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OVID 사망 1).jpg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차단을 위한 공공보건 조치들이 대부분 해제되면서 이에 대한 경계심도 점차 멀어지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호주에서 매일 평균 40명이 COVID-19로 사망하고 있는 점에 강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사진은 한 병원의 COVID-19 병동. 사진 : 7 News 방송 화면 캡쳐

 

국민 1인당 감염비율, 전 세계서 가장 높아... 전문가들, ‘국가적 의제 밖’ 우려

 

코로나바이러스 신종 감염증과 관련한 공공보건 조치들이 대부분 해제되고 정부 차원에서도 풍토병으로 여기는 단계임을 선포한 상황이지만 COVID-19로 인한 사망자가 매일 평균 40명에 이르고 있다.

호주의 COVID 감염비율을 국민 1인당으로 환산하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보건 당국 및 전염병 전문가들은 이 바이러스가 국가 의제에서 벗어났음에 큰 우려를 표하는 상황이다.

2년 여 전 COVID-19 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호주에서 코로나바이러스로 사망한 이들은 7,800명에 이르며, 여전히 매일 수십 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보건 관련 작가인 제인 맥크레디(Jane McCredie)씨는 “우리는 우리의 의료 시스템이 직면한 가장 큰 도전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거의 중단했다”고 지적했다.

맥크레디씨는 주간으로 발행되는 호주 온라인 의학저널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최근호에 이달 첫 주에만 약 35만 명의 COVID 양성 사례가 발생했다고 언급했다.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호주에서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들은 총 645만 명에 달한다.

맥크레디씨는 이어 “최근 5개월 사이에만 500만 명 넘는 이들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며 “(Rapid Antigen Test 기기를 통한) 자체 테스트에 의존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이는 과소평가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물론 호주의 높은 백신접종률로 인해 사망자가 줄었고, 팬데믹 초기보다 덜 치명적인 것은 사실이다. 맥크레디씨는 “COVID로 인한 사망률 감소는 의심의 여지없이 이 질병에 대한 관심에서 멀어지게 한 요인 중 하나이지만 보다 큰 이유는 모든 이들이 (코로나바이러스에) 지쳐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호주 공공보건협의회(Public Health Association of Australia)의 테리 슬레빈(Terry Slevin) CEO는 같은 매체에 “이 질병이 일선 의료 종사자들에게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지난 2년 넘게 경계 태세를 늦추지 못했고 수시로 격리 상태에 처해졌으며, 낯선 이들의 기침을 바라보아야 했고 내일을 장담할 수 없는 것처럼 손을 소독해야 하는 등, 이제 우리에게는 더 이상 버틸 기력이 없다”고 호소했다.

 

종합(COVID 사망 2).jpg

인구 1인당 COVID-19 감염률 면에서 호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여전히 이 질병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게 전염병 학자들의 말이다. 사진 : 7 News 방송 화면 캡쳐

   

그러면서 슬레빈 CEO는 “사람들의 무관심이 의료진들에게는 최악의 결과를 줄 수 있다”면서 “이미 의료 자원과의 싸움에 이른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호주의료협의회(Australian Medical Association) 부회장인 크리스 모이(Chris Moy) 박사도 “전염병에 대한 피로감과 안일함이 뒤섞여 (COVID-19가) 전국민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음을 우리는 보고 있다”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이어 “우리의 보건 시스템은 감염 환자뿐 아니라 감염 이후 ‘long-COVID’ 증세로 고통받는 수천 명의 국민들까지 돌보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모이 박사는 “우리 커뮤니티가 이런 점도 주목해야 한다”며 COVID-19에 대한 지속적인 경계를 당부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OVID 사망 1).jpg (File Size:73.7KB/Download:16)
  2. 종합(COVID 사망 2).jpg (File Size:78.8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97 호주 NSW 노동당 정부의 첫 예산계획, ‘70억 달러 블랙홀’ 직면... 삭감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896 호주 그래프로 보는 호주 노동시장... 경제학자들, “전환점에 가까워졌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895 호주 3월 분기 호주 경제성장률 0.2% 그쳐... 현저한 GDP 둔화 신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894 호주 호주 전체 근로자 거의 절반, 부채에 ‘허덕’... 정신건강 전문가들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893 호주 4만 명에 달하는 범법 행위자 자녀들이 겪는 고통-복합적 불이익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892 호주 최저임금 8.6%-근로자 일반급여 5.75% 인상, 향후 금리상승 압박 ‘가중’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91 호주 NSW 주 소재 공립대학들, 등록학생 감소로 2022년 4억 달러 재정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90 호주 프랑스 식민지가 될 뻔했던 호주... 영국의 죄수 유배지 결정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9 호주 악화되는 주택구입 능력... 가격 완화 위해 부유 지역 고밀도 주거지 늘려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8 호주 시드니 평균 수입자의 주택구입 가능한 교외지역, 20% 이상 줄어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7 호주 기준금리 상승 불구, 5월 호주 주택가격 반등... 시드니가 시장 회복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6 호주 퀸즐랜드 아웃백 여행자 11% 감소... 4년 만에 맞는 최악의 관광시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5 호주 정신건강-자살예방 시스템 변화 구축, “실제 경험 뒷받침되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4 호주 CB 카운슬의 폐기물 처리 기술, ‘Excellence in Innovation Award’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3 호주 그라탄연구소, 정부 비자개혁 앞두고 이주노동자 착취 차단 방안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82 호주 호주 가정의 변화... 자녀 가진 부부의 ‘정규직 근무’, 새로운 표준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81 호주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 이후 부동산 투자자들의 세금공제 신청,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80 호주 NSW 정부의 첫 주택구입자 지원 계획... 인지세 절약 가능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9 호주 기준금리 상승의 실질적 여파... 인플레이션 더해져 소비자들, 지갑 닫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8 호주 블루마운틴의 Zig Zag Railway 기관차, ‘관광 상품’으로 운행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