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BD death knell 1).jpg

커뮤니티 및 공공 부문 노동조합(Community and Public Sector Union. CPSU)이 호주 공공서비스위원회(Australian Public Service Commission)와 유연한 근무 방식을 위한 계약에 합의함에 따라 도심 지역 스몰비즈니스들이 사업 위축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사진 : Pexels / Cottonbro

 

CPSU-Australian Public Service Commission, ‘유연한 근무 방식’ 계약 합의

비즈니스 로비그룹, 도심 소매업 위축 ‘우려’... 공항보안 등 ‘현장 근무’ 유형은 제외

 

공공부문 근로자들 가운데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기간이 폐지되는 것으로 합의된 가운데 비즈니스 로비그룹은 이런 변화가 도심(CBD) 소매업자들에게는 ‘비즈니스의 종말’(death knell)이 될 수 있다며 강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커뮤니티 및 공공 부문 노동조합(Community and Public Sector Union. CPSU)은 지난 7월 13일(목), 호주 공공서비스위원회(Australian Public Service Commission)와 유연한 근무 방식을 위한 계약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 계약에는 공공부문 근로자가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일 수(number of days)에 대한 상한선을 없애고, ‘명확한 업무상의 사유’가 없는 한 영구적으로 집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합의가 포함되어 있다.

CPSU의 멜리사 도넬리(Melissa Donnelly) 전국 사무총장은 이날 A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이제 연방 공무원은 재택근무를 신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근로자의 요청을 거부할 수 있는 제한된 상황이 있고 감정적 편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어느 기간까지만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상한은 없다”고 설명했다.

 

종합(CBD death knell 2).jpg

사업자 로비그룹 'Business SA'는 공공 부문 근로자의 무제한 재택근무 허용은 ‘런들 쇼핑몰’(Rundle Mall. 사진)과 같은 소매지역을 고스트타운(ghost town)으로 만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진 : rundlemall.com

   

CPSU는 호주 전역 12만 명 이상의 조합원을 갖고 있다. 이 노조는 이번 거래 합의에 대해 “이전에는 공공 서비스 고용을 고려할 수 없었던(유연한 근무 방식이 아니면 불가능했던) 개인에게 (취업의) 문을 열어주는 ‘획기적인’ 합의”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애들레이드(Adelaide, South Australia)의 비즈니스 로비그룹은 SA 공공 서비스가 이 합의 내용을 따르려는 움직임은 도심 지역 소매 부문은 물론 지역 경제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며 일부 쇼핑가는 ‘고스트 타운’(ghost town)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집에서 일할 수 있는 일일 수에 제한없이 유연한 근무를 허용하는 것은 CBD의 경제적 활력에 심각한 피해를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수천 개 스몰비즈니스를 폐업으로 몰고 갈 수 있다”는 것이다.

SA의 공공 서비스는 10만 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Property Council of Australia’의 남부호주 지회(SA Division) 브루스 지테(Bruce Djite) 최고경영자는 “더 많은 공공 부문 근로자들에게 집에서 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경우 CBD 지역 비즈니스에서 중요한 소매업 기회와 유동인구를 박탈하게 될 것”이라면서 “SA는 다른 정부관할구역보다 더 큰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종합(CBD death knell 3).jpg

‘Property Council of Australia’의 남부호주 지회(SA Division) 브루스 지테(Bruce Djite. 사진) 최고경영자는 공공 부문 근로자의 재택근무가 도심의 수많은 스몰비즈니스 폐쇄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진 : Linkedin / Bruce Djite

   

그에 따르면 애들레이드 CBD의 사무실 공간을 차지하는 공무원과 정부 부처 비율은 다른 많은 지역보다 SA에서 더 높은 편이다.

사업자 그룹 ‘Business SA’의 앤드류 케이(Andrew Kay) 최고경영자 또한 “이제 CBD는 유령도시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지난 12개월 동안 우리는 소비자들을 CBD로 끌어들이고 SA 주가 다양한 분야의 비즈니스에서 활성화되어 있음을 보여주고자 여러 부문에서 많은 행사를 펼쳐왔다”며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마지막은 핸드브레이크를 누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생산성 논란 다시 불거져

 

케이 CEO는 작업장의 근무 유연성이 오늘날 고용 형태의 환영받는 측면이지만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답 없는 질문’이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기업들이 더 유연한 근무시간을 운영하고, 이에 따라 직원들이 한 주에 하루 또는 이틀을 집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들은 아이들을 학교에 등교시키거나 방과 후 데리러 가는 등 그야말로 ‘유연하게’ 시간을 보내는 것을 보고 있다”며 “이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여기에 아마도 수익감소의 법칙이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그는 “처음에는 집에서 열심히 일하면서 생산성을 위해 노력하겠지만 점차 주의가 산만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종합(CBD death knell 4).jpg

재택근무를 하는 근로자가 늘어날수록 도심 지역 유동인구는 줄어들고 소매업은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사진은 한 도심의 쇼핑객. 사진 : ABC 방송 화면 캡쳐

   

하지만 CPSU는 업무 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이 될 것이라는 주장을 거부했다. 도넬리 사무총장은 “우리 노조는 COVID 봉쇄기간 동안 집에서 근무하는 동안의 생산성에 대한 대학 연구팀과 함께 조사를 수행했다”며 “근로자와 감독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 연구의 증거는 ‘근로자들이 어떤 상황에서 더 생산적이지는 않더라도 이전과 같은 수준을 유지한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회계사로 일하는 루 림(Ru Lim)씨는 고용주로부터 한 주에 하루, 집에서 일할 수 있는 옵션을 받았고, 그러면서 업무 효율성은 더 높아졌다고 전했다. “모든 이들이 업무 이외 해야 할 다른 일들이 있다”는 그녀는 “특히 COVID 이후 각자에게 유연하게 일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에서 재택근무가 늘어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림씨는 딸과 함께 하루는 집에 머물 수 있기에 재택근무 계약을 맺었지만 지금은 이 방식을 중단할 수 없다는 생각이다. 또한 “집에서 일할 때의 가장 큰 이점은 사무실에서 받는 업무 방해가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종합(CBD death knell 5).jpg

커뮤니티 및 공공 부문 노동조합(Community and Public Sector Union)의 멜리사 도넬리(Melissa Donnelly. 사진) 전국 사무총장. 그녀는 재택근무가 생산성을 높인다는 증거가 있다고 주장했다. 사진 : Instagram / CPSU

   

그러면서 그녀는 “고용주가 이 정책에 유연한 생각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보지만 직원들이 사무실 공간에서 함께 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CPSU는 이번 새 협약에 문제가 있을 경우 직원이나 고용주 모두 합의를 ‘재검토’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근로자는 ‘명확한 사업상의 이유가 있는 경우’에만 (재택근무가) 거부될 수 있다고 밝혔다. 도넬리 사무총장은 유연한 근무에 부적합한 고용 유형으로 공항보안, 검역, CSIRO 실험실 연구원 등을 언급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BD death knell 1).jpg (File Size:45.7KB/Download:12)
  2. 종합(CBD death knell 2).jpg (File Size:109.2KB/Download:11)
  3. 종합(CBD death knell 3).jpg (File Size:68.7KB/Download:10)
  4. 종합(CBD death knell 4).jpg (File Size:58.9KB/Download:12)
  5. 종합(CBD death knell 5).jpg (File Size:54.2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6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5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4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3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2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1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0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5269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8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7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6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5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4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3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2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1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0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9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8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