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Voice 국민투표 1).jpg

연방 의회에 구성되는 원주민 자문기구인 ‘Indigenous Voice to Parliament’를 위한 국민투표(이는 헌법을 변경해야 함)에 대해 야당이 반대 목소리를 높이는 가운데 알바니스(Anthony Albanese) 총리는 올해 하반기 국민투표를 실시할 방침임을 다시 한 번 밝혔다. 사진은 노던 테러토리의 한 지역에 게양되어 있는 원주민 기(flag).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알바니스 총리, “헌법교체 어려운 일이지만 지금은 국민들에게 질문할 때” 강조

 

“성공이 불확실하더라도 올해 안에 ’Voice 국민투표를 실시하겠다.”

야당(자유-국민 연립)의 강한 반대 속에서 ‘성공이 불투명할 경우 국민투표를 포기해야 한다’는 제안을 거부한 앤서니 알바니스(Anthony Albanese) 총리가 올해 안에 이를 실시하겠다는 약속을 반복했다.

알바니스 총리는 “헌법을 바꾸는 것은 언제나 어려운 일이지만 지금은 호주 국민들에게 질문할 때”라면서 자신의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지난 6월 22일(목) 의회에서 ‘Indigenous Voice to Parliament’(이하 Voice)에 대한 토론을 이어가던 중 야당의 피터 더튼(Peter Dutton) 대표는 “여론조사 결과 국민투표가 실패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국민투표 실시 계획을 포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더튼 대표는 또한 “야당은 Voice 국민투표를 반대하는 ‘No 캠페인’을 계속한다”면서 이의 부정적 결과를 피하는 것이 정부 책임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다음 날인 23일(금) 알바니스 총리는 ‘여론조사 결과나 지역사회 정서와 관계 없이 올해 하반기 Voice 국민투표를 실시한 계획인가’를 묻는 미디어의 질문에 “나는 국민투표를 실시하겠다고 약속했고, 이 법안(국민투표 시행)이 통과된 상태”라며 시행 의지를 다시 한 번 분명히 했다. 이어 총리는 “노동당 정부가 이제까지 지속적으로 밝혔듯이 국민투표는 올해 마지막 분기에 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Voice에 대한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Yes’ 캠페인 측의 지지가 일부 하락한 반면 다른 조사 결과에서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알바니스 총리는 헌법 변경을 달성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임을 인정했다.

총리는 “리더는 쉬운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어려운 일을 해 나가는 것”이라며 “헌법을 바꾸는 일은 어렵고 (Voice 국민투표 또한)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종합(Voice 국민투표 2).jpg

올해 하반기 ‘Indigenous Voice to Parliament’ 국민투표 계획을 밝히는 알바니스 총리. 그는 최근 의회 내에서의 관련 토론에서 “그들(원주민)이 처한 상황, 교육, 주택문제 등에서의 격차로 그들이 좌절감을 느끼기에 Voice라는 자문기구를 두려는 것”임을 재차 강조했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한편 야당은 정부의 Voice ‘Yes 캠페인’에 대해 “근소한 승리조차 지역사회를 하나로 결집시키기보다 분열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국민투표의 최선의 시나리오는 51대49가 될 것이며, 이는 사실상 호주를 반반으로 분열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자유당은 이전에 Voice라는 기구가 없이 헌법 인정을 지지할 것이며, 이 제안이 무리 없이 국민투표를 통해 이루어질 것임을 제시한 바 있다.

‘Indigenous Voice to Parliament’는 연방 의회 내에 구성되는 원주민 자문기관으로, 원주민 정책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지만 최종 의사결정 권한은 정부에 있다.

의회 토론에서 더튼 대표의 주장에 대해 “공감이 결여된 것”이라고 반박했던 알바니스 총리는 다음 날 이를 다시금 언급하면서 “우리(정부)가 어디에 도로를 놓아야 하는지, 어느 지역이 국가 방어기지가 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Voice를 원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들(원주민)이 처한 상황, 교육, 주택문제 등에서의 격차로 그들이 좌절감을 느끼기에 Voice라는 자문기구를 두려는 것”임을 재차 언급한 것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Voice 국민투표 1).jpg (File Size:77.6KB/Download:13)
  2. 종합(Voice 국민투표 2).jpg (File Size:52.0KB/Download:17)
  3. 8 Voice 국민투표 하반기 시행 재확인.hwp (File Size:29.0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77 호주 최고의 부유층들, 대부분 시드니 동부 지역에 거주... 억만장자들, 납세기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376 호주 대학졸업자 취업 3년 후의 임금 상승 규모, 직종에 따라 크게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375 호주 대마초 관련 정당, NSW-빅토리아-서부호주 주에서 ‘합법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74 호주 거의 7만6천 개 일자리 생성으로 5월 실업률 하락... 기준금리 인상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73 호주 전례 없는 생활비 압박... 젊은 가족-임차인들의 재정 스트레스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72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NSW 주... 실업률은 지난 40여 년 이래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71 호주 높은 금리로 인한 가계재정 압박은 언제까지?... 이를 결정하는 5가지 요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70 호주 올 3월 분기까지, 지난 5년간 주택가격 폭등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9 호주 COVID-19와 함께 독감-RSV까지... 건강 경고하는 올 겨울 ‘트리플 위협’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8 호주 850년 이후 전 대륙으로 퍼진 커피의 ‘deep, rich and problematic history’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7 호주 공립 5학년 학생들 사립학교 전학 ‘증가’... 시드니 동부-북부 지역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6 호주 스트라스필드 등 다수 동포거주 일부 지방의회, 카운슬 비용 인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5 호주 시드니 주택 위기 ‘우려’... 신규공급 예측, 연간 2만5,000채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4 호주 Like living in ‘an echo chamber’... 소음 극심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3 호주 규칙적인 낮잠, 건강한 뇌의 핵심 될 수 있다?... 뇌 건강 관련 새 연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62 호주 최악의 임대위기... 낮은 공실률 불구, 일부 교외지역 단기 휴가용 주택 ‘넉넉’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61 호주 생활비 압박 속, 소비자 신뢰도 최저치... 고용시장도 점차 활력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 호주 연방 노동당 정부, 야당의 강한 경고 불구하고 ‘Voice 국민투표’ 시행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59 호주 정치적 논쟁 속에서 임차인 어려움 ‘지속’... ACT의 관련 규정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58 호주 호주의 winter solstice, 한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이기는 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