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BA 경고 1).jpg

커먼웰스 은행(Commonwealth Bank)의 매트 코민(Matt Comyn. 사진) 최고경영자. 그는 이달 둘째 주 의회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상승 및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담보대출 고객들이 부담을 느끼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젊은 임차인들이 더 큰 재정적 압박에 직면해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 : Commonwealth Bank

 

CBA 최고경영자, 온라인을 통한 의회위원회 회의서 경고... 극심한 재정 부담 직면

 

주택담보대출(mortgage)을 갖고 있는 가정에 비해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이들이 더 큰 재정적 압박에 직면에 있다는 금융 관계자의 의견이 제기됐다. 특히 모든 연령층 가운데 30~34세 사이 젊은이들이 가장 큰 부담을 안고 있으며 60~74세 사이 노년층의 부담은 가장 적다는 것이다.

이달 둘째 주 커먼웰스 은행(Commonwealth Bank. CAB) 매트 코민(Matt Comyn) 최고경영자는 온라인 화상으로 출석한 의회위원회에서 호주 가정이 향후 6개월 동안 더 많은 재정 부담을 느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호주 중앙은행(RBA)이 단행한 급격한 금리인상의 완전한 효과가 아직은 경제 전반에 작용한 것은 아니며 에너지 가격과 임대료는 올해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돼 가계 재정에 또 하나의 부담을 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민 CEO는 CBA 자체 데이터를 언급하면서 대부분의 가구가 분명 지출을 줄이고 있지만 특정 그룹은 다른 이들에 비해 더 큰 압박을 받고 있음을 지적했다. “많은 가구에서 비필수 품목의 지출을 줄이고 있으며 누적된 저축액에 손을 대고 있다”는 게 그의 말이다.

 

임차인들이 느끼는

압박감, 가장 큰 편

 

 

이와 함께 코민 CEO는 모기지를 갖고 있는 가구들이 RBA의 통화정책으로 타격을 받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가장 큰 부담을 갖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이들보다 현재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세입자들이 더 많은 압박을 받고 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CBA 고객 가운데 모기지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의 수는 과거의 사례를 기준으로 볼 때 여전히 낮은 편이지만 젊은 주택구입자의 경우에는 재정적 어려움이 큰 편이다.

코민 CEO는 “한 예로, 대유행 기간 동안 내집을 마련한 젊은 첫 주택구입자 가운데 대다수가 현재 지출을 줄이고 있으며 특히 3분의 1에 해당하는 이들의 지출 감소는 전년도 대비 30% 이상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RBA의 급격한 현금금리 인상에 대해 60% 이상의 가구가 이의 영향을 체감하고 있으며, 올해 말쯤 이 비율은 85%에 달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종합(CBA 경고 2).jpg

CommBank iQ가 비교한 2023년 3월 분기와 전년도 같은 기간의 소비자 지출. 현재 호주에서는 25세에서 29세 사이 연령층의 지출이 가장 크게 감소하고 있다. Source : CommBank iQ

   

지난해 4월까지 0.1%의 사상 최저 수준을 이어오던 기준금리는 14개월 사이 4.1%로 높아진 상황이다.

코민 CEO는 “따라서 이자율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고 해도 앞으로 6개월가량은 가계재정에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질 것”이라며 “우리(CBA)는 고객들이 실제로 재정상의 어려움이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들의 지출 패턴 등을 예리하게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젊은 연령대에서

가장 큰 지출 감소 보여

 

코민 CEO는 “현재 재정 압박을 가장 크게 느끼는 그룹은 30세에서 34세 연령층이며, 60세 이상 고령층이 이의 부담에서 가장 여유롭다”고 말했다.

반면 데이빗 코헨(David Cohen) 부회장에 따르면 25세에서 29세 연령층에서 가계지출의 가장 큰 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CBA는 지난 5월 여러 연령그룹의 지출을 보여주는 보고서를 내놓은 바 있다. 이 은행의 초기 관찰에 따르면 25~29세 연령층의 경우 임대료 인상 및 새로운 기타 비용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았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코헨 부회장은 “이 집단의 경우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할 계층”이라며 “35세 이하의 또 다른 연령 그룹에서도 소매, 여행 분야에서 상당한 지출 감소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신용카드사용에 따른 월 상환액 연체 측면에서는 상당히 양호한 편이다. 코민 CEO에 따르면 새 회계연도 초, 신용카드 연체율은 50bp(basis point) 이하로 떨어졌다. 그는 “이 수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연체율 가운데 하나일 것”이라며 “신용카드 부채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고객이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는 측면에서 우려할 이유가 안 된다”고 진단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BA 경고 1).jpg (File Size:54.4KB/Download:15)
  2. 종합(CBA 경고 2).jpg (File Size:51.5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37 호주 NSW 새 음주법 도입 6개월, 뚜렷한 변화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8.28.
336 호주 “마리화나, 젊은 층 정신질환 치료 이용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8.
335 호주 정부법률가, 총기소지 및 마약거리 혐의로 기소 호주한국신문 14.08.28.
334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 억제 위해 6천400만 달러 배정 호주한국신문 14.08.28.
333 호주 ‘크리스마스 섬 난민신청자 처우’에 집단소송 호주한국신문 14.08.28.
332 호주 “이너 시드니 아파트, 공급 과잉 불러올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8.28.
331 호주 “아시안컵 성공 개최 위해 한인사회 적극 협력...” 호주한국신문 14.08.28.
330 호주 시드니 시티, ‘인종차별 규탄안’ 만장일치로 통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329 호주 클리브 팔머 대표, 중국 정부에 대한 ‘막말’ 사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328 호주 텔스트라 ‘콜센터’, 5년 이내 사라질 것 호주한국신문 14.08.28.
327 호주 취재수첩-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총회? 호주한국신문 14.08.28.
326 호주 부동산 투자 비자 정책으로 주택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8.28.
325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가담 관련 법안 추진 설명 호주한국신문 14.08.21.
324 호주 ‘국제적 비난’ 칼레드 샤로프, 그는 누구인가 호주한국신문 14.08.21.
323 호주 캔버라 지역, 호주에서 평균 임금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4.08.21.
322 호주 그린필드 파크서 칼에 찔린 남성 사망 호주한국신문 14.08.21.
321 호주 이민부, 난민 아동에 임시보호비자 발급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8.21.
320 호주 ‘나플란’ 시험 쓰기 과목, “너무 어렵다” 지적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4.08.21.
319 호주 “모든 고용주, 차별금지법 숙지해야...” 호주한국신문 14.08.21.
318 호주 외곽 오지 지역 센터링크에서도 시민권 시험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