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C gap 1.jpg

올해 HSC 시험의 ‘Success Rate’(band 6-90점에서 100점 사이-을 얻은 최고 성적자 수를 해당 학교 HSC 응시 학생 총 수로 나눈 백분율)를 보면 남-여 학생간 성적 격차가 크게 줄었다. 사진은 올해 HSC의 ‘Success Rate’ 결과 지난해에 비해 10계단 향상되어 공립 남학교 가운데 가장 우수한 성적을 보인 Northern Beaches Secondary College Balgowlah Boys Campus. 사진 : Google Street View

 

‘공립’ 남학생 학업 성과, 지속 상승... 상위 300개 학교 중 여학교 ‘실력우세’는 여전

 

NSW 하이스쿨 학생의 학업 성취에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뒤처진 결과를 보여 왔다. 이 같은 학업성적 격차가 지난 5년 사이 꾸준히 좁혀졌으며, 특히 올해 HSC에서 남학생은 그 어느 해보다 나아진 성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들이 모든 과목에서 크게 향상된 성적을 거둔 것이다.

지난 12월 15일부터 올해 HSC 시험 결과가 각 학생들에게 개별적으로 통보되기 시작한 가운데 시드니 모닝 헤럴드(The Sydney Morning Herald)가 분석한 시험 결과 데이터를 보면 남학교와 여학교 사이의 최고점수 달성 차이가 좁혀지고 있으며, 특히 공립학교 남학생의 성적이 두드러졌다.

이번 분석은 톱 밴드(band 6.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90~100점 사이) 결과에 대한 데이터로, 시드니 소재 일부 남녀 공립학교 및 높은 학비를 부담해야 하는 사립 남자 학교들이 합병 또는 남녀공학 학교로 전환하려는 계획을 놓고 찬반이 갈리는 가운데서 나온 것이다.

공립 남자학교의 경우 올해 HSC의 ‘Success Rate’(90점에서 100점 사이의 ‘band 6’를 얻은 최고 성적자 수를 해당 학교 HSC 응시 학생 총 수로 나눈 백분율)는 13.5%로, 5년 전 HSC 결과 9.8%에서 크게 증가해 여학생과의 실력 차이를 크게 좁혔으며, 남녀공학 학교의 ‘Success Rate’ 또한 9.2%로 지난해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분석 결과 사립 및 가톨릭 재단 남자 하이스쿨의 ‘Success Rate’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여자학교 및 남녀공학은 꾸준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럴드’가 집계한 평가 결과는 90점에서 100점을 얻은 ‘Success Rate’를 기준으로 HSC 과목에서 150명 이상의 학생이 응시한 학교를 기반으로 한다. NSW 교육 당국은 매년 HSC 결과에 대해 학업 부문에서 우수 학생이 많은 ‘셀렉티브 학교(selective school)나 부유한 사립학교 순위를 가르는 band 6 획득 학생 수에 대한 제한된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다.

올해 HSC의 최고 성적(‘Success Rate’ 기준) 학교는 North Sydney Boys High School로 나타난 가운데 Northern Beaches Secondary College Balgowlah Boys Campus와 Willoughby Girls High School는 지난해에 비해 각각 10계단이 뛰어올라 올해 최고 성적을 거둔 공립 남학교 및 여학교가 됐다. 사립학교 중에서는 본다이(Bondi)에 있는 Reddam House가 1위에 올랐다.

Balgowlah Boys의 폴 쉐더(Paul Sheather) 교장은 “지난 10년간 더디지만 꾸준한 성적 향상을 거둔 것이 올해 평가순위 목록 상승의 배경”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학생들을 가르치며 어려움을 겪었던 것은 일반 수학의 질문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읽고 쓰는 능력이 부족했던 부분으로, 이 분야를 명시적이고 직접적으로 가르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면서 “대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읽고 쓰는 시간이 적은데, 이 부문(읽고 쓰기)의 명시적 교육은 전반적으로 각 과목의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기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쉐더 교장은 “무엇을 써야 하는지가 아니라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집중하는데, 이를 통한 폭넓은 어휘력은 청소년의 작문능력 향상에 필요한 단어를 알게 하는 역할도 한다”고 덧붙였다.

Balgowlah Boys와 함께 좋은 성적을 만들어낸 공립 남자학교 중에는 Asquith Boys, Granville Boys High School이 있다. 공립 여자학교인 Blacktown Girls High School은 올해 HSC에서 무려 90계단이 상승하는 성적을 보였으며, 공립 남녀공학인 Pennant Hills High, Menai High, Moss Vale High School 또한 수십 계단의 성적 향상을 기록했다.

NSW대학교 교육심리학자 앤드류 마틴(Andrew Martin) 교수는 “남녀공학 학교가 ‘약간의 학업 우위’를 갖고 있다는 HSC 데이터는 다른 대규모 연구 증거와 함께 추적되지만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포함한 다른 많은 요인들이 학업 성취를 예측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상위 band 결과를 보는 것은 학업 측정의 한 지점일 뿐으로, band 2에서 band 3 또는 band 3에서 band 4로 올라가는 긍정적 궤도에 있는 학생들에게 이것이 중요한 척도”라며 “우리는 사회경제적, 지역적, 도시적 측면에서 학생들 간 학업 성과에 격차가 있다고 보고 있기에 특히 남자 학생들에게서 두드러진, (학업 성과에서) 뒤처진 대열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SC gap 2.jpg

단일성별 학교의 남녀공학 전환이 속속 추진되는 가운데 일부 여자학교는 학생들의 성적 하락을 우려, 이를 강하게 반대하기도 한다. 사진은 Randwick Boys와의 통합을 앞둔 Randwick Girls의 학생들. 이 학교의 일부 학부모들은 남녀공학 전환을 강하게 거부하고 있다. 사진 : Randwick Girls' High School

   

올해 3월 치러진 NAPLAN(National Assessment Program – Literacy and Numeracy) 결과(지난 8월에 발표됨)에 따르면 대부분 학년(3, 5, 7, 9학년)에서 여학생은 읽고 쓰기 및 수리능력에서 남학생을 능가한 반면 9학년 남학생의 약 40%는 읽기 및 문법에서 기본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헤럴드가 이번 분석을 통해 집계한 상위 300개 학교 가운데 40개 학교는 ‘남자학교’로 지난해에 비해 소폭 늘어났으며 61개 학교는 ‘여자학교’였다. ‘공립’(public comprehensive school)은 지난해에 비해 1개 늘어난 68개 학교(남자학교 5개, 남녀공학 53개, 여자학교 10개)였으며 ‘사립’(private school)은 작년보다 5개 많은 132개 학교였다.

지난 10월, NSW 주 정부는 남녀공학 하이스쿨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는 오랫동안 더 많은 학교 옵션(남녀공학 지지)을 위해 캠페인을 벌여온 학부모들에게 큰 승리를 안겨주었고, 이에 따라 Randwick Girls와 Randwick Boys High School은 2025년부터 남녀공학(co-educational school)으로 통합한다는 계획이다.

Randwick High의 이 계획은 그러나 일부 학부모들로부터 격렬한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 이는 성적이 더 좋은 Randwick Girls의 여학생을 희생시켜 남학생의 학업 결과에 도움이 될 것이라 점 때문이었다. 다시 말해 현재 Randwick Girls High의 학생들은 좋은 성적을 유지하고 있지만 남녀공학으로 전환될 경우 학업 성취도가 하락할 것을 우려한 것이다.

비슷한 양상은 160년의 전통을 깨고 남녀공학으로의 전환을 결정한 스탠모어(Stanmore) 소재 역사적 남자학교 Newington College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연합교단(Uniting Church)이 운영하는 유명 사립학교로, 연간 학비가 4만2,000달러(2024년 인상된 학비)에 달하는 이 학교는 여학생을 수용하는 문제 및 오랜 역사와 전통의 학교 유산이 사라질 것을 우려한 동문들의 반발로 법적 싸움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올해 HSC에서 58%의 학생이 ‘English advanced’ 과목에서 band 6를 얻은 랜드윅(Randwick) 소재 여자학교 Brigidine College의 샤린 쿼크(Sharyn Quirk) 교장은 스스로를 “여자학교 교육의 강력한 옹호자”라면서 “현재 NSW 주 교육이 남녀공학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추세이지만 여자학교의 경우 수업 중 산만함이 없고 수업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쿼크 교장은 “영어 과목에서 우리 학교가 거둔 좋은 성과는 교사들의 뛰어난 교수능력과 함께 학업에서의 비판적 사고 능력, 학문적 열망을 가진 학생들의 몫”이라고 덧붙였다.

 

■ 각 학교 형태별 2023 HSC ‘Success Rates’

(구분 : 사립 / 가톨릭 재단 학교 / 공립 / Fully Selective / 전체)

Boys : 24.4% / 13.6% / 13.5% / 38.4% / 21.7%

Girld : 27.9% / 13.9% / 13.3% / 39.6% / 22.5%

남녀공학 : 14.1% / 9.1% / 9.2% / 35.4% / 12.9%

Source: NSW Education Standards Authority (NESA)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HSC gap 1.jpg (File Size:143.9KB/Download:12)
  2. HSC gap 2.jpg (File Size:108.7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알바니스 총리, 차기 호주 총독에 법조인 겸 사업가 사만타 모스틴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6 호주 NSW 운전자 대상, 도로 통행료 환급신청 접수 시작... 클레임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5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 계획에서 가계 재정부담 완화 방안 제시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4 호주 유닛을 구입하고 투자 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주요 도시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3 호주 새로 적용된 학생비자 입안자, ‘노동당 정부의 대학 단속’으로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2 호주 심각한 주택부족 상황 불구, 시드니 지역 ‘빈 집’ 2만 가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1 호주 시드니 전역 유명 사립학교 학부모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0 호주 ‘Hambledon Cottage’ 200년 주년... 파라마타 시, 관련 기념행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9 호주 ‘주택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어려움, ‘baby boomers의 고령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8 호주 파라마타 시, ‘Arthur Phillip Park’ 재개장 기해 야외 영화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7 호주 계속된 생활비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 저축액 1천 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6 호주 Express. Empower. Get Loud!... CB City, ‘청년주간’ 행사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5 호주 팬데믹 이후 호주 인구 ‘급증’ 속, 가장 큰 영향 받는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4 호주 투자 부문의 최고 ‘인플루언서’, “고령화 위기 대비하려면 호주 본받아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3 호주 주택을 구입할 때 침실 하나를 추가하려면 얼마의 급여가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2 호주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적 확산 추세 따라 해당 비자 제공 국가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1 호주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대학원 과정은 ‘건강’ 및 관련 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0 호주 늘어나는 신용카드 사기... 지난해 호주인 손실, 22억 달러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9 호주 월별 CPI 지표, 3개월 연속 3.4% 기록... “하향 추세 판단, 아직 이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8 호주 주택시장, ‘인상적 성장세’ 지속... 1년 사이 중간가격 6만3,000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