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공공주택 임대료 1).jpg

공공주택의 지역적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임대료 차등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도심 록스(The Rocks)에 위치한 ‘공공주택의 아이콘’ 시리우스 빌딩(The Sirius Building).

 

NSW 주 베어드 정부, IPART에 세입자 임대료 재검토 요청

 

공공주택(social housing) 세입자들의 임대료(Rent)가 거주지 지역과 주택 면적에 따라 상승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NSW 주 베어드(Mike Baird) 정부는 NSW 주 독립 가격규제심의회(Independent Pricing and Regulatory Tribunal. IPRT)에 공공주택 세입자들의 임대료를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IPART의 피터 박설(Peter Boxall) 위원장은 금주 월요일(28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주택 체계의 상당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낮은 임대료를 유지하는 시드니 공공주택 임대 시세를 지적하며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공주택 입주 희망자들의 특성도 변했고 대기자도 많은데 기존 주택을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IPART가 검토하게 될 변경사항은 공공주택의 크기와 위치한 지역, 한 가구당 세입자의 수에 따라 임대료에 차이를 둘 것인지의 여부이다.

1950~60년대 ‘공공주택’ 시스템이 도입된 당시만 해도 대부분의 세입자들은 직장인들이었다. 그러나 지난 수십 년 사이 센터링크의 보조금에 의존해 생활하는 이들이 세입자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이로 인해 정부에게 돌아오는 임대료는 점차 줄어들게 되었고, NSW 주 공공주택 거주자 14만 명 중 대다수는 정부 보조금이나 지역 커뮤니티 단체의 지원을 받아 수입의 25%를 임대료로 지불하고 있다.

박설 위원장은 “정부의 공공주택 보조금이 지난 5년 간 33%나 증가했으며 이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이어 “신청자의 대기 시간은 더욱 길어지고, 특히 주택공급이 가장 시급한 사람에게 돌아가지 못하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공공주택 입주를 기다리는 대기자는 약 6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정부 보조금 ‘뉴스타트 수당’(Newstart Allowance. 실업 상태의 구직자를 대상으로 다시 직장을 구할 때까지 제공하는 정부 수당, 주 $264)에 의존해 생활하는 사람들이 기존보다 오른 임대료를 감당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박설 위원장은 “적은 임금에서는 25%의 임대료만 빼도 먹고살기 빠듯해진다”고 말했다. NSW 주의 저소득계층이나 소외계층을 위한 주택컨설팅 단체인 ‘쉘터 NSW’(Shelter NSW)의 메리 퍼킨스(Mary Perkins) 대표는 공공주택 운영에 있어 보다 투명한 자금 관리가 중요하지만, 여전히 저소득 보조금을 삭감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녀는 또한 ‘주거빈곤율’(housing poverty rates)이 높아짐에 따라 나타나는 변화에 우려를 표했다.

IPART의 검토는 주택의 특성에 따른 ‘적정 임대료‘를 책정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런 주택은 정부가 공급하는 정부주택과는 다르다.

한편 광역시드니위원회(Greater Sydney Commission)가 재구획 된 토지에 5~10%의 추가 공공주택 설립을 의무화함에 따라 시드니 지역에 이 같은 주택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IPART의 공공주택 임대료 검토에 대한 신청은 오는 12월16일까지이다. 최종 보고서는 내년 6월에 정부에 전달된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공공주택 임대료 1).jpg (File Size:54.7KB/Download:3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57 호주 “교육 부문에서 우리 사회는 결코 평등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556 호주 “광역시드니서 65만 달러 미만 주택 구입은 가능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1555 호주 “광역시드니, 심각한 가뭄 상황에 시달리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1554 호주 “광역시드니 대부분 교외지역 주택가격, 일반 구매자 감당 어려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1553 호주 “공립 교육 확대를 위한 예산-변화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 호주 “공공주택 임대료 부분, 대대적 개혁 필요”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1551 호주 “고층만이 해결 방안...”, 시드니 도심 개발 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1550 호주 “고령 근로자 고용 차별, 호주 경제성장 저해 초래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1549 호주 “견고한 유대감으로 공정하고 번창하는 미래 지향...”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1548 호주 “건조한 공기,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일조할 수도 있다” file 헬로시드니 20.08.28.
1547 호주 “건국절 제정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위배” 호주한국신문 14.08.14.
1546 호주 “거주민 비만율 높은 서부 지역, 지방정부가 적극 나서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05.30.
1545 호주 “거주 지역이 치매 위험에 영향 미친다”... 모나시대학교 연구팀 연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544 호주 “개방형 사무 공간의 잡다한 소음, 압박감 가중시킨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7.15.
1543 호주 “개발도상국의 백신접근 어려움... 오미크론으로 큰 문제 야기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542 호주 “강한 메시지가 필요하다”... 각 주 정부, ‘pupil-free’ 선언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541 호주 “감정 장애를 가진 이들, COVID-19로 인한 위험 더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540 호주 “각 지역 주유소의 연료비 소매가, 스마트폰으로 확인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1539 호주 “가계비 절감을 위한 70억 달러 규모 지원, 적극 활용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1538 호주 “’호주 이민 임계점 도달’ 주장, 터무니 없다” 톱뉴스 18.03.01.