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임대료 1).jpg

주택가격 상승과 맞물려 치솟은 임대료로 인해 수입 대비 적정 임대주택을 구할 수 있는 지역은 이제 도심에서 45-50킬로미터 외곽에서나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시민단체-연구기관 조사, 도심 먼 외곽도 임대료 감당 어려워

 

호주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시드니 지역 주택부족이 점차 한계점에 이르고 있다는 진단이다. 시드니 서부 먼 외곽으로, 임대료가 비교적 저렴했던 블랙타운(Blacktown) 지역 또한 주택 임대자 입장에서 결코 적합한 지역이 아닌 것으로 진단됐다.

한때 블랙타운은 저렴한 임대주택을 찾는 이들에게 인기 높은 지역 중 하나로 꼽혔다. 하지만 호주 주택소비자 단체인 ‘Shelter Australia’, 비영리 기구인 ‘Community Sector Banking’ 및 경제연구기관인 ‘SGS Economics and Planning’가 공동으로 조사, 분석한 ‘적정 임대가격 리스트’(rental affordability index)에 따르면 블랙타운 또한 점차 값비싼 임대료 지역이 되어가고 있다.

광역 시드니는 오래 전부터 호주 전역에서 임대료가 가장 높은 도시로 꼽혀왔다. 이런 가운데 최근 인덱스에 따르면 이제 광역 시드니에서 적정 임대료 지역은 도심에서 최소 45-50킬로미터 외곽에서나 가능한 상황이다.

시드니 제2 도심으로 꼽히는 파라마타 동부(east of Parramatta) 지역(suburb)의 경우 ‘임대료 감당이 상당히 어려운’(severely unaffordable) 상황이며, 시드니 하버(Sydney harbour) 주변의 고급 주거지역으로 꼽히는 14개 서버브(suburb)는 ‘임대료가 극도로 높은’(extremely unaffordable) 지역으로 분류됐다.

‘Shelter Australia’의 임대로 인덱스에서 임대료 수준을 표기한 ‘extreme’ 등급은 시드니 지역 평균 주급의 60%를 임대료로 지불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가처분 소득의 30% 이상을 임대료로 지불해야 하는 경우 ‘주택 스트레스’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주별(weekly) 소득의 60%를 오직 주거비용에만 쏟아 부어야 한다는 것은 상당히 심각한 상황인 것이다.

이번 인덱스 결과는 교사와 간호사, 소매업 종사자 등 시드니와 같은 대도시에서 매우 중요한 서비스업 근로자들의 경우, 도심 반경 15-20킬로미터 이내에서는 주(week) 수입의 50%를 임대료로 지불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 치솟은 주택가격에 임대료까지 덩달아 상승함으로서 최저 소득계층 근로자의 경우 주별(weekly) 소득의 85%까지 임대료로 지불해야 하는 지역도 호주 전역에서 크게 늘어났다.

‘Shelter Australia’의 아드리안 피사르스키(Adrian Pisarski) 대표는 “호주 중간수입 가정들조차 주택가격 상승을 따라가지 못하는 임금 성장으로 점차 ‘주택 스트레스’를 겪기 시작했다”고 진단하면서 “감당하기 어려운 주택 임대료는 호주의 빈부 지역을 명확히 구분해 놓고 있음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SGS Economics & Planning’의 엘렌 위트(Ellen Witte) 연구원은 식비, 교통비, 기타 생활용품 구입 등 수입과 지출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안간힘을 다하는 임대주택 거주자 비율이 35%나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부부 중 한쪽만 수입이 있는 가정의 경우 최악의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런 추세는 지난 5년간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적정 주택임대료 상황이 지난 2000년대 초반부터 악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특히 NSW 주와 퀸즐랜드 주에서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위트씨는 “대부분 도시에서 적정 임대료의 비관적 전망은 장기적으로 이어진 추세이며 많은 젊은이들이 주택구입에서 멀어지면서 임대 수요가 늘어났고, 이것이 임대료 상승을 부추켰다”고 설명했다.

위트씨는 이어 “적정 임대료 악화는 지난 1999년 양도소득세가 절반으로 인하된 것과 무관하지 않으며 이후 10년이 지나면서 주택수요는 공급량을 넘어서기 시작했다”면서 “이는 결국 주택 투자자 급증을 가져왔고 주택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으며, 주택을 구입하려는 이들을 임대로 내몰 결과”라고 진단했다.

 

■ 광역 시드니 최고 임대료 지역

종합(임대료 2).jpg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임대료 1).jpg (File Size:54.1KB/Download:49)
  2. 종합(임대료 2).jpg (File Size:41.1KB/Download:4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57 호주 광역 시드니, 10년 만에 2단계 급수 제한 조치 발령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 호주 광역 시드니 주택부족 심화... 공급 한계 이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1955 호주 광역 시드니 및 주변 지역 거주민 기대 수명은... 호주한국신문 14.04.24.
1954 호주 광역 시드니 100-300만 달러대 주택 마련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1953 호주 광역 멜번 3분의 1 지역, 주택가격 상승이 가계소득 앞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952 호주 광복회, 국정교과서 ‘왜곡’ 부분 적극 대응 천명 호주한국신문 15.11.12.
1951 호주 광복회 호주지회, 순국선열 기념 행사 마련 호주한국신문 15.11.19.
1950 호주 광란의 뮤직 페스티벌 , 죽음의 ‘마약 굿판’으로 전락 톱뉴스 19.01.21.
1949 호주 관리자급 여성 늘어날수록 남녀 임금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948 호주 관개시설 되어 있는 타스마니아의 ‘Vaucluse Estate’, 매매 리스트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4.14.
1947 호주 과격 테러리스트 샤로프 아내, 시리아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946 호주 과격 시위에 시름하는 QLD주…시위 규제 강화 톱뉴스 19.10.30.
1945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국가 최저임금 5.2% 인상 결정... 주 $40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1944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모든 농장 근로자에 최저임금 보장해야” 규정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943 호주 공정근로위, 한인 커뮤니티와 원탁 회의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7.
1942 호주 공정근로 옴부즈맨, 도미노 피자 저임금 의혹 전방위 조사 확대 톱뉴스 18.09.22.
1941 호주 공유시장 경제 70% 급성장... 기존 사업모델 위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940 호주 공실 늘어가는 시드니 도심의 사무 공간, 주거용으로 전환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1939 호주 공립학교 학부모 연 평균 부담금 357달러, 사립은 평균 1만3,000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1938 호주 공립-사립-셀렉티브 학교,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