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WHO 선언 1).jpg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에 대해 지난 2020년 1월 30일 선포됐던 세계보건기구(WHO)의 ‘전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가 지난 5월 5일(제네바 현지시간) 종식됐다. 사진 : Pixabay / Surprising_Shots

 

전 세계 690만 명 이상 사망... ‘pandemic’의 끝을 향한 중요한 단계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최악의 위험 상황은 지난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5월 5일(금),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날(이후 제네바 현지시간) WHO는 COVID-19 발생 직후인 지난 2020년 1월 선포했던 ‘전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 종식을 선언했다.

전날인 5월 4일(목), WHO의 비상상황위원회(Emergency Committee)는 3년 이상 이어진 COVID-19의 PHEIC 종료를 선언할 것을 권고했었다. 이는 세계적 질병에 대해 WHO가 내릴 수 있는 최고 수준의 보건 경계 상황이다. 이로써 지난 3년여 사이 전 세계 69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고 글로벌 경제 혼란을 초래한 21세기 최악의 전염병 대유행 종식을 향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게 됐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 사무총장은 이날 “글로벌 비상사태의 끝을 선언하는 것은 전염병 상황에 대한 큰 희망”이라며 “PHEIC이 종식되었다고 해서 전 세계적 보건 위협이 끝났다는 것은 아니다”고 경고했다.

WHO의 비상상황위원회는 지난 2020년 1월 30일, COVID-19에 대한 최고 수준의 경계인 PHEIC을 선언했었다. 이는 전 세계적 보건 위협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집중시키고 백신과 치료법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는 기반이다.

WHO의 비상상황위원회 책임자인 디디에 후신(Didier Houssin) 의원장은 “PHEIC 종식을 발표하기로 한 결정에 대다수 위원들이 지지했다”고 밝혔다.

다만 WHO는 “세계적 비상사태의 종식을 알리는 것은 질병과 맞서 싸우는 상황에서 긍정적 신호이지만 ‘비상사태’를 표시하지 않더라도 COVID-19는 여전히 현재에 머물러 있다”고 강조했다.

WHO 자료에 따르면 COVID-19로 인한 전 세계적 사망률은 발병 1년 후인 지난 2021년 1월, 매주(a week) 10만 명 이상으로 정점을 찍은 이래 2023년 4월까지 주 3,500명으로 둔화되었다. 이는 보다 광범위한 백신 접종, 더 나은 치료법 가용성과 세계인구의 면역 수준을 반영하는 것이다.

 

종합(WHO 선언 2).jpg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사진) WHO 사무총장. 그는 “글로벌 비상사태의 끝을 선언하는 것은 전염병 상황에 대한 큰 희망이지만 PHEIC이 종식되었다고 해서 전 세계적 보건 위협이 끝났다는 것은 아니다”고 경고했다. 사진 : WHO가 게시한 유투브 동영상 캡쳐

   

PHEIC의 종식은 많은 지역에서 전염병이 약해졌거나 그만큼 사람들이 이 질병에 적응했음을 의미하지만 그런 한편으로는 국제적 협력, 어려운 국가들에 대한 지금 지원 노력이 끝나거나 전염병 사태에 대한 주요 국제적 초점의 변화를 의미할 수도 있다.

WHO의 비상상황 책임자인 마이클 라이언(Michael Ryan) 박사는 “(바이러스와의) 전투는 끝나지 않았다”고 언급한 뒤 “우리에게는 여전히 약점이 있으며 보건 시스템 상의 약점은 이번 바이러스 또는 다른 새로운 바이러스에 의해 노출될 수도 있다”며 “이런 점이 고쳐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WHO는 2020년 3월부터 COVID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아직까지 ‘팬데믹’(pandemic)의 끝은 언급하지 않았다. 라이언 박사는 “대부분의 경우 전염병은 다음 유행병이 시작될 때 진정으로 끝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마국 조 바이든(Jo Biden) 대통령은 팬데믹이 끝났다고 말했었다. 다른 많은 국가와 마찬가지로 미국은 5월 11일, COVID에 대한 국내 비상사태를 끝냈다. 이는 정부가 부담하던 다수 국민들에 대한 백신 및 감염검사 비용 지불을 중단하고 이의 치료를 상업 시장(의료 및 의약품)에 맡긴다는 것을 뜻한다.

다른 지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지난해 4월 COVID 비상 단계가 끝났다고 밝혔으며 WHO의 아프리카 지역담당자인 마시디소 모에티(Matshidiso Moeti) 국장은 지난해 12월, “모든 대륙(continent)에 걸쳐 일상적인 COVID 관리 체계로 전환해야 할 때”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WHO 선언 1).jpg (File Size:82.3KB/Download:14)
  2. 종합(WHO 선언 2).jpg (File Size:113.7KB/Download:17)
  3. 10 WHO, PHEIC 종식 선언.hwp (File Size:30.0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7 호주 달링하버 ‘시드니 엔터테인먼트 센터’, 문 닫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436 호주 올해의 마지막 시드니 주말 경매 낙찰률 61.4%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435 호주 “재외선거, 쉽고 편하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434 호주 2016년 해외여행에서 알아둘 16가지 팁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33 호주 올해 HSC, 남학생 강세 과목서 여학생들 ‘두각’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32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인지세 수입 확대로 ‘행복한 미소’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31 호주 올해 New Year's Eve 불꽃쇼 주제는 ‘City of Colour’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30 호주 퀸즐랜드 LNP, 맥팔레인 의원 당적 변경 막아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29 호주 마틴 플레이스 비극 1년. “우리 슬픔은 끝나지 않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28 호주 호주 청소년들, 소셜 미디어 순위에 매달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27 호주 시드니 기반의 ‘아틀라시안’, 올해의 ‘성공 신화’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26 호주 호주 동부 및 남부 지역 산불 대부분은 ‘인재’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25 호주 NSW 주, 모바일 스피드 카메라 차량 운용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24 호주 켄싱톤 소재 주택, 경매 개시 60초 만에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23 호주 크리스마스 앞두고 단독주택 판매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22 호주 “호주 현지 소비자 대상 마케팅에도 주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21 호주 한국 전통주, 술 소비 많은 호주 현지 소비층 ‘겨냥’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20 호주 호주 유일 ‘이중언어’ 학교 캠시초등, 내년도 유치원생 모집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19 호주 한인 스몰 비즈니스 대상 '재무전력‘ 워크숍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2.17.
418 호주 총영사관, 한호 친선의 밤 행사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