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Youth Action survey 1).jpg

치솟은 인플레이션으로 호주 대부분 가정이 생활비 부담을 겪고 있는 가운데 NSW 청년들 또한 오는 3월 25일, 주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 이의 대책을 강하게 촉구하고 있다. 사진은 호주 청년 단체 ‘Youth Action’의 ‘Strategic Plan 2021-2024’ 이미지. 사진 : youthaction.org.au

 

청년 조직 ‘Youth Action NSW’ 조사, 생활비-고용-기후변화-보건 문제 상위에

 

헌터 지역(Hunter region), 마이틀랜드(Maitland)에 거주하는 스물 한 살의 타일라 클레멘트(Tylah Clements)씨는 자신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부모가 기꺼이 도와줄 능력을 가진, ‘큰 행운’(bloody lucky)을 갖고 있음을 알고 있다.

“지금까지 나 자신을 위해 많은 돈을 쓰지 않는다”는 그는 “대부분은 연료비나 기본적인 것들, 즉 휴대전화 사용료 등 각 공과금에 지출한다”면서 “사실은 개인적인 물품을 구매할 돈이 거의 없는 편”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대학에서 풀타임으로 공부하면서 한 소매점에서 파트타임으로 일을 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또는 1980년대 이후 태어난 이들은 NSW 유권자의 약 40%를 차지하며, 이들은 이달 마지막 주 토요일(3월 25일) 치러지는 NSW 주 선거에서 투표권을 행사하게 된다.

올해 NSW 주 선거에서 이들 세대 유권자는 다른 선거 때와 비교해 크게 증가했다. Z세대(1996년에서 2010년대 출생한 이들)의 3분의 1이 NSW 주 선거에 투표하도록 등록되었기 때문이다.

이미 선거권을 가진 클레멘트씨에게 있어 이번 주 선거(State Election)는 NSW 주에서 그가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는 첫 투표이다. 지난해 5월 연방선거에 참여했던 그는 이번 NSW 선거를 앞두고 “보다 더 개인적인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그것은, 현재 젊은이들에게 ‘재앙’이라 표현되는 ‘생활비 위기’(cost of living crisis)에서 그 역시 예외가 아니라는 점에서이다.

클레멘트씨 주변에는 이런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많다. 그는 “풀타임으로 일하는 친구가 한 명 있는데, 그럼에도 그는 생활비를 감당할 수 없어 보다 임대료가 적은 집으로 이사를 했다”면서 “생활비가 너무 부족해 부모님 집으로 들어갈 뻔했다”는 말도 덧붙였다.

이는 NSW 주 청년 조직인 ‘Youth Action NSW’가 최근 25세 이하 청년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압도적으로 반영된 젊은이들의 정서이다. 대부분의 호주 가정과 마찬가지로 젊은이들은 현재 가장 큰 부담인 식료품, 전기사용료, 주거비 등 필수 항목의 비용이 더욱 저렴해지기를 원하고 있다.

이 청년 옹호 조직의 케이트 먼로(Kate Munro) 최고경영자는 “모든 세대가 젊은 시절, 어려움을 겪었지만 지금의 25세 미만 청년들은 특히 짧은 기간에 복합적인 문제들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지금의 젊은이들은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자연재해, 급격한 물가상승에 따른 생활비 부담을 한꺼번에 겪고 있다”며 “우리는 이런 문제들로 인해 청년들이 불안감과 불안정감, 스스로의 미래에 대한 희망이 꺾여 있음을 분명하게 보고 있다”고 우려했다.

먼로 CEO의 이 같은 진단은, 올해 25세인 아이샤 마디(Aisha Mahdi)씨가 유사한 청년 단체 ‘Western Sydney community of Merrylands’, ‘Multicultural Youth Affairs network NSW’에서 확인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종합(Youth Action survey 2).jpg

‘Youth Action NSW’의 케이트 먼로(Kate Munro. 사진) 최고경영자. 그녀는 “NSW 주 선거를 앞두고 실시한 설문조사에는 정치권이 주목해야 할 내용이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 : Australian Youth Affairs Coalition

   

그녀는 “특히 팬데믹 이후 많은 이들이 정치인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마디씨는 “각 지역사회 일부 젊은이들은 거주할 임대주택을 찾을 수 없거나 이를 위해 고군분투하기에 올해 NSW 선거에서 주택 문제는 젊은이들의 주요 고려사항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각 정당의 선거 캠페인 기간 동안 클레멘트씨가 관심을 갖는 것은 정치인들이 가질 정책 토론이다. 그는 정치인들의 입을 통해 주택 임대료 상한선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듣고 싶어한다.

그는 “사람들은 현재 모기지(mortgage) 상환액만큼의 임대료를 지불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주거비용과 함께 치솟는 임대료를 제한해야 한다는 생각”을 강하게 제기했다.

‘Youth Action NSW’의 이번 조사는 또한 보다 나아진 환경(environment), 미래의 보다 안정적 일자리를 원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클레멘트씨는 “기후변화의 문제는 나중에 지금의 청년들이 직접적으로 직면하고 처리해야 하는 사안이기에 이제부터라도 이에 대처하려는 정치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치권, 주목할 필요 있다”

 

먼로 CEO는 이번 조사와 관련, “젊은 유권자를 끌어들이려는 후보들이 귀를 기울여야 할 몇 가지가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젊은이들은 의사결정자들이 자신들(청년들)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모여주기를 원하며 청년들을 위해 어떤 정책을 제시할 것인지는 명확하게 보고 싶어 한다”면서 “설문 결과는, 정치권에 대한 엄중한 경고를 발령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 이상 분명한 약속이나 실행도 없이 젊은이들에게 표를 구하는 것을 보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청년 유권자들의 표심 가르는 선거 이슈

-Cost of living : 76%

-Work & employment : 40%

-Climate Change : 37%

-Healthcare : 34%

-The economy : 32%

-Housing :28%

-Political integrity : 9%

-Infrastructure and services : 7%

-Something else : 1%

*복수 응답

Source: Youth Action NSW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Youth Action survey 1).jpg (File Size:138.9KB/Download:21)
  2. 종합(Youth Action survey 2).jpg (File Size:58.5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알바니스 총리, 차기 호주 총독에 법조인 겸 사업가 사만타 모스틴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6 호주 NSW 운전자 대상, 도로 통행료 환급신청 접수 시작... 클레임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5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 계획에서 가계 재정부담 완화 방안 제시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4 호주 유닛을 구입하고 투자 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주요 도시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3 호주 새로 적용된 학생비자 입안자, ‘노동당 정부의 대학 단속’으로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2 호주 심각한 주택부족 상황 불구, 시드니 지역 ‘빈 집’ 2만 가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1 호주 시드니 전역 유명 사립학교 학부모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0 호주 ‘Hambledon Cottage’ 200년 주년... 파라마타 시, 관련 기념행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9 호주 ‘주택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어려움, ‘baby boomers의 고령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8 호주 파라마타 시, ‘Arthur Phillip Park’ 재개장 기해 야외 영화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7 호주 계속된 생활비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 저축액 1천 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6 호주 Express. Empower. Get Loud!... CB City, ‘청년주간’ 행사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5 호주 팬데믹 이후 호주 인구 ‘급증’ 속, 가장 큰 영향 받는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4 호주 투자 부문의 최고 ‘인플루언서’, “고령화 위기 대비하려면 호주 본받아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3 호주 주택을 구입할 때 침실 하나를 추가하려면 얼마의 급여가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2 호주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적 확산 추세 따라 해당 비자 제공 국가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1 호주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대학원 과정은 ‘건강’ 및 관련 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0 호주 늘어나는 신용카드 사기... 지난해 호주인 손실, 22억 달러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9 호주 월별 CPI 지표, 3개월 연속 3.4% 기록... “하향 추세 판단, 아직 이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8 호주 주택시장, ‘인상적 성장세’ 지속... 1년 사이 중간가격 6만3,000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