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hildcare 개혁).jpg

NSW 주 정부의 유아교육 개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주 정부는 조만간 관련 계획인 'Childcare and Economic Opportunity Fund’ 법안을 의회에 상정한다는 방침으로, 이것이 승인될 경우 주 전역의 부모들은 이용이 쉽고 저렴해진 비용으로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 : NSW Government

 

올해 예산 계획에서 밝힌 ‘Childcare and Economic Opportunity Fund’ 법안

10년에 걸쳐 총 159억 달러 투입, ‘킨디 준비 학년’ 도입 위한 자금 확보 포함

 

NSW 주 정부가 최대 50억 달러의 보육 및 경제적 기회 기금인 ‘Childcare and Economic Opportunity Fund’ 법안을 조만간 의회에 상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주 전역의 부모들은 이용이 쉽고 저렴해진 비용으로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지난 6월, NSW 주 정부는 새 회계연도(2022-23년도) 예산 계획을 발표하면서 보육 부문에서 총 159억 달러 집행을 약속한 바 있다.

이 기금을 위한 법안이 의회에서 승인될 경우 NSW 주 각 가정은 향후 수십 년 동안 보육 서비스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차일드케어(Childcare) 업계 또한 시설 운영에 더 큰 확신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매트 킨(Matt Kean) NSW 재무장관은 주 정부의 유아교육 개혁이 연방정부의 보육 보조금 변경과 합쳐질 경우 최대 4만7,000개의 보육 서비스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고 말했다.

킨 장관은 “주 정부의 획기적인 투자는 가장 필요로 하는 부모들이 적절한 보육 지원을 받음은 물론 여성들이 원할 때 유급 직장으로 복귀하도록 도움을 줄 것”이라며 “또한 이번 법안은 가계 생활비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더 많은 이들이 직업과 가족 모두를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NSW 재무부에 따르면 유아교육 개혁을 통해 NSW 주는 10년 내 노동참여 인구의 성별 임금격차를 최대 14%까지 좁히고 가구 소득을 평균 4,400달러까지 높여줄 것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킨 장관은 “연방정부의 보육 개혁과 함께 제공되는 이 기금으로 최대 9만5,000명의 여성이 직장을 갖거나 더 긴 시간 근무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브로니 테일러(Bronnie Taylor) 여성부 장관은 NSW 주 여성의 경제적 기회 향상과 직장참여를 촉진하고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올해 예산 계획에서 발표된 기타 조치와는 별도로 이번 기금이 추가된다고 말했다. “이 기금은 보육 서비스 이용이 어려웠던 지역을 우선 대상으로 하며, 오늘날 각 가정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시범 운영함으로써 ‘보육 가뭄’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NSW 정부의 보육 개혁에는 향후 10년에 걸쳐 159억 달러가 투입되며, 여기에는 다음 내용이 포함된다.

-보육 및 경제 기회 기금조성 목적으로 10년에 걸쳐 최대 50억 달러

-2030년까지 NSW의 모든 어린이를 대상으로 초등학교 입학 1년 전 고품질의 보편적 킨디 준비 학년을 도입하기 위해 10년에 걸쳐 58억 달러 투입

-저렴한 차일드케어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4년에 걸쳐 14억 달러 투입

-3세 어린이의 차일드케어 종일 반 참여를 늘리기 위해 6,410만 달러 투입

-차일드케어 보육교사 수, 교육의 질 향상 및 기존 교사 유지 목적으로 4년에 걸쳐 2억8,160만 달러 투입(이 패키지에는 유아교육 교사를 배출하는 고등교육 장학금 최대 25,000달러, 직업학교 교육 및 훈련 장학금 최대 2,000달러, 직원 유지를 돕기 위한 고용주 지원금이 포함)

-‘Brighter Begins’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대도시와 지방 지역의 차일드케어 발달 점검을 위해 4년에 걸쳐 1억1,120만 달러 투입

-시스템 관리 역량을 구축하고 유아교육 및 보육 서비스 제공자에게 보다 맞춤화된 지원과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4년에 걸쳐 2,470만 달러 투입

-방과 전 및 방과 후 보육 서비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3년에 걸쳐 3,790만 달러 투입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hildcare 개혁).jpg (File Size:87.9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537 호주 ‘크라운그룹’, 또 하나의 유명 건축 부문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36 호주 호주 원주민 기혼 여성, 사망 위험 매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35 호주 Southern Ocean Lodge, 전 세계 Top 4위 호텔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34 호주 소비자들로부터 가장 불만 많았던 광고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33 호주 록스 인근 밀러스 포인트, ‘Airbnb’ 숙소로 급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32 호주 거대 기업들의 개인 신원확인, 과연 적절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31 호주 케빈 러드의 UN 사무총장 꿈, 난항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30 호주 사망-중상자 기준, 호주에서 가장 위험한 직업군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29 호주 올 연방 선거, 20년 만에 여성의원 수 ‘최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28 호주 NSW 주 정부, 그레이하운드 경주 ‘금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4527 호주 알렉산드리아 창고, 잠정가보다 100만 달러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4526 호주 시드니 시티 카운슬, 차기 시장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4525 호주 호주 성인 절반, ‘내집 마련’ 기회 더욱 멀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4524 호주 ‘배리 험프리스의 초상’, 올해 아치볼드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4523 호주 러드, ‘UN 사무총장 후보’ 호주 정부 지원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4522 호주 “고층만이 해결 방안...”, 시드니 도심 개발 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4521 호주 NSW 교육부, HSC 시험서 ‘수리’ 시험 의무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4520 호주 “일반의 진료비 개인 납부, 다시 고려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4519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연립 내각 일부 개편 단행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4518 호주 10 weirdest outback experience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