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OVID 종식 1).jpg

세계보건기구(WHO)가 COVID-19 팬데믹 사태의 종식을 언급했다. 지난 9월 15일(스위스 현지 시간) 미디어 브리핑에서 WHO의 테워드로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사진) 사무총장은 감염 진행 상황을 감안, “우리는 이 팬데믹을 종식시키는 데 있어 ‘지금’보다 더 좋은 상황에 있었던 적이 없다”고 말했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테워드로스 사무총장, 미디어 브리핑서 밝혀... 6가지 핵심 사항 ‘실천’ 촉구

 

“It's not over yet, but we can see the finish line...”

세계보건기구(WHO)가 COVID-19 팬데믹에 대해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했다. 이 전염병 상황이 종식 기미를 보인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은 끝나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 사무총장은 지난 9월 15일(스위스 현지시간), WHO 본부가 있는 제네바에서의 미디어 브리핑에서 COVID-19 팬데믹에 대해 “끝이 보인다”면서 “하지만 지금은 감염을 막기 위한 통제 조치를 완화할 때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이 팬데믹을 종식시키기는 있어 ‘지금’보다 더 좋은 상황에 있었던 적이 없다”면서 “아직은 오지 않았지만 아니지만 끝이 보인다”(We're not there yet, but the end is in sight)라고 강조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지난 2020년 1월 COVID-19를 WHO의 최고 경보단계인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로 공식 선언한 바 있다. 이어 3월, 그는 이 전염병 발병을 ‘팬데믹’(pandemic)이라는 용어로 설명했었다. 이는 COVID-19가 추가 규제를 촉발하지는 않았지만 이 바이러스가 얼마나 널리 확산됐는지를 인정했다는 의미이다.

이날 미디어 브리핑에서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또한 전 세계 지도자들이 ‘PHEIC’ 상황을 끝내기 위한 감염검사, 임상치료, 백신접종 등 6가지 핵심 영역에 초점을 두고 행동해 줄 것을 촉구했다.

 

종합(COVID 종식 2).jpg

현재 전 세계적으로 COVID-19에 의한 사망자 수는 감소하는 추세이다. 그림은 첫 사망자 발생 후의 신규 사망자 수. 표시된 것은 7일간의 평균치이다. 그림 : WHO

  

그는 “마라톤 주자는 결승선이 보일 때에도 멈추지 않고 남아 있는 모든 에너지를 쏟아 계속 달린다”며 “우리도 그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그 결승선을 볼 수 있고 그런 위치에 있지만 지금 달리기를 중단한다면 최악의 시간이 될 것”이라며 “지금은 그 동안 우리가 견지해 온 모든 노력에 대한 보상을 거둘 때”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사무총장은 “지금 전 세계가 COVID-19와 관련한 조치를 완화한다면 더 많은 변이 바이러스, 더 많은 사망자 발생, 더 많은 불확실성의 위험이 있다”는 점을 경고했다.

현재 WHO 자료는 전 세계적으로 120억 회 이상의 COVID-19 백신이 투여됐음을 보여준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각 국가는 노인, 의료종사자, 면역력 저하자 등 우선순위가 높은 그룹을 대상으로 100% 접종 범위에 도달하고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도 덧붙였다.

 

COVID-19로 인한 사망자,

점차 감소 추세로...

 

한편 WHO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사무총장의 미디어 브리핑 전 주)의 주간(weekly) COVID-19 관련 사망자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적었다. 이달 5일에서 11일 사이, 전 세계적으로 COVID-19 사망자는 1만935명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됐다. 이는 이전 주(8월 29일~9월 4일)에 비해 20% 이상 감소한 수치이다.

 

종합(COVID 종식 3).jpg

테워드로스 WHO 사무총장은 전 세계 지도자들에게 지속적인 감염 검사, 백신접종, 임상치료 대비 등 6가지 핵심 사항을 지속적으로 이어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같은 기간(9월5일~11일), 호주에서는 407명의 새 사망자가 나왔다. 전염병 사태 발생 이후 9월 11일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는 640만 명 이상이 이 질병으로 목숨을 잃었다.

지난 9월 9일, 연방정부가 마지막으로 업데이트 한 호주의 COVID-19 사망자는 2020년 1월 이후 이날(9일)까지 1만4,421명이다.

 

■ WHO의 6가지 핵심 권고

▲ 감염 검사 : 의심되는 COVID-19 감염 사례를 지속적으로 검사하고 확인된 감염자 추적

▲ 임상 치료 : 감염자 급증을 대비한 계획 및 장기간의 환자 치료

▲ 백신접종 : 접종률 목표를 설정하고 고위험 환경에 있는 그룹 등 인구 통계에서 접종 우선순위 지정

▲ 감염 통제 : 감염자 확산 차단을 위한 보건 당국의 관리 조치

▲ 공공보건에 대한 신뢰 회복 : 신뢰할 수 있고 접근 및 실행 가능한 보건정보 제공

▲ COVID-19 ‘인포데믹’(infodemic) 관리 : 잘못된 보건 정보를 더욱 잘 식별, 해결하기 위한 의료 종사자 교육. ‘infodemic’은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endemic)의 합성어이며, ‘정보감염병’을 뜻하는 말로, 잘못된 정보나 악성루머가 미디어,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해 매우 빠르게 확산되는 현상을 일컫는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OVID 종식 1).jpg (File Size:71.0KB/Download:14)
  2. 종합(COVID 종식 2).jpg (File Size:27.3KB/Download:14)
  3. 종합(COVID 종식 3).jpg (File Size:54.3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557 호주 Federal Elaction 2016- 의료 민영화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56 호주 Federal Elaction 2016- 페어팩스 미디어 ‘YourVote’ 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55 호주 Australia's most bizarre laws that make no sense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54 호주 연방 선거일 불구, 시드니 경매 낙찰률 73.5%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53 호주 NSW 주 대중교통, 종이승차권 사라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52 호주 시드니-NSW 예술대학 합병에 학생들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51 호주 NSW 주 정부의 ‘여성보호소 운영’, 부실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50 호주 봅 카, 전 주 수상, ‘아이스 흡입실’ 시험적용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49 호주 엽산-요오드 첨가 빵, 건강 혜택 가져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48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 임대주택 계약 조기해약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47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성장, “아직 절정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46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새 역사 쓴 린다 버니 의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4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의석 확대, 노동당 전략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44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턴불, 책임 감수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4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연립, 76석 확보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42 호주 11 things Australians get wrong about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4541 호주 더블 베이 주택, 잠정가보다 100만 달러 상승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40 호주 포커머신 세금 감면 누적액, 135억 달러에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39 호주 NSW 주, 43년 만에 ‘스트라타 법’ 개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38 호주 파라마타 초고층 빌딩, 고도제한으로 개발 어려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