 정부는 현재 호주 학생비자를 소지하고 있지만 호주 현지에 없는 약 15만 명의 국제학생 및 2만3,500명의 백패커를 다시 호주로 유입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는 “국제학생 및 백패커들이 다시 호주로 돌아와 학업을 이어가고 또한 각 업계의 부족한 인력을 채워주기를 바란다”며 “특히 의료, 노인요양 시설 및 관련 분야에서 공부하는 이들은 이 업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모리슨 총리는 백패커들이 호주에서 일하고 여행을 함으로써 어려움에 처한 호주 관광업계에도 활력을 줄 것으로 기대하면서 “우리의 메시지는 ‘호주로 돌아오라’(come on down)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팬데믹 이후 해외에서 입국하는 백패커 여행자들이 거의 사라진 가운데 이들 노동력에 크게 의존하던 농업을 비롯해 최근에는 주요 생필품 공급망 직원들의 COVID-19 감염으로 인한 강제 격리에 따라 노동력 부족은 상당히 심각한 상황이다.

호주의 주요 산업계는 현재 빠르게 전파되는 ‘오미크론’(Omicron) 변이 출현 이전에도 장기간 이어진 국경 폐쇄와 임시비자 근로자 유입 감소로 심각한 인력부족을 우려한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기업에서는 부족한 인력 유치에 소요되는 높은 임금을 충당하기 위해 상품가격을 인상해야 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모리슨 총리는 또한 특정 ‘필수’ 산업 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밀접접촉자 격리 조치 완화, 백패커 인력이 한 주에 일할 수 시간 조정 등 이미 발표된 여러 변경사항으로 각 업계의 인력부족 문제가 해소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학생유치 방안 1).jpg (File Size:51.8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37 호주 문 대통령의 호주 방문을 보는 호주 전문가들의 시각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36 호주 빅토리아 주 St Andrews Beach, 올해 주택가격 상승폭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5 호주 시드니 지역 경매 낙찰률 다소 하락, 주택가격도 떨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4 호주 NSW-Victoria, ‘오미크론’으로 일시 중단됐던 입국자 규제 철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3 호주 매일 일정량의 요구르트 복용, 고혈압 관리 필수 식품 될 수 있을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2 호주 “우리 모두 일상으로 돌아가고 2022년에도 안전을 유지할 수 있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1 호주 지난 10년 사이 NSW 공공 부문 성별 임금격차 크게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0 호주 아만다 로리, ‘마일즈 프랭클린’이어 ‘Prime Minister's Literary Award’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9 호주 COVID-19 백신접종... 바이러스 장기 질환 위험, 과연 줄여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8 호주 ‘Australia's Welfare 2021’… 전염병 사태에서의 호주 복지 수준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7 호주 NSW 주 모바일 과속 단속 카메라 벌금, 지난 12개월 동안 4천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6 호주 취임 두 달 맞는 NSW 주 페로테트 주 총리, 주요 내각 개편 단행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5 호주 오미크론 변이 중증은 백신으로 보호, 확산은 계속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4 호주 팬데믹 상황에서도 호황 이어갔던 호주 부동산 시장, 올해 전망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3 호주 연방 내각, 감염자 밀접 접촉자 격리면제 범위 확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2 호주 ‘Services Australia’의 ‘팬데믹 병가 지원금’, 수혜 대상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1 호주 기록적인 COVID-19 환자 입원 수치 불구, 감염자의 심각한 위험성은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 호주 연방정부, 호주입국 국제학생-백패커에게 비자 수수료 환불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19 호주 기후변화 지속... 호주인들, 영상 50도의 위험한 폭염에 익숙해져야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18 호주 감추어져 있던 호주의 흑역사... “호주 역사서를 업데이트할 시간”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