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사망자 분석 1).jpg

전염병 사태 이후 호주 내 사망자를 집계해 온 호주 통계청(ABS) 자료에 따르면 호주에서 태어난 이들에 비해 해외 출신 이민자의 COVID-19로 인한 사망 비율이 크게 높았다. 사진은 중환자실(ICU)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COVID-19 감염 환자. 사진 : Western Health

 

호주통계청 사망 통계자료... 북아프리카-중동 지역 출신 사망확률은 약 10배

 

다문화 국가인 호주에서 COVID-19에 의한 사망자 가운데 어느 지역 출신이 가장 많았을까. 정부의 새로운 공식 자료에 따르면 호주에서 태어난 이들에 비해 해외에서 호주로 이주한 이들의 COVID-19에 의한 사망자가 거의 3배나 많다.

팬데믹 사태 이후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 통계를 집계한 결과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 출신 이민자의 경우 호주에서 태어난 이들에 비해 COVID-19로 사망할 확률이 약 10배 더 높았다. 또 동남아시아 및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지역 출신 사망자는 호주 현지 태생 사망자에 비해 두 배가 많았다.

호주 출생자와 유사한 사망률을 보인 이민자 출신 국가는 영국, 아일랜드계 호주인들이었다.

ABS 통계의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야당 내각의 다문화부 담당 앤드류 자일스(Andrew Giles) 의원은 “당황스럽고 소름끼친다”면서 “다문화 국가인 호주에서 이런 수치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일스 의원은 “현 모리슨(Scott Morrison) 정부는 비극적 결과를 초래한 이번 전염병으로부터 아무 것도 배운 게 없고, 또 지역사회의 목소리를 수용할 수 없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비난했다.

전염병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각 지역사회 대표들은 의사와 정치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정부의 COVID-19 대책과 관련해 ‘임시방편(on an ad-hoc basis)인지 아닌지’를 지적하면서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이민자 커뮤니티를 비롯해 고위험 그룹을 위한 방역 대책에 우려를 표한 바 있다.

사실 방역 대책 패널은 해외에서 출생한 뒤 호주로 이주한 이들 및 난민들을 ‘자신도 모르는 사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다른 이들을 전염시킬 위험이 높은 그룹’으로 구분했다. 이는 기저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또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그들 고유의 언어로 되어 있지 않은 중요한 보건 관련 정보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전염병이 더욱 확신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언어로 된 공공보건 주요 메시지가 다문화 커뮤니티에 배포됐다. 하지만 각 소수민족 언어로 된 중요한 보건정보는 수시로 업데이트 되지 않았다.

 

종합(사망자 분석 2).jpg

다문화 커뮤니티에서의 COVID-19 사망자가 많았던 것에 대해 영어 이외 언어를 사용하는 각 이민자 그룹에 중요한 보건정보가 수시로 전달되고 업데이트 되지 않았다는 것도 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중반, ‘델타’ 변이로 인한 봉쇄 조치 당시 인적이 끊긴 시드니 서부의 한 지역(suburb) 중심가. Nine Network 방송 화면 캡쳐

   

다문화 커뮤니티 단체인 ‘호주 소수민족공동체연맹’(Federation of Ethnic Communities' Councils of Australia)의 매리 파테소스(Mary Patetsos) 의장은 “문화-언어적 다양성(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ALD)을 가진 호주인의 경우 COVID-19에 더 취약할 수 있다”면서 “그들은 대개 트럭운전 일을 하거나 노인 요양시설, 간병인, 병원 종사자들이 많다”고 말했다.

그녀 또한 “정부가 각 소수민족 언어로 된 공공보건 메시지를 제때, 적절하게 제공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불균형적 사망률을 막기 위해서는 훨씬 더 많은 조치를 취했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연방 보건부 최고 의료 책임자인 폴 켈리(Paul Kelly) 박사는 상원위원회에서 “이 통계는 전염병 발생이 가장 많았던 일부 지역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CALD 커뮤니티에서 특정 문제가 계속 발생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지난해 시드니를 강타한 ‘델타’(Delta) 변이 발발을 감안하면, (해외 출생 인구 및 문화적으로 다양한 이들이 많이 거주하는) 시드니 남서부가 긴 시간 동안 진원지가 됐다”고 설명했다.

CALD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한 COVID-19 자문 타스크포스 책임자인 루카스 드 토카(Lucas De Toca) 박사는 상원위원회에서 이 사안에 대해 “지역사회 지도자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지역사회와 여러 표적화된 특정 작업을 수행해 왔고 그들의 감염 사례를 관리하는 것뿐 아니라 COVID-19 예방접종률을 향상시키고자 정부와 협력해 왔다”고 밝혔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사망자 분석 1).jpg (File Size:85.5KB/Download:12)
  2. 종합(사망자 분석 2).jpg (File Size:56.9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알바니스 총리, 차기 호주 총독에 법조인 겸 사업가 사만타 모스틴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6 호주 NSW 운전자 대상, 도로 통행료 환급신청 접수 시작... 클레임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5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 계획에서 가계 재정부담 완화 방안 제시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4 호주 유닛을 구입하고 투자 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주요 도시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3 호주 새로 적용된 학생비자 입안자, ‘노동당 정부의 대학 단속’으로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2 호주 심각한 주택부족 상황 불구, 시드니 지역 ‘빈 집’ 2만 가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1 호주 시드니 전역 유명 사립학교 학부모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0 호주 ‘Hambledon Cottage’ 200년 주년... 파라마타 시, 관련 기념행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9 호주 ‘주택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어려움, ‘baby boomers의 고령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8 호주 파라마타 시, ‘Arthur Phillip Park’ 재개장 기해 야외 영화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7 호주 계속된 생활비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 저축액 1천 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6 호주 Express. Empower. Get Loud!... CB City, ‘청년주간’ 행사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5 호주 팬데믹 이후 호주 인구 ‘급증’ 속, 가장 큰 영향 받는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4 호주 투자 부문의 최고 ‘인플루언서’, “고령화 위기 대비하려면 호주 본받아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3 호주 주택을 구입할 때 침실 하나를 추가하려면 얼마의 급여가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2 호주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적 확산 추세 따라 해당 비자 제공 국가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1 호주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대학원 과정은 ‘건강’ 및 관련 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0 호주 늘어나는 신용카드 사기... 지난해 호주인 손실, 22억 달러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9 호주 월별 CPI 지표, 3개월 연속 3.4% 기록... “하향 추세 판단, 아직 이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8 호주 주택시장, ‘인상적 성장세’ 지속... 1년 사이 중간가격 6만3,000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