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학생유치 방안 1).jpg

국제학생 및 백패커 유치를 위한 방안으로 연방정부는 향후 8주(유학생)에서 12주 이내(워킹홀리데이 메이커) 호주로 입국하는 이들에게 비자 수수료를 환불해 주겠다고 제안했다. 이로써 정부는 시급한 노동력 부족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이를 발표하는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유학생 유치 및 인력부족 해소 취지... 향후 8~12주 이내 입국자 대상

 

팬데믹 이후 각 산업분야에서 인력부족을 호소하는 가운데 연방정부가 국제학생 및 워킹홀리데이 메이커를 다시 불러들이기 위한 방안으로 향후 몇 달 안에 호주로 입국하는 이들에게 비자 수수료를 면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월 19일(수) 호주 언론들에 따르면 약 600달러에 달하는 비자 수수료 환불은 향후 8주 이내 입국하는 유학생, 향후 12주 이내 호주로 들어오는 워킹홀리데이 메이커를 대상으로 한다.

정부는 이 리베이트 계획에 따른 총 예상 비용이 5,5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이 조치로 정부는 현재 호주 학생비자를 소지하고 있지만 호주 현지에 없는 약 15만 명의 국제학생 및 2만3,500명의 백패커를 다시 호주로 유입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는 “국제학생 및 백패커들이 다시 호주로 돌아와 학업을 이어가고 또한 각 업계의 부족한 인력을 채워주기를 바란다”며 “특히 의료, 노인요양 시설 및 관련 분야에서 공부하는 이들은 이 업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모리슨 총리는 백패커들이 호주에서 일하고 여행을 함으로써 어려움에 처한 호주 관광업계에도 활력을 줄 것으로 기대하면서 “우리의 메시지는 ‘호주로 돌아오라’(come on down)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팬데믹 이후 해외에서 입국하는 백패커 여행자들이 거의 사라진 가운데 이들 노동력에 크게 의존하던 농업을 비롯해 최근에는 주요 생필품 공급망 직원들의 COVID-19 감염으로 인한 강제 격리에 따라 노동력 부족은 상당히 심각한 상황이다.

호주의 주요 산업계는 현재 빠르게 전파되는 ‘오미크론’(Omicron) 변이 출현 이전에도 장기간 이어진 국경 폐쇄와 임시비자 근로자 유입 감소로 심각한 인력부족을 우려한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기업에서는 부족한 인력 유치에 소요되는 높은 임금을 충당하기 위해 상품가격을 인상해야 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모리슨 총리는 또한 특정 ‘필수’ 산업 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밀접접촉자 격리 조치 완화, 백패커 인력이 한 주에 일할 수 시간 조정 등 이미 발표된 여러 변경사항으로 각 업계의 인력부족 문제가 해소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학생유치 방안 1).jpg (File Size:51.8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37 호주 서부 호주 세계 최대 공룡 발자국, 상세 내용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36 호주 호주 경찰, 시가 1억 달러 상당 불법마약 압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35 호주 캐슬크래그 소재 주택, 잠정가서 8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1134 호주 “호주 학교들, 교실 당 학생수 더 늘려야...”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33 호주 호주 최고 부자 라인하트 자산, 1년 사이 80억 달러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32 호주 호주 원주민 대륙정착 역사, DNA 분석 통해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31 호주 녹색당, “인지세 폐지하고 토지세 확대로 보완”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30 호주 연립 보수파 지역구, ‘동성결혼 합법화’ 지지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29 호주 대중들의 감정 상태 모니터, ‘정신질환 대처’ 가능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28 호주 NSW 주, 2011년 이래 원주민 투옥률 35%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27 호주 Childfree... 무자녀 여성 비율, 갈수록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26 호주 정차 운전석서 휴대전화로 사진 촬영, “불법인 줄 몰랐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25 호주 알렉산드리아 테라스하우스, 10년 사이 가격 3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124 호주 빛의 축제 ‘비비드’, 시드니 도심서 바랑가루까지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123 호주 Australian Wellbeing Index 2016- 삶의 질, 전반적 향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122 호주 시드니-멜번 거주자, 서부호주-QLD 지역에 감사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121 호주 “호주 젊은 여성 잠재인력, 가장 활용 안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120 호주 호주 학생들, 수학-과학실력 하향 조짐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119 호주 안정적 노후생활 비용... 시드니, 100만 달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118 호주 어린이 독서 도우미견(犬) ‘Story Dogs’ 인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