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택가격 추이).jpg

지난 가을 주춤했던 주택가격 상승률이 지난 달 집계 결과 시드니와 멜번을 중심으로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사진은 매매 거래가 이루어진 시드니 지역의 한 주택.

 

시드니 및 멜번 중심으로... 7월 주택가격 크게 인상

 


지난 가을, 잠시 주춤했던 주택가격 상승세가 시드니와 멜번을 중심으로 다시 살아나고 있다.

 

부동산 시장 흐름을 조사하는 ‘RP Data-Rismark Home Value Index’의 지난 주말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멜번 지역의 주택가격은 3.7%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또한 다윈(Darwin) 지역이 2.8 올랐으며 시드니와 캔버라(Canberra) 역시 강한 인상률을 보였다.

 

보다 안정적인 분기별 수치를 보면, 시드니와 멜번이 각각 2% 및 1.8%의 주택가격 상승을 기록했으며 캔버라의 경우 지난 분기 대비 2.1%가 올라 정부의 공공 서비스 긴축을 무색하게 했다.

 

호주의 가장 큰 주택시장인 시드니의 중간 주택가격은 65만 달러로, 멜번의 평균 주택가격보다 10만 달러가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호주의 가장 큰 주택시장으로 꼽히는 시드니와 멜번의 경우 지난 7월31일까지의 주택가격 인상은 전년도 대비 각각 14.8%, 11%를 나타내 다른 도시에 비해 두 자릿수의 상승률을 보였으며, 브리즈번(Brisbane)이 6.9%로 시드니와 멜번을 제외하고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다만 주택가격 오름세가 주춤했던 지난 가을부터 3개월 동안 브리즈번은 0.4%, 퍼스(Perth) 0.1%, 호바트(Hobart) 1.2%, 애들레이드(Adelaide)는 2.6%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애들레이드의 경우 현 사상 최저의 기준금리가 다시 오를 경우 주택가격 인상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된 유일한 도시로 꼽혔다.

 

이런 가운데 ‘RP Data’의 팀 로우리스(Tim Lawless) 수석연구원은 “지난 6개월간의 주택가격 상승은 지난해 겨울과 봄 시기의 가격 인상 속도에 비해 느린 페이스를 보여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낮은 기준금리가 이어지고 있으며 고정 금리의 추가 인하 압력으로 우리는 계속해서 자본 이득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주요 도시 외 지역의 주택가격은 지난 6월30일 이전 3개월 동안 평균 0.7%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회계연도에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3.5% 이상 가격 상승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 7월의 주요 도시별 주택가격 상승률

(괄호 안은 중간 주택가격)

-시드니 : 1.5% 상승($650,000)

-멜번 : 3.7% 상승($540,000)

-브리즈번 : 0.1 하락($450,000)

-애들레이드 : 0.1% 하락($395,000)

-퍼스 : 0.5% 하락($519,000)

-호바트 : 0.6% 하락($300,000)

-캔버라 : 1.5% 상승($516,250)

-다윈 : 2.8% 상승($515,000)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7 호주 올해 상반기 전국 주택가격 2.3% 상승... 일부 교외지역 성장세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296 호주 ‘메트로 웨스트’ 기차라인 건설 지연, NSW 주택건설 계획도 ‘차질’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295 호주 2022-23년도 ‘금융’ 부문 옴부즈맨에 접수된 소비자 불만, 9만7천 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294 호주 “뜨개질 그룹에서 치매-손 떨림 예방하고 새 친구들도 만나보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293 호주 NSW 전역 캥거루 개체 크게 증가... 과학자들, 생물다양성 문제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292 호주 “NSW 주 ‘유료도로 이용료 감면’ 대신 ‘바우처’ 도입해 통행량 줄여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291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회복세 ‘뚜렷’, 주택가격 치솟은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290 호주 일단의 정신건강 전문가들, 장기간의 실직과 자살 사이의 ‘인과관계’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289 호주 공실 늘어가는 시드니 도심의 사무 공간, 주거용으로 전환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288 호주 No dance, No gum, No 방귀! 10 of the silliest laws around the world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287 호주 획기적 AI 혁명, “수용하거나 뒤처지거나”... 전문가-학계-기업 관계자들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286 호주 대학 내 만연된 성폭력 관련 ‘Change The Course’ 보고서 6년이 지났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285 호주 생활비 압박 속 ‘생계유지’ 위한 고군분투... ‘multiple jobs’ 호주인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284 호주 그림을 통해 보여주는 ‘좋은 것과 나쁜 것’ 사이의 양면성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283 호주 CB 카운슬, ‘War on Waste’ 관련 무료 워크숍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282 호주 라이프스타일-대도시보다 저렴한 주택가격이 ‘지방 지역 이주’의 주요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281 호주 호주 전역 대도시 주택가격 오름세 보이지만... 상승 속도는 더디게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280 호주 수천 명의 소셜미디어 이용자들, 온라인상에서 각 지역의 잊혀진 역사 공유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279 호주 NSW 주 정부, 신규 주택 위해 시드니 11개 교외 공공부지 재조정 알려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278 호주 인플레이션 수치, 호주 중앙은행 목표인 2~3% 대로 돌아오고 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