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WHO 선언 1).jpg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에 대해 지난 2020년 1월 30일 선포됐던 세계보건기구(WHO)의 ‘전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가 지난 5월 5일(제네바 현지시간) 종식됐다. 사진 : Pixabay / Surprising_Shots

 

전 세계 690만 명 이상 사망... ‘pandemic’의 끝을 향한 중요한 단계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최악의 위험 상황은 지난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5월 5일(금),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날(이후 제네바 현지시간) WHO는 COVID-19 발생 직후인 지난 2020년 1월 선포했던 ‘전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 종식을 선언했다.

전날인 5월 4일(목), WHO의 비상상황위원회(Emergency Committee)는 3년 이상 이어진 COVID-19의 PHEIC 종료를 선언할 것을 권고했었다. 이는 세계적 질병에 대해 WHO가 내릴 수 있는 최고 수준의 보건 경계 상황이다. 이로써 지난 3년여 사이 전 세계 69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고 글로벌 경제 혼란을 초래한 21세기 최악의 전염병 대유행 종식을 향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게 됐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 사무총장은 이날 “글로벌 비상사태의 끝을 선언하는 것은 전염병 상황에 대한 큰 희망”이라며 “PHEIC이 종식되었다고 해서 전 세계적 보건 위협이 끝났다는 것은 아니다”고 경고했다.

WHO의 비상상황위원회는 지난 2020년 1월 30일, COVID-19에 대한 최고 수준의 경계인 PHEIC을 선언했었다. 이는 전 세계적 보건 위협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집중시키고 백신과 치료법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는 기반이다.

WHO의 비상상황위원회 책임자인 디디에 후신(Didier Houssin) 의원장은 “PHEIC 종식을 발표하기로 한 결정에 대다수 위원들이 지지했다”고 밝혔다.

다만 WHO는 “세계적 비상사태의 종식을 알리는 것은 질병과 맞서 싸우는 상황에서 긍정적 신호이지만 ‘비상사태’를 표시하지 않더라도 COVID-19는 여전히 현재에 머물러 있다”고 강조했다.

WHO 자료에 따르면 COVID-19로 인한 전 세계적 사망률은 발병 1년 후인 지난 2021년 1월, 매주(a week) 10만 명 이상으로 정점을 찍은 이래 2023년 4월까지 주 3,500명으로 둔화되었다. 이는 보다 광범위한 백신 접종, 더 나은 치료법 가용성과 세계인구의 면역 수준을 반영하는 것이다.

 

종합(WHO 선언 2).jpg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사진) WHO 사무총장. 그는 “글로벌 비상사태의 끝을 선언하는 것은 전염병 상황에 대한 큰 희망이지만 PHEIC이 종식되었다고 해서 전 세계적 보건 위협이 끝났다는 것은 아니다”고 경고했다. 사진 : WHO가 게시한 유투브 동영상 캡쳐

   

PHEIC의 종식은 많은 지역에서 전염병이 약해졌거나 그만큼 사람들이 이 질병에 적응했음을 의미하지만 그런 한편으로는 국제적 협력, 어려운 국가들에 대한 지금 지원 노력이 끝나거나 전염병 사태에 대한 주요 국제적 초점의 변화를 의미할 수도 있다.

WHO의 비상상황 책임자인 마이클 라이언(Michael Ryan) 박사는 “(바이러스와의) 전투는 끝나지 않았다”고 언급한 뒤 “우리에게는 여전히 약점이 있으며 보건 시스템 상의 약점은 이번 바이러스 또는 다른 새로운 바이러스에 의해 노출될 수도 있다”며 “이런 점이 고쳐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WHO는 2020년 3월부터 COVID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아직까지 ‘팬데믹’(pandemic)의 끝은 언급하지 않았다. 라이언 박사는 “대부분의 경우 전염병은 다음 유행병이 시작될 때 진정으로 끝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마국 조 바이든(Jo Biden) 대통령은 팬데믹이 끝났다고 말했었다. 다른 많은 국가와 마찬가지로 미국은 5월 11일, COVID에 대한 국내 비상사태를 끝냈다. 이는 정부가 부담하던 다수 국민들에 대한 백신 및 감염검사 비용 지불을 중단하고 이의 치료를 상업 시장(의료 및 의약품)에 맡긴다는 것을 뜻한다.

다른 지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지난해 4월 COVID 비상 단계가 끝났다고 밝혔으며 WHO의 아프리카 지역담당자인 마시디소 모에티(Matshidiso Moeti) 국장은 지난해 12월, “모든 대륙(continent)에 걸쳐 일상적인 COVID 관리 체계로 전환해야 할 때”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WHO 선언 1).jpg (File Size:82.3KB/Download:14)
  2. 종합(WHO 선언 2).jpg (File Size:113.7KB/Download:17)
  3. 10 WHO, PHEIC 종식 선언.hwp (File Size:30.0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6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5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4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3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2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1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0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5269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8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7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6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5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4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3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2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1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0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9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8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