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ocaine 범죄 1).jpg

지난 2년여 감소했던 코카인 사용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범죄정보위원회(Australian Criminal Intelligence Commission)의 최근 보고서를 보면 시드니 거주민의 코카인 사용은 다른 정부관할구역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사진 : Police Media

 

지난 2년 사이 감소 후 다시 증가... CBD-동부 지역에서 마약소지자 ‘최다’ 적발

 

시드니 지역의 코카인 사용이 급증한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지난 2년 사이의 그 어느 때보다 12월 소비가 가장 높았다는 새로운 자료가 나왔다. 또한 작은 포장에 담겨 300달러에 제공되는 불법 마약 소지자 체포의 대부분이 시드니 도심(Central Business District) 및 동부 교외(eastern suburbs)에서 발생됐다.

호주 범죄정보위원회(Australian Criminal Intelligence Commission. ACIC)가 최근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시드니는 12월에 거주민 1,000명 당 하루 13명이 코카인을 사용했다. 이는 8월, 시드니 거주민 1,000명 당 3명이 마약을 사용한 역사적 최저치에서 크게 반전된 것이다. 가장 최근인 2023년 2월 기록을 보면 시드니의 코카인 사용은 하루 6그램(g)이다.

NSW 범죄통계국(NSW Bureau of Crime and Statistics)의 지난 달 자료를 보면 경찰은 주로 시드니 CBD와 동부 지역에서 상당한 비율로 코카인 사용자를 적발하고 있다.

시드니 도심 구역의 경우 2023년 3월까지 거주 인구 10만 명당 코카인 소지 혐의로 체포된 사례는 366건이다. 동부 교외, 웨이벌리 지방정부 구역(Waverley Local Government Area)는 10만 명당 265건으로 시드니 CBD 다음으로 적발률이 높았으며 울라라(Woollahra) 146명, 랜드윅(Randwick)이 117명으로, NSW 주 평균 체포 건수의 3배 이상에 달하는 수치를 보였다.

ACIC의 폐수 보고서는 2022년 12월과 2023년 2월, 1,550만 명의 호주인이 무엇을 섭취했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NSW 주 거주민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코카인 복용이 많았다.

ACIC 조사관은 “NSW 주 거주민의 코카인 사용은 다른 어떤 정부관할구역보다 훨씬 높았다”고 결론지었다. ACIC는 조사 대상인 특정 폐수 시설의 이름이나 위치를 언급하지는 않는다. 때문에 특정 교외 지역은 이 보고서에 언급되지 않았다. 다만 ACIC는 시드니의 폐수 장소에서 “특히 높은 코카인 소비량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시드니 거주민들의 코카인 습관은 1인당 이용 측면에서 MDMA(Methyl​enedioxy​methamphetamine), 옥시코돈(oxycodone. 마약성 진통제로 사용되는 모르핀 유도체) 또는 펜타닐(fentanyl. 마약성 진통제) 사용보다 높다. 시드니에서 코카인보다 복용이 많은 것은 일명 ‘ice’로 불리는 Crystal methamphetamine이며, 이는 호주 전체 자극성 다이어트의 80~90%를 차지한다.

마약 사용은 호주 전역에서 고르지 않으며 특히 NSW 주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이전의 폐수 보고서를 보면 NSW 주는 지속적으로 이 약물의 최고 소비자이다.

 

종합(Cocaine 범죄 2).jpg

호주 각 수도 및 지방 지역의 코카인 사용량을 보여주는 그래프. 그림 오른쪽의 수치는 거주민 1,000명당 추정 소비량(mg)을 가리킨다. Source : National Wastewater Drug Monitoring Program

   

보고서는 “평균적으로 NSW 수도의 코카인 소비량은 지방 지역의 두 배 이상”이라고 밝혔다. 이어 “NSW의 한 장소는 특히 코카인 소비가 많았으며 전반적으로 NSW의 코카인 소비량은 다른 어떤 정부관할구역에 비해 훨씬 높았다”고 덧붙였다.

이번 보고서에 포함된 수십 개의 그래프 가운데 하나의 지도는 시드니의 코카인 사용량이 NSW 주는 물론 멜번(Melbourne) 및 다른 모든 도시를 압도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물론 모든 약물이나 각성제가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메스암페타인(일명 ‘ice’)은 각 지역 대도시에서 거의 유사한 수요가 있다. 지방 지역의 경우 도시에 비해 ice 사용량은 다소 적지만 전국적으로 보면 비슷하게 일치한다.

ACIC의 매트 리폰(Matt Rippon) 위원장은 “법 집행기관이 일부 불법 약물을 대량으로 압수했음에도 불구하고 메틸암페타민, 코카인, MDMA, MDA, 펜타닐, 케타민(ketamine)의 평균 소비량은 대도시 및 지방 지역 모두에서 증가했다”며 “이 같은 마약소비 증가의 유일한 수혜자는 불법적인 일로 엄청난 수익을 챙기는 심각하고 조직적인 범죄 집단”이라고 단정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ocaine 범죄 1).jpg (File Size:81.5KB/Download:16)
  2. 종합(Cocaine 범죄 2).jpg (File Size:33.5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7 호주 한국 ‘장애청년드림팀’, 한인회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316 호주 이휘진 총영사, 한인 워홀러들 작업장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315 호주 한국관광공사, 명예 홍보대사로 임다미 위촉 호주한국신문 14.08.21.
314 호주 스트라스필드 봄 축제, 한국계가 메인 무대 장식 호주한국신문 14.08.21.
313 호주 시드니 부동산, 전년 동기간의 ‘활황기’ 돌아오나... 호주한국신문 14.08.21.
312 호주 ‘Islamic State’의 소셜 미디어, 호주 내 테러 위협 높여 호주한국신문 14.08.14.
311 호주 호주 실업률 6.4%, 12년래 최고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14.
310 호주 기획①-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년 호주한국신문 14.08.14.
309 호주 맹견 공격으로 이웃집 남성 손가락 절단 호주한국신문 14.08.14.
308 호주 12세 딸 불법 결혼시킨 아버지, 첫 범정 심리 호주한국신문 14.08.14.
307 호주 “중동 지역 긴장으로 호주내 인종차별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8.14.
306 호주 호주 노동자 임금 인상, 물가 상승 못 따라가 호주한국신문 14.08.14.
305 호주 정부, 취약 계층에 GP 진료비 $7 면제 ‘고려’ 호주한국신문 14.08.14.
304 호주 NSW 주 정부, 고속도로 제한 속도 상향 고려 호주한국신문 14.08.14.
303 호주 NSW 주 하원의원 2명, 부패 혐의로 의원직 사퇴 호주한국신문 14.08.14.
302 호주 시드니 주택 가격, 올 2분기 3.1%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8.14.
301 호주 숙명여대 음대생들, 시드니대학서 연주회 호주한국신문 14.08.14.
300 호주 호주 젊은이들의 K-Pop 댄스 실력은... 호주한국신문 14.08.14.
299 호주 “건국절 제정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위배” 호주한국신문 14.08.14.
298 호주 제5회 호주 한국영화제, 이벤트 시네마서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