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공립 기피 1).jpg

자녀를 공립이 아닌 사립학교에 등록시키는 학부모가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ABS)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NSW 주 사립학교 등록 학생 비율은 2017년 13.3%에서 지난해 15.1%로 크게 늘어났다. 사진 : Association of Independent Schools NSW

 

호주 통계청 자료... 2022년도 공립학교 재학 비율 63.7%, 5년 전 65.5%에서 감소

사립학교 재학생은 2017년 13.3%에서 15.1%로 급증, 가톨릭 학교 등록은 ‘안정적’

 

NSW 주 학부모들이 자녀의 공립학교 등록을 기피하고 있다. 대신 사립학교에 보내는 학부모 수가 지난 5년 사이 기록적으로 증가하면서 공립학교 학생 비율은 15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달 셋째 주 발표된 호주 통계청(ABS)의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도 NSW 주 학생의 63.7%가 공립학교에 재학하고 있다. 이는 5년 전의 65.5%에서 크게 감소한 수치이다. 반면 사립학교 학생 비율은 2017넌 13.3%에서 지난해 15.1%로 늘어났다.

가톨릭 재단 학교의 경우 지난해 학생 비율이 21%로 소폭 증가하기는 했지만 전반적으로 등록학생 수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시드니대학교 교육학자인 헬렌 프록터(Helen Proctor) 교수는 이 같은 변화에 대해 “시드니 외곽의 새로운 주택단지 개발로 학부모들이 학비가 비교적 저렴한 신규 사립학교에 자녀를 등록시키고 있는 것이 부분적 요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프록터 교수는 이어 “새로 개교하는 사립학교들의 낮은 학비는 학부모들에게 매력적”이라면서 “이런 신규 학교들은 오랜 역사를 가진, 부유한 사립학교들과 달리 공적 자금으로 막대한 지원을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공공정책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자유주의 싱크탱크 ‘Centre for Independent Studies’(CIS)의 글렌 파헤이(Glenn Fahey) 교육 부문 연구원은 “연간 등록금이 5천 달러에서 1만 달러 사이인 사립학교 수가 증가하면서 공립학교 등록을 기피하는 것은 장기적 추세”라고 말했다. 이어 “점차 더 많은 학부모들이 자녀를 사립학교에 등록시키는 것은 별로 놀랄 일이 아니다”는 그는 “이는 한동안 계속되어온 추세”라고 설명했다.

NSW 교육부 사라 미첼(Sarah Mitchell) 장관도 “정부는 자녀의 학교 등록을 선택할 수 있는 부모들의 뜻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ABS의 이번 데이터에 따르면 NSW 사립학교 등록학생 수는 1년 사이 6,570명이 증가해 2022년도 18만7,913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NSW 사립학교협의회(Association of Independent Schools NSW)의 마저리 에반스(Margery Evans) 최고경영자는 광역시드니의 새로운 교외지역(suburb)에 저렴한 학비를 요구하는 성공회, 이슬람 및 기독교 계열 학교에서 등록 학생 증가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에반스 CEO는 이어 “많은 수의 독립학교에서 입학 수요가 학생 정원을 초과하고 있으며 입학 대기 학생도 수십 명, 심지어 수백 명이 이르는 학교도 있다”고 말했다.

 

종합(공립 기피 2).jpg

사립학교 등록 비율 증가는 일부 인구성장 지역의 공립학교 부족이 부분적 요인으로 지적된다. 그런 한편 사립학교는 공립(학생 13.4명 당 교사 1명) 및 가톨릭 재단 학교(학생 13.6명 당 교사 1명)에 비해 더 많은 교사(학생 11.7명 당 교사 1명)를 확보하고 있다. 사진 : Association of Independent Schools NSW

   

올해 들어 시드니 소재 다수의 사립학교들이 등록금 4~7% 인상한 가운데, 이들 학교는 정원을 늘리고자 로비를 이어가고 있다. 사립학교 교장들의 주장은 “제한된 학생 정원이 등록 압박을 가증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ABS의 이번 자료에 따르면 NSW 주뿐 아니라 호주 전역에서 2022년도 사립학교 등록이 3.3%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어 가톨릭 재단 학교가 전년이 비해 1% 늘어나 ‘독립학교 선호’라는 전국적 추세를 반영했다. 반면 공립학교 등록은 2년 연속 하락, 전국적으로 0.6%가 감소했다.

ABS의 교육 부문 통계책임자인 엘루이스 로버츠(Ellouise Roberts) 국장은 “사립 초등학교 등록 학생 비율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으며, NSW 주의 경우 전체 초등학생의 12%가 독립학교에 재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녀는 “독립학교의 초등학생 등록 비율은 지난 몇 년간 지속되었으며 하이스쿨 재학 비율은 18.5%로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높다”고 덧붙였다.

현재 사립학교의 교사 비율은 다른 학교보다 나은 편이다. 전국적으로, 공립학교의 교사가 학생 13.4명 당 1명, 가톨릭 학교가 학생 13.6명 당 교사 1명인데 비해 사립은 학생 11.7명 당 교사 1명을 확보하고 있다.

시드니 서부, 블랙타운 카운슬(City of Blacktown) 지역의 오크허스트(Oakhurst)에 있는 Richard Johnson Anglican School의 알란 도슨(Alan Dawson) 교장은 시드니 북서부 지역의 인구성장 지역에서 저렴한 학비의 사립학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학교 12학년 학비는 연간 약 6,400달러로, “학부모들은 이 비용을 좋은 교육적 가치로 여기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어 그는 “올해의 경우 우리 학교 마스든 파크(Marsden Park) 캠퍼스는 1년 사이 등록학생이 44%나 증가했다”면서 “이는 서부 및 북서부 인구성장 지역에 공립학교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얼우드(Earlwood)에 거주하는 니키 캅사니스(Nikki Kapsanis)씨는 자녀인 조나스(Jonas)와 알렉시스(Alexis)를 Rosebank College에 입학시켰다. 파이브덕(Five Dock)에 있는 가톨릭 재단의 이 사립학교는 12학년 학비로 연간 1만1,400달러를 청구한다. 이는 올해 등록금 인상으로 연간 학비가 4만5,000달러 이상 높아진 Kambala Church of England Girls' School 및 SCEGGS Darlinghurst가 요구하는 연간 학비에 비해 크게 저렴한 수준이다.

캅사니스씨는 “이 학교는 다른 엘리트 학교와 비슷하지만 비용은 그렇지 않다”며 “남녀공학이라는 장점, 학업은 물론 공연, 예술 교육을 제공하기에 학비는 그만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초등학교는 우리 지역에 있는 공립에 보냈지만 하이스쿨에서는 사립학교 등록을 원했다”면서 “아이들이 십대가 되면 학업뿐 아니라 보다 엄격한 훈육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Australian Catholic University(ACU) 선임 강사이자 교장으로 일했던 폴 키드슨(Paul Kidson) 박사는 “부모가 자녀를 사립학교에 등록시키려 하는 데에는 사회적 지위, 종교, 가족관계 등 여러 이유가 있다”면서 “다만 사립학교가 더 나은 학업에 도움이 된다는 ‘잘못된 견해’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종합(공립 기피 3).jpg

Australian Catholic University(ACU) 선임 강사인 폴 키드슨(Paul Kidson. 사진) 박사. 사립학교 등록 증가 추세에 대해 그는 “사립학교가 더 나은 학업에 도움이 된다는 ‘잘못된 견해’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 : LinkedIn / Dr Paul Kidson

   

이어 키드슨 박사는 “모기지(mortgage) 부담, 생활비 압박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학비가 낮은 사립학교들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보는 것은 흥미로울 것”이라며 “이제까지 높은 학비를 청구하던 학교들은 상대적으로 고립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osebank College의 아이리스 나타시(Iris Nastasi) 교장에 따르면 이 학교는 2028학년도 입학지원서를 접수하고 있다. 그만큼 이 학교 등록을 원하는 이들이 많으며 2028년 이전 학년도 등록은 이미 정원을 초과했다는 의미이다. 나타시 교장은 “대기자 명단을 받고 있는 가운데 등록을 원하는 이들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 연도별-학교별 NSW 학생 등록

(연도 : 남자 / 여자 / 전체 학생수 / 비율)

▲ 사립학교

2014 : 77,213 / 73,510 / 150,723 / 12.89%

2015 : 78,802 / 75,280 / 154,082 / 13.03%

2016 : 80,584 / 77,094 / 157,678 / 13.19%

2017 : 82,490 / 79,148 / 161,638 / 13.37%

2018 : 84,258 / 81,585 / 165,843 / 13.6%

2019 : 86,219 / 84,438 / 170,657 / 13.85%

2020 : 87,702 / 86,473 / 174,175 / 14.02%

2021 : 90,895 / 90,448 / 181,343 / 14.58%

2022 : 93,819 / 94,094 / 187,913 / 15.13%

 

▲ 공립학교

2014 : 392,261 / 372,366 / 764,627 / 65.39%

2015 : 396,577 / 376,217 / 772,794 / 65.35%

2016 : 400,910 / 380,520 / 781,430 / 65.38%

2017 : 406,319 / 385,444 / 791,763 / 65.47%

2018 : 410,516 / 388,261 / 798,777 / 65.5%

2019 : 414,947 / 391,314 / 806,261 / 65.42%

2020 : 417,949 / 392,756 / 810,705 / 65.28%

2021 : 414,568 / 388,208 / 802,776 / 64.54%

2022 : 409,326 / 382,109 / 791,435 / 63.71%

 

▲ 가톨릭 재단 학교

2014 : 128,169 / 125,852 / 254,021 / 21.72%

2015 : 129,057 / 126,609 / 255,666 / 21.62%

2016 : 128,956 / 127,079 / 256,035 / 21.42%

2017 : 129,025 / 126,881 / 255,906 / 21.16%

2018 : 128,035 / 126,917 / 254,952 / 20.91%

2019 : 128,128 / 127,321 / 255,449 / 20.73%

2020 : 128,638 / 128,444 / 257,082 / 20.7%

2021 : 129,848 / 129,868 / 259,716 / 20.88%

2022 : 131,297 / 131,580 / 262,877 / 21.16%

Source: ABS data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공립 기피 1).jpg (File Size:129.7KB/Download:17)
  2. 종합(공립 기피 2).jpg (File Size:112.1KB/Download:13)
  3. 종합(공립 기피 3).jpg (File Size:71.3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6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5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4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3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2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1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0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5269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8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7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6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5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4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3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2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1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0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9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8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